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령기 말더듬 아동의 첫음연장기법을 이용한 치료프로그램 효과 연구
The Effectiveness of a Prolonged-speech Treatment Program for School-age Children with Stuttering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2 no.6 = no.72, 2004년, pp.143 - 152  

오승아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the effectiveness of prolonged-speech treatment program on school-age children with stuttering. Two male and One female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peech of 3 subjects in the treatment was assessed on frequency of stuttering, stuttering Pattern, 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첫음연장기법을 학령기 아동에게 적용했을때 말더 듬의 빈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아동 3 명에 대한 말더듬의 빈도 결과는 [그림 1], [그림 2], [그림 3]과 <표 3>에 도시한 것과 같다.
  • 첫음연장기법을 이용하여 말더듬 아동의 말더듬의 개선을 도모 하고 그를 통해 유창성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문제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결론을 내리고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 이에 학령기 말더듬 아동에게 누구나 쉽게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느끼고 유창성 형성법을 이론적 근거로 하여 연장기법을 이용한 말더듬 치료프로그램을 구성하여 개별 치료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 이와 같은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본 연구의 첫음연장기법을 이용한 말더듬 치료 프로그램이 말더듬 아 동의 말더듬 개선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다.
  • 본 연구는 학령기 말더듬 아동을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이다. 첫음연장기법을 이용하여 말더듬 아동의 말더듬의 개선을 도모 하고 그를 통해 유창성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문제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결론을 내리고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권도하. 이규식(1988). 말더듬 발생의 언어학적 분석에 관한 문헌고찰, 난청과 언어장애연구. 11(1), 9-25 

  2. 권도하. 이규식(1988). 말더듬치료의 확립단계 프로그램 적용효과, 특수교육학회지, 9, 31-35 

  3. 권도하(역)(2002). 말더듬 치료 프로그햄. 대구: 언어치료학회 

  4. 김동연. 이근매(1995). 말더듬 학생의 언어행동에 미치는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미술치료연구. 2(1), 79-94 

  5. 김시영. 권도하(1955). 점진적 언어 난이도 증가 프로그램을 이용한 말더듬 치료효과. 언어치료연구. 4, 1-18 

  6. 김응법(2000). 의사소통장애 연구의 변천. 단국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7. 박인경(1997). 행지요법이 아동의 말더듬교정에 미치는 효과.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신문자(1991). 학령기 말더듬 아동 치료에 있어 그룹지도의 효과. 소아. 청소년 정신의학. 2(1), 102-111 

  9. 신문자(1996). 유창성 장애의 특성 연구. 말-언어장애 연구. 1, 82-103 

  10. 안종복. 권도하(2000). 읽기자료제시조건이 이차성 말더듬이의 말더듬 발생 빈도에 미치는 영향. 언어치료연구, 9(1), 165-194 

  11. 옥정달. 이규식(2002). 자극수용력 증가를 위한 말더듬 치료프로그램의 적용효과. 난청과 언어장애연구. 25(2), 255-264 

  12. 옥정달. 이규식(2003). 부모중심 말더듬치료가 아동의 말더듬 개선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학연구. 38(2), 153-175 

  13. 이규식. 옥정달(1994). 이차성 말더듬이에 대한 말더듬 수정 프로그램 적용효과. 난청과 언어치료연구, 17(2), 21-40 

  14. 이규식. 옥정달(1997). 첫음연장기법이 학령기 말더듬 아동의 말더듬 교정에 미치는 효과, 난청과 언어장애연구, 20(2), 85-104 

  15. 이규식. 옥정달(역)(1997). 말더듬이를 위한 자아치료교육, 대구대학교 출판부 

  16. 정훈(2001). 연장기법을 이용한 말더듬 치료 프로그램이 3-6세 말더듬 아동의 비유차성 개선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17. 한국언어병리학회(1994). 언어장애의 이해와 치료: 말더듬치료, 군자출판사 

  18. American Speech-Hearing-Language Association(1995). Guideline for practice in stuttering treatment, Aha, 37(14), 26-35 

  19. Andrew, Guitat. & Howie(1980).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stuttering treatment.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42, 287-307 

  20. Butten, E. J. & Shaemaker, D. J. (1967). The Modification of stuttering.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21. Conrad, C. (1993). Fliency in multiculture populations. From unpublished workshop presentation, Introduction, evanston, IL 

  22. Cry B. (2002). Applied behavior analysis: a review of the history, theories, methods and techniques, http://www.umm.maine.edu 

  23. Dayulu, V. N. & Kalinowski, J. (2001). Stuttering therapy results in pseudofluency.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36, 405-408 

  24. Drew, C., Hardman, M. & Hart, A.(1996). Designing and condcting research. Needham, MA: Simon & Schuster, Co. 

  25. Fraser(1985). Self-therapy for the stutterer, Tennessee: Speech Foundation of America 

  26. Leahy M. M. (1989). Diorders ofcommunication: The Science of intervention. New York: Taylor & Francis 

  27. Myers, F. L., & Wall, M. J. (1982). Toward an integrated approach to early children stuttering. Journal of Fluency Disorder, 7, 47-54 

  28. O'Brian, S., Onslow, M., Cream, A., & Packman, A. (2003). The Camperdown program: Outcomes of a new prolonged-speech treatment model.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6(4), 933-946 

  29. Onslow, M. (2001). Re: frequency altered feedback as alternative to 'prolonged speech' techniques for the control of stuttered speech.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 Communication Disorders, 36(3), 409-412 

  30. Onslow, M., Costa, L., Andrews, C., Harrison, E. & Packman, A. (1996). Speech outcomes of prolonged-speech treatment for stuttering.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39, 734-749 

  31. Packman, A., Onslow, M. & Doom, J.V. (1994). Prolonged speech and modification of stuttering: perceptual, acoustic, and electroglottographic data.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37, 724-737 

  32. Packman, A., Onslow, M. & Menzies, R. G. (2000). Novel speech patterns and the treatment of stuttering.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2, 65-79 

  33. Perkins, W. H. (1977). speech pathology: An applied behavioral science. St Louis: Mosby 

  34. Rustin, L. & Cook, F. (1995). Parental involvement in the treatment of stuttering.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 26, 127-137 

  35. Sheehan, J. (1958). Conflict theory of stuttering , In J. Eisenson(Ed), Stuttering: A Symposium New York: Harper and Row 

  36. Van Riper, C.(1971). The nature of stuttering.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37. Van Riper, C. (1973). The treatment of stuttering,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38. Van Riper, C.(1989). Counseling stutterers. Speech Foundation of America, 18(6), 35-45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