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추가령 열곡의 철원-평강 용암대지 형성에 따른 하계망 혼란과 재편성
Drainage Derangement and Revision by the Formation of Cheolwon-Pyeonggang Lava Plateau in Chugaryeong Rift Valley, Central Korea 원문보기

대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39 no.6 = no.105, 2004년, pp.833 - 844  

이민부 (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 ,  이광률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  김남신 (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추가령 열곡에서 열하분출에 의한 용암대지가 형성되면서 기존의 하곡들이 매몰되어 하계망 혼란이 일어나고, 새로운 분수계가 형성과 함께 하계망 재편성이 진행되고 있다. 이 지역은 안변 남대천, 북한강, 임진강, 한탄강 유역이 접하는 복잡한 분수계 혼란 지역으로서 분수계의 핵심 지점은 중심분출 화산인 평강의 오리산(453m)과 680봉이며, 보다 평탄한 곳에서는 하천 쟁탈이 복잡하게 전개되고, 평탄면에서 유역이 가까이 접하면서 쟁탈 전선도 형성된다. 특히 오리산은 4개의 분수계를 가르는 분수점 기능을 한다. 고도가 높은 산록에서는 두부 침식에 의해 하천 쟁탈이 발생한다. 수문지형적으로는 용암이 하곡을 메우면서 범람원의 면적이 줄어들어 호우에 의한 침수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며, 보다 활발한 용암대지 개석작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Chugaryeong rift valley, lava plateau formation by the fissure eruption had vanished original landforms and effected on drainage derangement and revision. 4 rivers including Namdae-cheon, Bukhan-gang, Imjin-gang and Hantan-gang watersheds have shared Cheolwon-Pyeonggang lava plateau, that is, ow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지형학적으로 용암대지 형성에 의한 분수계 흔란 현상에 대한 소개와 많은 지형학적 용어가 제시하였다. 그러나 접근이 불가능한 지역이므로, 용암대지와 하곡의 분수계에 대한 정밀한 경계선 설정에서 확인이 안 된다는 점에서, 차후에 여건이 허락된다면 지역 조사를 통해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이러한 현상은 현무암 용암 대지의 형성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서 지형변화와 함께 수문 변화까지 가져오게 된다. 본 논문은 철원-평강 지역을 대상으로 용암대 지 형성에 따른 이러한 하계망 혼란과 분수계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2).
  • 본 연구는 화산지형으로서 추가령 열 곡에서 용암분출과 용암대지 형성에 따른 기존의 지형의 변화, 특히 하계망 변화 등 지형형성과정을 가설적으로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김도정, 1973, '한국의 화산지형,' 지리학회보, 7, 1-9 

  2. 김두일. 이형호. 한 욱, 1993, 서울-철원간 추가령곡의 군사지리적 분석,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3. 김상호, 1964, '추가령 열곡에 대한 고찰,' 서울대사대학보, 6(1), 156-161 

  4. 김종규. 강경원. 손명원 역(라우텐자하. 1945), 1998, 코레아, 민음사 

  5. 김종호, 1983, '철원군, 강원도,' 한국의 발견, 뿌리깊은 나무, 190-199 

  6. 김태호, 2000, '화산지형,' 자연환경과 인간, 한국자연지리연구회 편, 한울, 441-466 

  7. 명지대학교 편(원본 소장), 1997, 최근 북한 오만분지일 지형도, 경인문화사 

  8. 부경생 외, 2001, 북한의 농업 -실상과 발전 양상-, 서울대학교 출판부 

  9. 손 일, 2003, '분수계의 지리적 함의와 백두대간,' 한국지형학회 주최 심포지움 논문집, 18-32 

  10. 양교석, 1982, '추가령열곡대 내 한탄강 하류 지역에 분포하는 화산암류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3, 13-25 

  11. 양승영 역(立岩巖, 1976), 1996, '한반도 지질학의 초기연구사,' 경북대학교 출판부 

  12. 염명숙, 1991, '한탄강의 하안단구 연구 -철원-전곡 일대를 중심으로-,' 상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46 

  13. 옥한석, 2002, '북강원도의 자연환경과 역사적 배경,' 북강원의 이해와 남북강원도의 공동체 회복,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엮음, 13-36 

