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상체질(四象體質)에 근거(根據)한 체질별(體質別) 체형특성(體型特性)과 인체계측(人體計測)을 통(通)한 유형별(類型別) 체형특성(體型特性)과의 비교연구(比較硏究)- 20대(代) 성인여성(成人女性)을 중심(中心)으로 -
Comparative Study on Somatotype Characteristic based on Sasang Physical Constitution and Body Measurement Method for Women in their 20's 원문보기

패션비즈니스 = Fashion business, v.8 no.2, 2004년, pp.26 - 41  

심부자 (동아대학교 의상섬유학부) ,  서추연 (동아대학교 의상섬유학부) ,  이소영 (동아대학교 의상섬유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somatotype characteristics in clothing ergonomics as well as Sasang (Oriental physical constitution type classification into 4 kinds: taeyang, taeeum, soyang, soeum) medicine. The subjects were women collegians in their 20s. As a result, a new approach was ma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체질에 따른 체형특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판단하고, 이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20대 여대생을 대상으로 사상체질 분류에 의한 체질별 체형특성과 피복인간공학분야에서 실시하고 있는 인체계측을 통한 유형별 체형특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보다 신뢰도가 높은 체질특성을 밝히고자 하였으며, 피복인간공학 분야에서의 체형분류에 새로운 접근을 시도해 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첫째, 사상체질에 근거하여 분류된 체질별 인체 계측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 둘째, 1차원 직접계측을 통하여 추출된 유형별 체형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사상체질에 근거하여 분류된 체질별 체형특성과 인체계측을 통하여 추출된 각 유형별 체형 특성을 비교해 봄으로써, 체질에 따른 체형특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체질에 따른 체형특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판단하고, 이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20대 여대생을 대상으로 사상체질 분류에 의한 체질별 체형특성과 피복인간공학분야에서 실시하고 있는 인체계측을 통한 유형별 체형특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보다 신뢰도가 높은 체질특성을 밝히고자 하였으며, 피복인간공학 분야에서의 체형분류에 새로운 접근을 시도해 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첫째, 사상체질에 근거하여 분류된 체질별 인체 계측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 둘째, 1차원 직접계측을 통하여 추출된 유형별 체형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사상체질에 근거하여 분류된 체질별 체형특성과 인체계측을 통하여 추출된 각 유형별 체형 특성을 비교해 봄으로써, 체질에 따른 체형특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20대 여대생을 대상으로 사상체질 분류에 의한 체질별 체형특성과 피복인간공학분야에서 실시하고 있는 인체계측을 통한 유형별 체형특성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피복인간공학 분야에서의 체형분류에 새로운 접근을 시도해 보고자 하였으며,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사상체질과 비교하기 위하여 체질의 수와 유사한 집단 수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2개의 군집은 사상체질에 비해 양극화 현상이 뚜렷하였으며, 3개 군집으로 분류하였을 때는 4, 5개의 군집분류에 비해 소수의 집단이 출현하지 않았으므로 최종적인 군집의 수를 3개로 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상체질 의학은 무엇을 통해 발표되었는가? 1894년 이제마가‘동의수세보원’을 통해 발표한 사상체질 의학은 여러 체질의학 가운데 가장 획기적이고 체계적인 이론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사람의 체질을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의 네 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사상체질의 감별에는 외모, 심성, 병증 등 세 가지가 주요한 지표로 적용된다.
사상체질 의학에서 사상체질의 감별에는 무엇이 주요한 지표로 적용되는가? 1894년 이제마가‘동의수세보원’을 통해 발표한 사상체질 의학은 여러 체질의학 가운데 가장 획기적이고 체계적인 이론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사람의 체질을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의 네 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사상체질의 감별에는 외모, 심성, 병증 등 세 가지가 주요한 지표로 적용된다. 사상체질의 경우, 체질마다 일정한 체격패턴이 있어서 이것만으로도 체질이 구별되는 경우가 많으며, 체격은 후천적으로 변화될 수 있어서 영양 상태나 질병 때문에 발육에 따른 차이를 나타낼 수 있으나, 기본적인 체형은 거의 달라지지 않는다(심재평, 1999).
사상체질 의학은 사람의 체질을 어떻게 구분하고 있는가? 1894년 이제마가‘동의수세보원’을 통해 발표한 사상체질 의학은 여러 체질의학 가운데 가장 획기적이고 체계적인 이론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사람의 체질을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의 네 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사상체질의 감별에는 외모, 심성, 병증 등 세 가지가 주요한 지표로 적용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김수범(2000), 내 몸에 꼭 맞는 체질건강법, 동아시아출판사 

  2. 김혜경(1997), 피복인간공학 실험실계방법론, 교문사 

  3. 대한 사상의학회(1970), www.esasasang.com 

  4. 대한 사상체질연구회(2001), www.sinbihan.co.kr 

  5. 산업자원부 기술 표준원(1997), KS A-7003 

  6. 산업자원부 기술 표준원(1999), KS A-7004 

  7. 산업자원부 기술 표준원(1997), 국민표준체위조사 

  8. 손병욱(1997), 사상의학의 이해(상?하), 행림출판사 

  9. 송일병(1993), 알기 쉬운 사상의학, 하나미디어 

  10. 심부자(1997), 피복인간공학, 교문사 

  11. 심재평(1999), 사상의학의 사상체질과 동, 서양의 체질유형론 비교연구, 성균관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이문호(1988), 사상체질유형과 체격 및 신체형태지수와의 비교연구, 원광대 한의학과 석사논문 

  13. 이정임,남윤자(2002), 18-24세 한국인 여성의 표준체형에 관한 연구(제1보)-다빈도유형 및 다빈도구간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6(5), 630-641 

  14. 이정임,남윤자(2002), 18-24세 한국인 여성의 표준체형에 관한 연구(제2보)-표준프로포션과 표준체형에 대하여, 한국의류학회지, 26(6), 801-810 

  15. 정명숙(1994), 성인 여성 체형의 분류 및 연령별 특징연구, 서울대학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16. 최유경?이순원(1998), 성인 여성의 정면 체형에 대한 형태적 분류, 한국의류학회지, 22(1), 80-8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