$\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시 대기부유부진 중 수용성 이온성분의 입경별 분포특성
Size Distribution of Water-Soluble Ionic Components in the Atmospheric Aerosols Collected in Jeju City,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과학회지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13 no.12, 2004년, pp.1067 - 1078  

허철구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부 토목환경) ,  송정화 (제주대학교 대학원 환경공학과) ,  이기호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부 토목환경)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s were collected by 8-stage non viable cascade impactor from October 2002 to August at Jeju City. Eight water-soluble ionic components $(Na^+,\;NH_{4}_{+},\;K^+,\;Ca{2+},\;Mg^{2+},\;CI^-,\;NO_{3}^-\;and\;SO_{4}^{2-})$ were analyzed by Ion Chromatography.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다단계 분진 포집기(8-stage non viable cascade impactor)를 이용하여 제주시 지역 대기 중의 부유분진을 입경별로 분리 포집하고 포 집된 분진의 질량농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입경별 로 포집된 부유분진 중의 Na*, NHJ, K+, Ca2\ Mg2+, cr, no3; so/’ 등의 수용성 이온성분을 분석하여 그 결과로부터 제주시 지역 대기부유분진의 질량농 도와 수용성 이온성분의 계절별 농도 및 입경별 분 포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Whitby, K. T., R. B. Husar and B. Y, H. Liu, 1972, The aerosol size distribution of Los Angeles smog, Journal of colloidC and Interface Science, 39, 177-204 

  2. 백성옥, 황승만, 1992, 주성분/중회귀분석을 이용한 대구지역 대기 중 부유분진의 발생원별 특성평가, 한국대기보전학회지, 8(3), 179-190 

  3. Lyons, J. M., C. Venkataraman, H. H. Main and S. K. Frielderlander, 1993, Size distributuions of trace metals in the atmosphere environment, Atmospheric Environment, 27B(2), 237-249 

  4. Sharma, V. K. and R. S. Patil, 1992, Size distribution of atmospheric aerosols and their source identification using factor analysis in Bombay, India, Atmospheric Environment, 26(B), 135-140 

  5. Infante, R. and I. L. Acosta, 1991, Size distribution of trace metals in Ponce, Puerto Rico air particulate matter, Atmospheric Environment, 25(B), 121-131 

  6. Willson, M. J., A. G. Clarke and E. M. Zeki, 1985, Seasonal variation in atmospheric aerosol concentration at urban and rural sites in northern England, Atmospheric Environment, 19, 1081-1089 

  7. Hering, S., E. Annmarie and H. S. John, 1997, Bimodal character of accumulation mode aerosol mass distributios in southern california, Atmospheric Environment, 31(I), 1-11 

  8. Zhuang, H., C. K. Chan, M. Fang and A. S. Wexer, 1999, Size distributions of particle sulfate, nitrate and ammonium at coastal site in Hong Kong, Atmospheric Environment, 33, 843-853 

  9. 양순미, 2000, CMB모델을 이용한 제주지역 대기 중 미세분진의 오염원규명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2pp 

  10. 양수미, 2002, 주성분 분석과 CMB를 이용한 제주시 대기 중 PM10 오염원 규명,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4pp 

  11. 강춘희, 2000, CMB모델을 이용한 황사시 제주지역 PM10의 오염원 규명,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6pp 

  12. 김병화, 김동술, 2000, 수원지역 대기 중 $PM_{2.5}$ 와 $PM_{10}$ 의 환경거동에 관한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6(2), 89-101 

  13. 신은상, 최민규, 선우영, 정용삼, 2002, 서울지역 $PM_{10}$ 중 미량원소의 특성평가,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8(5), 363-372 

  14. 진윤하, 구해정, 김봉만, 김용표, 박순웅, 2003, 한반도 11개 도시의 1995-2000년 $PM_{10}$ 농도변화경향,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9(2), 231-245 

  15. 손동헌, 권창호, 정원태, 허문영, 1991, 대기부유분진 중 다환방향족탄화수소 및 중금속의 농도, 대기보전학회지, 7(1), 17-22 

  16. 신훈중, 1995, 대기부유분진 중 입경에 의한 미량금속원소의 농도분포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8pp 

  17. 양희준, 2002, 제주 연안에서의 입자상 물질의 건성침적 플럭스의 추정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0pp 

