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성 강우에 의한 수목의 쇠퇴현상(I) - 음이온을 중심으로 -
Study on Decline of Trees by Acid Rainfall 원문보기

한국생태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v.27 no.6 = no.122, 2004년, pp.347 - 353  

이총규 (경상남도산림환경연구원) ,  황진형 (경상대학교 산림과학부) ,  김종갑 (경상대학교 산림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기오염으로 인하여 산성비의 영향을 받고 있는 공단지역과 도시 근교 지역, 농촌 지역으로 나누어 각 산림지역 내에 있는 임외우와 수관 통과우에 대한 강우의 pH, EC 및 이온특성, 대기중 $SO_2,\;NO_2$의 농도, 해송림의 쇠퇴도를 분석하였다. 도시 근교 및 농촌 지역의 임외우는 $pH\;5.29{\sim}5.76$으로 공단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수관 통과우는 공단 지역(온산, 농소)이 $pH\;4.64{\sim}4.98$, 도시 근교 지역(진주)이 $pH\;4.87{\sim}5.13$이었으며 전기전도도는 농촌 지역이나 도시 근교 지역보다 공단 지역이 높게 조사되었다. 임외우와 수관 통과의 음이온$SO_4^{2-}$는 공단 지역이 농촌지역에 비해 각각 3배, 8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해송의 쇠퇴도와 강우의 음이온 성분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해송의 쇠퇴도와 강우의 pH(r=-0.8374), pH와 $Cl^-$(r=-0.9324)이온 간에는 부의 상관이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pH, Electrical conductivity(EC), cation and anion on rainfall and throughfall raining at industrial area(Onsan and Nongso of Ulsan city), suburban area(Myeongsek-myeon of Jinju city) and rural area(Haman and Changyoung-gun), and to investigate $SO_2\;and\;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경남지 역의 도시 근교 지 역(진주), 농촌 지 역(함안, 창녕)과 공단 지역(울산 온산, 농소)을 중심으로 산림 내 유입되 는 강우에 대한 오염물질의 이온특성을 분석하고 산성 강하물 에 의하여 산림이 쇠퇴해가는 징후를 구명하여 산림생태계가 파괴되거나 교란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그 대책을 수립하기 위 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김동엽, 유정환, 채지석, 차순형. 1996. 대기오염물질의 산림생태계내 유입과 토양의 화학적 특성분석. 한국임학회지 85(1): 84-95 

  2. 심상규. 1996. 우리나라 산성비 특성과 감시망 현황. 첨단환경기술 4(8): 2-9 

  3. 이총규. 1999. 산성강하물이 산림쇠퇴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3 p 

  4. 이총규, 김종갑, 조현서. 1998. 수목피해와 산성강하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환경생태학회지 12(2): 131-137 

  5. 임업연구원. 1993. 대기오염에 의한 산림피해의 동태 및 관리조사 방법. 3-10 

  6. 환경청. 1993. 산성우조사법. 일본산성우조사연구회. 123-171 

  7. Cape, J.N. and D. Fowler. 1981. Changes in epicuticular wax of Pinus sylvestris exposed to polluted air. Silva Fennica 15: 457-458 

  8. Cowling, E.B. 1982. Acid precipitation un historical perspetive. Environ. Sci. Technol. 16(2): 10-35 

  9. Garrec, J., C. Kerfourn and E. Laitat. 1989. Etude des surfaces folires des arbres depenssants. In air pollution and forest dec1ine(eds. J. B. Bucher and I. Bucherwallin proc. 14th Int.) Meeting for specialists in air pollution effects on forest ecosystems. IUFR0 P2. 05: 141-146 

  10. Guderian, R. 1985. Air pollution by photochemical oxidants. Ecolo-gical studies 52. Springer Verlag, Berlin, Germany. pp. 296 

  11. Hales, J.M. 1972 fundamentals of the theory of gas scavenging by rain. Atomospheric Environment 6: 653-659 

  12. Hiraki, T., M. Tamald, H. Mitsugi and H. Watanabe. 1985. Estimation of air pollution by rainwater components. Bull. of Hyogo Prefectural Pollution Station 17: 6-11 

  13. Larssen, T. and G.R. Carmichael. 2000. Acid rain and acidification in China : The importance of base deposition. Environment Pollution 110: 89-102 

  14. Sheppard, L.J., I.D. Leith, and J.N. Cape. 1994. Effects of acid mist on mature grafts of Sitka Spruce. Part I. Frost hardiness and foliar nutrient concentrations. Environmental Pollution 85: 229-238 

  15. Smith, W.H. 1990. Air pollution and foersts. Springer Verlag New York Inc. New York. 117-290 

  16. Wang, T.J., L.S. Jin, Z.K. Li and K.S. Lam. 2000. A modeling study on acid rain and recommended dmission control strategies in China. Atomospheric Environment 34: 4467-4477 

  17. Whitehead, P.G., S. Bird, M. Homung, J. Cosby, C. Neal and P.Paricos. 1988. Stream acidification trends in the welsh uplands - a modelling study of the Llyn Brianne catchments J. of Hydrology. 101: 191-212 

  18. Zunckel, M., L. Robertson, P.D. Tyson and H. Rodhe. 2000. Modelled transport and deposition of sulphur over Southern Africa. Atomospheric Environment 34: 2797-2808 

  19. 小林禧樹. 1995. 山林樹冠への酸性沈着の影響評價-乾性沈着溶分別評價法檢討. 環境科學會誌 8(1): 25-34 

  20. 下原孝章. 1993. 大氣中の酸注降下物の動態と沈着評價(1). 大氣汚染學會誌 28(5): 295-3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