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기${\\cdot}$강원 지역 감입곡류 하천의 곡류절단면 분포 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Incised Meander Cutoff in Gyeonggi and Gangwon Provinces, Central Korea 원문보기

대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39 no.6 = no.105, 2004년, pp.845 - 862  

이광률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  윤순옥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경기, 강원 지역을 대상으로 감입곡류절단 지형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검토하였다. 강원도에서도 높은 산지지역인 정선군 및 인제군을 주로 흐르는 내린천 및 동대천 등의 하천에서 곡류절단면의 분포 밀도가 가장 높았다. 곡류절단의 발생은 제4기 동안 반복적으로 나타났으며. 빙기와 간빙기 사이의 기후 변동기에 집중된 것으로 추정된다. 지질별로는 퇴적암에서 분포 빈도가 가장 높고, 화성암에서 가장 낮았다. 지질구조로 볼 때, 태백산맥으로부터 서쪽 $11{\sim}20km$ 거리에 가장 많이 분포하며. 적종하천이나 적종하천에 유입하는 지류의 하구부, 즉 단층선에 직교하는 하천에서 곡류절단이 가장 활발하였다. 태백산맥에서의 거리와 해발고도와의 관계는 영서하천에서 매우 뚜렷하고, 하상비고 및 절단면 면적과의 관계에서는 태백산맥에서 서쪽 12km를 기준으로 동서로 갈수록 값이 작아진다. 기반암 종류에 대한 해발고도. 하상비고, 하천차수와의 관계는 공통적으로 퇴적암 지역에서 값이 가장 높으며, 화산암 지역에서 가장 낮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incised meander cutoff in Gyeonggi and Gangwon Provinces of Central Korea. The density of meander cutoff is highest in the mountain rivers including Naerin and Dongdae flowing on Jeongseon-gun and Inje-gun of Gangwon Province. M...

주제어

참고문헌 (20)

  1. 권혁재, 2001, 지형학, 법문사 

  2. 손명원, 1996, '하안단구와 태백산지의 지반운동 유형,' 한국지형학회지, 3-1, 45-53 

  3. 송언근, 1993, 한반도 중.남부지역의 감입곡류 지형발달,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송언근, 1998, '동강유역 하안단구와 곡류절단의 지형 발달,' 한국지형학회지, 5(2), 109-130 

  5. 윤순옥. 이광률, 2000, '홍천강 중.하류의 하안단구 지형 발달,' 대한지리학회지, 35(2), 189-206 

  6. 윤순옥. 황상일, 2000, '한국 남동해안 해안단구의 지형형성 mechanism,' 대한지리학회지, 3(1), 17-38 

  7. 윤순옥. 황상일. 반학균, 2003, '한반도 중부 동해안 정동진, 대진 지역 해안단구 지형발달,' 대한지리학회지, 38(2), 156-172 

  8. 이광률, 2003, '사내천의 하안단구 지형 분석,' 한국지형학회지, 10(3), 359-372 

  9. 이광률, 2004a, '소양강 상류 하안단구의 지형면 특성과 퇴적물 분석,' 대한지리학회지, 39(1), 27-44 

  10. 이광률, 2004b, '북한강 하안단구 퇴적층의 풍화 특성,' 대한지리학회지, 39(3), 425-443 

  11. 이광률. 윤순옥, 2003, '홍천강 하안단구의 형성시기별 역 풍화 특성,' 지질학회지, 39(4), 431-444 

  12. 이민부. 이광률, 2003, '추가령구조곡의 하안단구 지형 분석,' 한국지형학회지, 10(2), 157-173 

  13. 최성길, 1995, '한반도 중부동해안 저위해성단구의 대비와 편년,' 대한지리학회지, 30(2), 103-119 

  14. Bloom, A.L. and Park, Y.A., 1985, Holocene sea level history and tectonic movement, Quaternary Research, Korea, 24, 77-84 

  15. Hooke, J.M. and Redmond, C.E., 1992, Causes and nature of river planform change, in Billi, P., Hey, R.D., Thorne, C.R., and Tacconi, P.(ed.), Dynamics of Gravelbed Rivers, John Wiley & Sons, 557-571 

  16. Leopold, L.B., 1994, A View of the River, Harvard University Press. 

  17. Rhoads, B.L. and Welford, M.R., 1991, Initiation of river meandering, Progress in Physical Geography, 15-2, 127-156 

  18. Schumm, S.A., 1999, Causes and controls of channel incision, in Darby, S.E. and Simon, A.(eds.), Incisied River Channels: Processes, Forms, Engineering and Management, John Wiley & Sons, 19-33 

  19. 崖成吉, 1997, 韓國東海岸における後期更新世段丘地形の發達過程と最終間氷期の海水準, 日本東北大學 大學院 博士學位論文 

  20. 豊島正幸, 1980, '日本と韓園における還流丘陵の分布,' 西村嘉助先生退官記念地理學論文集, 99-1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