  14. 원종관, 1983, '한반도에서의 제4세계 화산활동에 관한 연구 -추가령 열곡내에서-,' 지질학회지, 19(3), 159-168 

  15. 원종관. 김윤규. 이문원, 1990, '추가령 알칼리 현무암에 대한 지구화학적 연구,' 지질학회지 26(1), 70-81 

  16. 이민부, 2004, '추가령 구조곡의 철원-평강 용암대지 형성에 따른 하계망 혼란과 재편성,' 한국지형학회 2004년 하계 학술대회 초록집, 12-16 

  17. 이민부. 이광률. 김남신, 2004. '추가령 열곡의 철원-평강 용암대지 형성에 따른 하계망 혼란과 재편성(II),' 대한지리학회 2004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47 

  18. 이민부. 김남신, 2002, 'Hough변환과 음영기복을 이용한 추가령구조곡의 선형구조 분석,' 지질학회지, 38(4), 457-469 

  19. 이민부. 김남신. 양철수. 한 욱, 2001a, '추가령 구조곡 하계망의 방향성과 프랙탈 차원 해석,' 지질학회지, 37(4), 597-609 

  20. 이민부. 이광률, 2002, '추가령 구조곡의 하안단구 노두 분석 -철원 율리리 독서당천을 중심으로-,' 한국지형학회지, 9(2), 83-93 

  21. 이민부. 이광률, 2003a, '추가령 구조곡의 하안단구 지형분석,' 한국지형학회지, 10(2), 157-173 

  22. 이민부. 이광률, 2003b, ' 추가령 구조곡 차탄천 상류와 독서당천의 고지형 분석,' 한국지형학회지, 10(3), 345-358 

  23. 이민부. 이광률, 2004, '추가령 구조곡의 차탄천 하류 현무암층 하부 점토층 분석,' 한국지형학회지, 11(3), 97-111 

  24. 이민부. 이광률. 윤순옥. 한주엽, 2001b, '추가령 열곡 대광리 단층대의 구조운동과 지형발달,' 지질학회지, 37(2), 257-268 

  25. 이민부. 이광률. 윤순옥. 황상일. 최한성, 2001c, '추가령 구조곡 연천 단층대에 분포하는 합류 선상지의 퇴적 환경분석,' 지질학회지, 37(3), 345-364 

  26. 이민부. 최한성, 2003, '추가령 구조곡의 철원 율리리 퇴적층 분석,' 한국지형학회지, 10(1), 1-10 

  27. 이민부. 한주엽, 1999, '산계령 일대의 분수계와 지형경관 분석,' 지리환경교육, 7, 375-398 

  28. 이민부. 한주엽, 2000, '분수계의 지형적 개념과 기능,' 대한지리학회지, 35(4), 503-518 

  29. 이형호. 한 욱. 김동진. 김두일, 1992, '철원 일대 추가령 구조곡의 지질 및 지형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1392), 136-144 

  30. 木野崎, 1937, '조선의 제4기 화산에 관하여,' 조선박물학회지, 22, 3-8(일본어) 

  31. Baker, V. R., Gredey, R., Komar, P. D., Swanson, D. A., and Waitt, Jr., R. B., 1987, Columbia and Snaker river plains, Geomorphic Systems of North Amenrica, ed., by Graf. W. L., Th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403-468 

  32. Feldman,S., Harris,S., and Fairbridge, R. W., 1968, Drainage patterns, in Fairbridge and Dowden (eds.). The Encyclopedia of Geomorphology, Hutchinson and Ross, Stroudburg, 284-290 

  33. Lee, M. B., 1993, Geomorphic Evolution of Lacustrine and Prolacustrine Slope Profile of Late Pleistocene Pluvial Lakes in the Eastern Great Basin, Western U.S.A.,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Utah 

  34. Lee, M. B, Han, U., Yang, C. S., Choe, H. S., Kim, N. S., and Han, J. Y., 2000, Geomorphic responses to the tectonic activity in Chugaryung rift valley, central Korea, Geosciences Journal, 4(sp. ed.), 93-96 

  35. Russell, L. R. and Snelson, S., 1994, Structural style and tectonic evolution fo the Albuquerque basin segment of the Rio Grande Rift, New Mexico, U.S.A., ed. by, Landon, S. M., Interior Rift Basins, A.A.P.G. Memoir 59, 205-25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