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족의 건강성과 학령기 아동의 자아탄력성
Family Strengths and Ego-Resilience of School-Aged Children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3 no.3 = no.75, 2005년, pp.93 - 102  

강희경 (서일대학 사회복지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nter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ngths and ego-resilience of school-aged children. The Family Strengths Scale is composed of four factors; family commitment, family communication, family values and family crisis coping strategies. The participants were 392 mothers with schoo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합하여 볼 때, 건강한 가족을 나타내주는 준거로는 가족원간의 유대, 가족원간의 원활한 의사소통, 가 족원의 문제해결 수행능력, 가족원간의 가치체계 공유라는 특성 으로 요약되어질 수 있겠다(어은주, 199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은주(1996)가 제시한 건강가족의 정의에 따라, 가족의 건 강성을 "가족원간의 유대” "가족원간의 원활한 의사소통”, "가 족원의 문제해결 수행 능력”, 그리고 "가족원간의 가치체계 공 유”의 4가지 하위 개념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보고, 학령기 자녀 를 둔 어머니가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 요인이 어떤 특성을 보 이며, 이에 따라 아동의 자아탄력성에 어떤 효과가 나타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어은주(1996)의 건강가족의 정의 를 채택한 이유는 연구자에 의해 개발된 가족의 건강성 측정도 구가 한국의 사회 문화적 배경을 반영할 뿐 아니라, 도구 개발 과정에 참여한 대상자들이 자녀교육기 자녀를 둔 주부들이므로 본 연구 대상에 부합된다고 보여지기 때문이다.
  • 부모의 교육수준이 낮고, 가족의 수입이 적을수록 가족의 건 강성이 낮아진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가족의 건강성이 낮은 교 육수준의 저소득층 가족이 높은 교육수준의 중산층이상 가족보다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가족의 건강 성을 증진하기 위한 제반 프로그램을. 운영할 때, 무엇보다 우선 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대상이 저소득층 가족이어야 하며, 가 족의 건강성을 지원하기 위한 사업을 실행할 때 사회적 계층에 따른 운영이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 이 갖고 있는 탄력성의 일반적 경향을 제시함과 동시에 보호요 인이라 할 수 있는 가족의 건강성이 어떠한가를 구체적으로 살 펴봄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는 학령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여 어머니 가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과 자녀의 자아탄력성의 일반적 경향을 분석하고, 이들 간의 관련성을 분석해 하고자 실행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초등학교 5, 6학년에 재학 중인 자녀를 둔 어머니 392명이었으며, 분석을 통해 얻어진 주요 연구 결과와 그 의미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이상과 같이 일련의 국내 연구에서는 아동의 성별과 가족의 수입, 그리고 부모의 교육수 준과 같은 일반적 배경 변인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아동의 자아탄력성의 일반적 경향을 분석하고, 가족과 아동의 일반적 배경 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볼 것이다.
  • 이는 연구대상자가 거주하는 지역이 도시인가 농촌인가에 따른 가족문화의 차이 때문인 것으로 유추된다.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자녀를 둔 가족의 건강성 의 일반적 경향을 분석하고, 가족의 수입과 가족원수, 가족형태, 부모의 교육수준과 어머니의 취업유무, 아버지의 직업유형 등과 같은 일반적 배경 변인에 따른 가족의 건강성의 차이를 제시할 것이다.
  • 따라서 건강가정기본법 시행과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학문 적 . 실천적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가족의 건강성'에 주목하여 가족의 건강성이 아동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족의 건강성과 아동의 자아탄력 성의 일반적 경향을 분석하고, 가족의 건강성이 아동의 자아탄 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할 것이다.
  • 2005년 1월 1일부터 시행된 "건강가정기본법”은 건강한 가정 생활의 영위와 가족의 유지 및 발전을 위한 국민의 권리 . 의무 와 국가 및 지방자치 단체 등의 책임을 명백히 하고, 가정문제 의 적절한 해결방안을 강구하며 가족구성원의 복지증진에 이바 지할 수 있는 지원정책을 강화함으로써 건강가정 구현에 기여 하는 것을 목적으로 제정되었다. 최근 우리나라는 이혼율 증가, 저출산, 가족구성원간 학대 .
  • 가족의 지지적인 환경 특성이 개인의 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이라는 데에는 이론의 여지가 없지만, 구 체적으로 어떠한 가족의 지지적 특성이 자아탄력성과 긍정적인 관련을 갖는가를 다룬 체계적인 연구는 찾아볼 수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들어 우리나라에서 많이 논의되고 있는 가족의 건강성과 아동의 자아탄력성 간의 관계에 주목 하고자 한다. '가족의 건강성'이란 가족원 상호간의 규칙적이고 다양한 상호작용을 적절하게 수행하고, 가족의 공동체적, 정서 적, 도덕(가치)적 관계 향상을 도모함으로써 신체적, 정신적, 사 회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라고 정의(어은주, 1996) 할 수 있다.
  • 가족의 건강성에 대한 국내 연구가 비교적 최근 들어 활발히 이루어져 왔고, 더구나 건강가족이 갖는 의미에 대한 탐색적 연구가 주된 논의의 핵심을 이루는 상황을 감안할 때, 가족의 건 강성과 아동의 자아탄력성 간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다룬 연구는 찾아볼 수가 없다. 이에 본 절에서는 가족환경의 전반적인 특성, 즉 부모-자녀관계, 부모의 양육태도 등과 자녀의 자아탄 력성 간의 관계를 다룬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권대희 . 오윤자(2004). 청소년기 자녀가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1), 115-127 

