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족의 건강성과 양육효능감 및 유아의 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Strengths, Mothers' Self-Efficacy and Children's Social Behavior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2 no.12 = no.202, 2004년, pp.219 - 230  

안선희 (경희대학교 아동가족전공) ,  김선영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between the family strengths, mothers' self-efficacy, and their young children's teaming-related social skills and behavior problems. The subjects were the 217 children aged 4 to 6 years and their mothers at private child care centers in Se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0).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많이 연구된 대인관계 기술보다는 새롭게 관심을 받고 있는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과 함께 행 동문제가 가족의 심리적 환경과 관계가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 일반적으로 사회적 행동은 사 회적 기술과 행동문제로 구분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기술을 특허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 (learning-related social skills)^] 초점을 맞주어 조사하 고자 한다.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은 Gosper와 Farran (1988, 1991) 그리고 Bronson( 1996)0] 사회적 행동을 두 개의 범주.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의 건강성이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 및 행동문제와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며, 분석결과에 따라 논 의를 하자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가족의 건강성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유아의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 및 행동문제와의 관계를 고 찰함으로써 유아의 사회성 발달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따라서 가족원들끼리 유대가 강 하고 의사소통이 원만하게 이루어지며 위기나 문제를 긍정적인 방법으로 처리하는 능력을 지닌 가족 일 경우, 부모의 양육효능감이 실제로 높게 나타날 는지 여부를 조사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에 본 연구는 가족의 건강성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유아의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 및 행동문제와의 관계를 고 찰함으로써 유아의 사회성 발달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결론적으로. 인간의 건전한 성장을 위해서는 건강한 가족이 필수적이라는 사실을 본 연구를 통해 재 확인하였다. 현재 우리사회에서 가족구조와 기능의 변화, 이혼 등으로 인한 가족해체와 가정폭력의 증 가, 아동양육의 가치관 변화 등이 유아의 건강한 발 달을 위협하고 있는 현 실정에서.

가설 설정

  •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의 건 강성과 유아의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 및 행동문제 는 관계가 있는가? 둘째, 가족의 건강성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관계가 있는가?
  • 다섯째, 가족의 건강성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가족이 지니 는 특성이 그 가족 내에서 살아가는 구성원들의 신 념 및 가치 형성과 무관하지 않다는 가정을 실증해 주었다고 할 수 있다. 예측한대로 가족원간에 애정 과 친밀감이 있고 긍정적인 의사소통을 하는 가족 이라고 지각하는 어머니는 자녀양육에 대한 자신감 도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김기현(1998).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6(9), 49-62 

  2. 문태형(2002). 어머니의 사고방식 및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아동학회지,23(6), 49-63 

  3. 문혁준(1999). 취업모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부모 효능감이 자녀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37(6), 97-107 

  4. 박성연,임희수(2000). 2-3세 유아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관련된 변인들: 부모에 대한 애착 표상 및 부부관계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21(1), 59-72 

  5. 박정희, 유영주(2001). 도시가족의 건강성 및 주부의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전업주부와 취업주부의 차이를 중심으로. 건강가족연구(313-350). 서울: 교문사 

  6. 서소정(2004). 양육효능감: 자녀양육행동 매개모델. 대한가정학회지,42(4), 11-27 

  7. 신숙재(1997),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사회적 지원과 부모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양순미,유영주(2000). 부모와 자녀세대가 인지한 농촌가족의 건강성 및 관련변인의 특성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5(1), 67-91 

  9. 양순미,유영주(2003). 자아존중감,가족의 건강성,사회인구학적 변인이 농촌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41(9), 121-134 

  10. 어은주,유영주(1995). 가족의 건강도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13(1), 81-94 

  11. 어은주,유영주 (1997). 도시가족의 건강성 및 관련변인 연구 -자녀교육기 가족의 주부를 대상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15(4), 269-285 

