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밀양지역 들깨품종별 잎의 아미노산 조성 및 향기성분 비교
Comparative Studies on the Amino Acids and Flavor Compounds Among Some Varieties of Perilla Leaves Cultivated in Miryang Area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4 no.6 = no.67, 2004년, pp.931 - 937  

최영환 (밀양대학교 원예학과) ,  이영근 (밀양대학교 식품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들깻잎의 주산지인 밀양지역에서 재배하고 있는 4종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고자 아미노산과 휘발성 향 성분을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단백질구성아미노산에서 주요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arginine, 및 threonine 등 이었고, 그 외에 lysine, leucine, isoleucine 등도 다소 검출되었으나, tyrosine과 함황아미노산인 cysteine과 methionine의 함량이 가장 적 게 나타났으며, 유리 아미노산은 4종 모두에서 약34종이 검출되었다. 그리고 유리아미노산의 조성과 단백질구성아미노산의 조성에서 품종간의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들깻잎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GC-MSD로 분석한 결과, 잎들깨1호는 52종, 엽실들깨는 48종, 그리고 밀양9호와 YCPL은 47종이 분리되어 검출되었다. 깻잎의 휘발성 화합물중에서 가장 많은 함량으로 검출된 perilla ketone은 엽실들깨 $551.42\;{\mu}g/g$, 잎들깨1호 $301.59\;{\mu}g/g$, YCPL $187.00\;{\mu}g/g$, 그리고 밀양9호는 $145.75\;{\mu}g/g$이었으며, 그 외 3-hexen-1-ol, trans-2-hexenal, $\beta-caryophyllene$ 그리고 $\alpha-farnesene$등이 검출되었으나 이 화합물들의 함량은 $20\;{\mu}g/g$을 초과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qualitative difference between 4 varieties of perilla leaves cultivated Miryang area,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amino acid composition and flavor compounds. Aspartic acid,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arginine, and threonine were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동일 품종이라도 지역 및 재배환경의 차이에 따라품 질 특성이 다르다고 알려져 있어, 우리나라 들깻잎의 주산지인 밀양지역에서 주로 재배하고 있는 4가지 들깨품종을 대상으로 단백질구성아미노산과 유리아미노산의 조성 및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여, 부가가치가 높은 깻잎 가공품개 발을 위한 품질특성의 자료로 삼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 주입구 온도 250℃, interface 온도 240℃z 70 eV의 ionization voltage의 조건으로 분석하였다. 각 화합물의 정량은 각 피크의 면적을 내부표준 물질인 Loctanol의 피크면적과 비교하여 아래의 계산식으로 산출하였으며, 이때의 response factor는 1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Farrell, K. T. 1985. Spices, condiments, and seasonings. In 'Spices and culinary herbs' AVI Publishing, New York, 25 

  2. Hong, Y. P., S. Y. Kim, and W. Y. Choi. 1986. Postharvest changes in quality and biochemical components of perilla leaves. J. of Korean Food Sci. Technol. 18, 255-258 

  3. Hyun, K. W., K. C. Koo, J. H. Jang, J. G. Lee, M. R. Kim, and J. S. Lee.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and flavor compounds of Geumsan perilla leaves cultivated in greenhouse and field. Korean J. of Food Preservation 11, 28-33 

  4. Kang, H. S., S. Y. Lim, C. W. Nam, S. K. Yoon, and S. M. Byun. 1996. Studies on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perilla leaves. J. Life Sci. Dongkug Univ. 25, 509-528 

  5. Kang, J. M., I. H. Cha, Y. G. Lee, and H. S. Rhu. 1997. Identification of volatile essential oil, and flavor characterization and antibacterial effect of fractions from Houttuynia cordata Thub. Ⅰ. Identification of volatile essential oil compounds from Houttuynia cordata Thunb.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209-213 