  2. 권지은(2003). 부모 및 또래 애착, 문제해결방식과 자아탄력성(Ego-Resiliency)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권해수(2003). 성학대 피해 청소년의 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김미옥(2001). 장애아동가족의 적응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관한 연구 -가족탄력성(Family Resilience)의 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김석우 . 김정섭 . 김명선 . 정혜영 . 조영기 . 박경미 . 정성아 . 박동성 . 백영옥(2003). 사회과학 연구를 위한 SPSS WIN 10.0 활용의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6. 남영옥 . 김재한(2003). 알코올중독자를 부모로 둔 청소년 자녀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학교적응유연성과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0(1), 199-221 

  7. 보건복지부(2004). 2005. 1. 1. 건강가정기본법 시행 -건강하고 행복한 가정생활을 도와드립니다-. 2004년 12. 30. 보도자료. www.mohw.go.kr 

  8. 서병숙(1994). 건전가정 육성을 위한 실천적 과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2(2), 275-279 

  9. 서지영(2002). 부모이혼이 자녀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유연성 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양국선 . 장성숙(2001). 학교적응유연성과 관련된 보호요인 특성 연구: 야간실업고등학교 근로청소년 대상.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3), 127-148 

  11. 양순미 . 유영주 . 정현숙(2001). 한국 농촌의 건강가족 집단 분류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자녀교육기의 농촌 가족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4), 31-48 

  12. 양옥경 . 최명민(2001). 한국인의 한과 탄력성: 정신보건사회사업에의 적용.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11, 7-29 

  13. 어은주(1996). 한국도시가족의 건강성 및 관련 변인 연구 -자녀교육기 가족의 주부를 대상으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어은주 . 유영주(1995). 가족의 건강도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3(1), 145-155 

  15. 유계숙(2004). 건강가족이 요소에 관한 연구-가족체계와 건강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 25-42 

  16. 유영주(1991). 건전가정 육성을 위한 가정복지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9(1), 45-63 

  17. 유영주(1994). 건강한 가족을 위한 가족원의 역할. 한국아동학회 제16차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27-42 

  18. 윤세은(2000).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과 자아정체감과의 관계 -서울시 남녀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 윤현희(1998). 부모보고형의 자아탄력성 척도의 개발.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이은미 . 박인전(2002). 부모-자녀 유대관계와 아동의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한국가족복지학, 7(1), 3-24 

  21. 정도화(1997). 스트레스에 대한 아동과 청소년의 탄력성. 교육문제연구, 9-205-223 

  22. 정미현(2003).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아탄력성 및 친구간 갈등 해결전략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Block, J. (1982). Assimilation, accommodation, and the dynamics of personality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53, 281-295 

  24. Bloom, B. L.(1985). A factor analysis of self report measures of family functioning. Family Process, 24, 225-239 

  25. DeFrain, J. (2002). Global perspective on strong families. Building Family Strengths International Conference Proceeding Book, June 12-14, Shanghai. China 

  26. Germain, C. B.(1991). Human Behavior in the Social Environment.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27. Hair, J. T., Anderson, R. E., Tatham, R. L. & Black, W. C. (1998). Multivariate data analysis. Upper Saddle River, NJ : Prentice Hall 

  28. Kirby, L. & Fraser, M.(1997) Risk and Resilience in Childhood. In M. Fraser(Ed), Risk and Resilience in Childhood, 10-33. Washington, DC: NASW Press 

  29. Lewis, J. M., Beavers W. R. Gosett, J. T. & Phillips, V. A.(1976). No Single Thread: Psychological Health in Family System. N.Y. : Brunner/Mazel 

  30. Olson, D. & McCubbin, H. W.(1983). Families What makes them work. Beaverly Hills, CA:Sage 

  31. Olson, D., Russell, D. & Sprenkle, D.(1983). Circumplex model of marita and family system: VI theoretical update. Family Process, 22, 69-83 

  32. Otto, H. A.(1962). What is a strong family?. Marriage and Family Living, 24, 77-91 

  33. Stinnett, N. & DeFrain, J. (1985). Secrets of strong families. Boston: Little Brown & Co 

  34. Walsh, F.(1998). 양옥경 . 김미옥 . 최명민 역(2002). 가족과 레질리언스. 서울:나남출판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