  12. 유영주(2002). 건강가족 연구에 대한 문헌고찰. 생활과학논집,6(1), 1-24. 경희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13. 유영주 외(2004). 새로운 가족학. 서울: 신정 

  14. 윤세은(2000).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과 자아정체감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정현희, 오미경(2000). 아동의 감각추구성향 및 어머니 양육행동과 남녀 아동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8(6), 171-183 

  16. 정현희,최경순(2001). 아동의 기질과 문제행동과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19(5), 1-14 

  17. 정혜인(2002). 어머니의 양육신념 및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최석란(2002). 어린이의 또래관계. 서울: 다음세대 

  19. 최정혜(2004). 주말부부의 가족스트레스,대처전략 및 가족건강성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22(2), 69-83 

  20. 최형성(2001).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 및 스트레스와 아동의 기질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홍성례,유영주(2001). 남편이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과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건강가족연구(423-461). 서울: 교문사 

  22. Bachman, H. J., & Morrison, F. J. (2002). Early literacy: Toward a comprehensive model. Unpublished manuscript 

  23. Belsky, J., & Vondra, J. (1989). Lessons from child abuse: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In D. Cicchetti & V. Carlson (Eds.), Child maltreatment: Theory and research on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child abuse and neglect(pp.153-202).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Bronson, M. B. (1996). Manual for the bronson social and task skill profile(teacher version). Chestnut Hill, MA: Boston College 

  25. Bronson, M. B., Goodson, B. D., Layzer, J. I., & Love, J. M. (1990). Child behavior rating scale. Cambridge, MA: Abt Associates 

  26. Cooper, D. H., & Farran, D. C.(1988). Behavioral risk factors in kindergarte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3, 1-19 

  27. Cooper, D. H., & Farran, D. C.(1991). The Cooper-Farran behavioral rating scales. Brandon, VT: Clinical Psychology Publishing Co. Inc. 

  28. DeFrain, J., & Stinnett, N. (2002). Family strengths. In J. J. Ponzetti et al.(Eds.),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marriage and family(2nd ed.). New York: Macmillan Reference Group 

  29. Gresham, E. M., & Elliott, S. N. (1990). Social skills rating system. Circle Pines, MN: American Guidance Service 

  30. Grusec, J. (1994). Parenting cognitions and relationship schemes. New Directions for Child Development, 66, 5-19 

  31. McClelland , M. M., & Morrison, F. J. (2003). The emergence of learning-related social skills in preschool childre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18, 206-224 

  32. McClelland, M. M., Morrison,F. J., & Holmes, D. H. (2000). Children at-risk for early academic problems: The role of learning-related social skill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5, 307-329 

  33. Merrell, K. W. (1999). Behavioral, social and emotional asses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Mahwah, N. J.: Erlbaum 

  34. Olson, D. H., & DeFrain, J. (1999). Marriage and the family: Diversity and strengths(3rd ed.). Mountain View, CA: Mayfield Publishing Co. 

  35. Otto, H. A. (1962). What is strong family? Marriage and Family Living, 24, 77-80 

  36. Speece, D. L., & Cooper, D. H. (1990). Ontogeny of school failure: Classification of first-grade children.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7, 119-140 

  37. Stinnett, N., & Sauer, K. H. (1977).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of strong families. Family Perspectives, 11, 3-11 

  38. Stinnett, N., & DeFrain, J. (1985). Secrets of strong family. Boston: Little, Brown 

  39. Stott, D. H., Green, L. F., & Francis , J. M. (1983). Learning style and school attainment. Human Learning,2, 61-75 

  40. Teti, D., & Gelfand, D. (1991). Behavioral competence among mothers of infants in the first year: The mediational role maternal self-efficacy. Child Development, 62(5), 918-929 

  41. Yoo, Y. J. (2004). Characteristics of Korean family strengths. The Korean International Family Strengths Conference. Building Family Strengths: Individual, Social, and National Development. Seoul,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