  18. Harrison R. M., and C. A. Pio, 1983, A Comparative study of ionic composition of rainwater and atmospheric aerosols: Implication for the mechanism of acidification of rainwater, Atmosphehc Environment, 17(12), 25-39 

  19. Sequeira R. and F. Lung, 1995, A critical conductivity of rainwater from the territory of Hong Kong, Atmospheric Environment, 29(18), 2439-2447 

  20. 김용표, 박세옥, 김진영, 심상규, 문길주, 이호근, 장광미, 박경윤, 강창희, 1996, 고산에서의 1994년 3월-4월 측정연구 : (I) 입자상 오염물질의 이동,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2(I), 79-90 

  21. 양한섭, 전은주, 김영일, 옥곤, 1999, 대기 에어로졸의 체류시간과 화학조성-I. 부산지역에서 주요이온과 중금속의 농도, 한국환경과학회지, 8(1), 51-59 

  22. 강병욱, 1998, 수용모델을 이용한 PM2.5의 배출원 추정,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9pp 

  23. 송문호, 1996, 제주지역 대기강하물의 화학적 조성특성,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8pp 

  24. Suh, H. H., G. A. Allen and P. Koutrakis, 1995, Spatial variation in acidic sulfate and ammonia concentrations within metropolitan Philadelphia, Journal of the Air & Waste Management Association, 45, 442-452 

  25. Nishikawa, M., S. Kanamori, N. Kanamori and T. Mizoguchi, 1991, Kosa aerosol as eolian Carrier of anthropogenic material,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107, 13-27 

  26. Gordon, G.E., 1988, Receptor models, Environmental Secience & Technology, 22(10), 1132-1142 

  27. Carmichael, G. R., M. S. Hong, H. Ueda, L. L. Chen, K. Murano, J. K. Park, H. Lee, Y. Kim, C. Kang and S. Shim, 1997, Aerosol composition at Cheju Island, Kore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2, 6047-6061 

  28. 일본과학기술정보센터, 1979, 부유입자상물질에 관한 문헌학적 조사, 29-82pp 

  29. 김용표, 배귀남, 지준호, 진현철, 문길주, 1999, 제주도 고산에서의 에어로솔 입경분포별 조성 : 1998년 4월 측정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5(5), 677-685 

  30. Gao, Y., R. Arimoto, R. A. Duce, L. Q. Chen, M. Y. Zhou and D. Y. Gu, 1996, Atmosphric non-sea-salt sulfate, nitrate and methanesulfonate over the China Se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1, 12601-12611 

  31. Prospero, J. M. and D. L. Savoie, 1989, Effect of continental sources on nitrate concentration over the Pacific Ocean, Nature, 339, 687-389 

  32. Kim, Y. P., J. H. Lee, N. J. Baik, J. Y. Kim, S. G. Shim and C. H. Kang, 1998, Summer-time characgteristics of aerosol composition at Cheju Island, Korea, Atmospheric Environment, 32, 3905-3915 

  33. Wolff, G. T., M. S. Ruthkosky, D. R. Stroup, P. E. Korsog, M. A. Ferman, G. R. Wendel and D. H. Stedman, 1986, Measurement of SOx, NOx, and aerosol species on Bermuda, Atmospheric Environment, 20, 1229-1239 

  34. Milford, J. B and C. I. Davison, 1987, The Sizes of Particulate Sulfate and Nitrate in the Atmosphere-A Review, Journal of the Air Pollution Control Association, 37(2), 125-134 

  35. Chow, J. C., E. M. Fujita, J. G. Watson, Z. Lu, D. R. Lawson and L. Ashbaugh, 1994a, Evaluation of filter-based aerosol measure-merits during the 1987 southern California air quality study,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30, 49-80 

  36. Zhuang, H., C. K. Chan, M. Fang and A.S. Wexer, 1999, Size distributions of particle sulfate, nitrate and ammonium at coastal site in Hong Kong, Atmospheric Environment, 33, 843-853 

  37. Kerminen, V. M., K. Teinila, T. R. Hillamo and T. A. Pakkanen, 1998, Substitution of chloride in sea-salt particles by inorganic and organic anions, Journal of Aerosol Science, 29(8), 929-942 

  38. Pakkanen, T. A., V. M. Kerminen, E. Hillamo, E. Makinen, T. Makela and A. Virkkula, 1996, Distribution of nitrate over sea-salt and soil derived particles implications from a field study, Journal of Atmospheric Chemistry, 24, 189-2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