  6. Kang, J. M., I. H. Cha, Y. G. Lee, and H. S. Rhu. 1997. Identification of volatile essential oil, and flavor characterization and antibacterial effect of fractions from Houttuynia cordata Thub. Ⅱ. Flavor characterization and antibacterial effect of fraction from Houttuynia cordata Thunb by Prep-HPLC.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214-221 

  7. Kim K. H., M. W. Chang, K. Y. Park, S. H. Rhee, T. H. Rhew, and Y. Sunwoo. 1993. Antitumor activity of phytol identified from perilla leaf and its augmentative effect on cellular immune response. J. Korean Soc. Food Nutr. 22, 379-389 

  8. Kim, K. S., S. N. Ryu, J. S. Song, J. K. Bang, and B. H. Lee. 1999. Comparision of analytical methods for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leaf of Perilla frutescens. Korean J. Crop Sci. 44, 154-158 

  9. Kim, Y. S., J. H. Lee, M. N. Kim, W. G. Lee, and J. O. Kim. 1994. Volatile flavor compounds from raw mugwort leaves and parched mugwort tea. J. Korean Soc. Food Nutr. 23, 261-267 

  10. Koezuka, Y., G. Honda, and M. Tabata. 1986. Genetic control of the genetic control composition of volatile oils in Preilla frutescens. Phytochemistry 25, 859-863 

  11. Kwon, Y. J., Y. H. Kim, J. J. Kwag, K. S. Kim, and K. K. Yang. 1990. Volatile components of apricot (Prunus armanica var. ansu Max.) and Japanese apricot (Prunus Mume Sieb. et Zucc.). J. Korean Agric. Chem. Soc. 33, 319-324 

  12. Lee, J. W., J. G. Lee, J. H. Do, and H. S. Sung. 1995.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Korean Auricularia polytricha (Mont.) Sacc. mushroom. Agric. Chem. Biotechnol. 38, 546-548 

  13. Lee, K. I., S. H. Rhee, and K. Y. Park. 1999. Anticancer activity of phytol and eicosatrienoic acid identified from perilla leaves. J. Korean Soc. Food. Nutr. 28, 1107-1112 

  14. Lee, K. I., S. K. Rhee, K. Y. Park, and J. O. Kim. 1992. Antimutagenic compounds identified from perilla leaf. J. Korean Soc. Food. Nutr. 21, 302-307 

  15. Maneepun, S., B. S. Luh, and R. B. Rucker. 1974. Amino acid composition and biological quality of lima bean protein. J. of Food Science 39, 171-174 

  16. Meredith, F. I. and W. O. Caster. 1984. Amino acid content in selected breakfast cereals. J. of Food Science 49, 1624-1625 

  17. Nagy, J. C. 1966. Volatile oils and antibiosis of artemisia. ph. D. thesis, Colorado State Univ 

  18. National Pural Living Science Institute, R.D.A. 2001. Food composition table(6th Revision). Sangrogsa, Korea, 96-97 

  19. Ogawa, T., Y. Oka, and K. Sasaoka. 1987. Amino acid profiles of common cultivated mushrooms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of N-(N- $\Upsilon$ -L-glutamyl-3-sulfo-L-alanyl)glycine in Flammulina velutipes. J. of Food Science 52, 135-137 

  20. Oka, Y., H. Tsuji, T. Ogawa, and K. Sasaoka. 1981. Quan titative determination of the free amino acids and their derivatives in the common edible mushroom, Agaricus bisporus. J. of Nutr. Sci. Vitaminol. 27, 253 

  21. Shin, K. K., C. B. Yang, and H. Park. 1992. Studies on 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Korean perilla leaves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610-615 

  22. Sung, W. S. 1976. Studies on the element of domestic perilla. Korean J. Food Sci. Technol. 5, 69-74 

  23. Tada, M., R. Matsumoto, H. Yamaguchi, and K. Chiba. 1996. Novel antioxidants isolated from 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crisp (Thunb). Biosci. Biotech. Biochem. 60, 1093-109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