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나노분말 기술의 현황 및 전망
Current Status and Prospect of Nanopowder Technology 원문보기

한국분말야금학회지 = Journal of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v.11 no.6 = no.47, 2004년, pp.445 - 450  

박종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재료연구부 나노재료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나노분말 기술은 나노기술이 성숙단계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2012년 내지 2015년경에 성숙될 기술이 아니라 이미 산업화가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나노기술의 산업화를 선도할 기술이다. 나노분말 기술은 에너지/환경은 물론 IT, BT 산업 등 거의 모든 신산업 분야에 활용되고 있거나 활용될 전망이다. 이러한 이유로 거의 모든 국가들이 수행하고 있는 나노기술개발 프로그램에 나노소재 기술이 중요한 분야로 다루어지고 있고 나노분말 소재기술 분야는 빠지지 않는 기술 분야이다. 우리나라의 나노기술개발 프로그램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많은 수의 연구과제들이 수행되고 있으며 일부 상업화에 접어든 기술들도 있다. 미국, 일본 등 거의 모든 나라에서 다수의 벤처기업들이 나노분말 기술의 상업화에 뛰어들고 있다. EU의 경우는 전체 나노소재 관련 사업체 중 절반에 해당하는 업체들이 나노분말 업체라는 점은 눈여겨 볼만하다. 앞서 살펴보았듯이 나노분말 기술은 그 자체가 하나의 산업을 이끌어낼 기술인 동시에 기존산업을 포함한 소재산업은 물론 나노기술 산업을 바탕으로부터 지탱해줄 기반기술이다. 그만큼 많은 가능성을 갖고 있으며 기술적인 장애가 하나씩 극복될 때마다 기술의 발전속도는 빨라질 것이며 시장 또한 빠르게 확대될 것이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성능/효과

  • 나노분말 의 분석평가기술은 합성기술과 활용기술에 공통적으 로 걸쳐있는 기술이다. 즉 나노분말 합성의 결과를 정확하게 분석하여야만 합성공정을 체계적으로 최적 화할 수 있고 합성하는 분말의 특성을 정확히 제어 할 수 있다. 또한 나노분말을 실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물성에 대한 객관화된 자료가 필요하다.

후속연구

  • 나노분말 합성에 있어서 공 정 및 재료원료) 선택의 다양성을 고려하면 .향후에는 상향식 접근법인 구축(조립)공정이 나노분말 제조 에 폭넓게 활용될 것이다. 그림 1에서 원자 혹은 분 자를 나노미터 크기 영역으로 조립하거나 성장시키는 과정 (assembling, growing)이 나노분말 합성 (synthesis of nanopowders)' 과정이며 나노구조체(여기서는 나노 분말)를 나노구조를 가진 부품으로 만드는 과정 (forming)에 필요한 기술이 나노분말 활용기술인 나 노분말공정 (nanopowder processing) 기술'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박종구 : 대한금속학회회보, 12 (1999) 555 

  2. 박종구 : 나노소재의 필요성 - 왜 나노소재인가?, 재료마당, 14(2001) 4 

  3. 이해원, 김주선 : 나노분말의 성형, 재료마당, 14 (2001) 35 

  4. 안재평, 박종구 : 기상합성 공정에 의한 나노분말 합성기술의 개발동향 및 전망, 세라미스트, 5(4) (2002) 27 

  5. 김경호, 강상규, 박종구, 이호신 . 나노분말소재 (심층정보분석보고서 BA016),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2002) 

  6. Business Communication Company, Inc. (2002); (2003) 

  7. European White Book on Fundamental Research in Materials Science, Max-Planck-Institute (2002) 

  8. WTEC Workshop Report: R&D Status and Trends in Nanoparticles, Nanostructured Materials, and Nanodevices in the United States, January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