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관한 연구
Korean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3 no.4 = no.206, 2005년, pp.111 - 123  

최형성 (혜천대학 아동컴퓨터보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hild, mother, and family characteristics on parenting self-efficacy of 416 Korean mothers living in Seoul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was positively related to mother's perceived social support, child's temperament, and fam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관련변인들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기 위하여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 각 하위영역에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전반적인 양육효능감의 경우, 아동 관련 변인(R2=.
  • 자녀 양육 중 특히 첫째를 양육하는 일은 부모에게 개인적, 가족적, 사회적, 직업적 변화를 유도하고 때때로 부모로서의 적응 위기를 겪게 하는 어려운 일이다(Levi-Shi成 et al, 1998). 그러나 아직까지 아동의 출생 순서와 양육효능감과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가 드물기에 본 연구에서는 이 두 변인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여 보는 것에 의미를 두고자 한다.
  • 양육효능감에 관한 관심이 아직까지 부족한 국내의 현실을 고려하여 볼 때, 성급한 프로그램 개발보 다는 이를 위한 선행연구로써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과 제라 하겠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알려졌으나, 이변인들을 통합할 때 어떤 영향력을 가지는 지 연구되지 못한 아동 관련 변인(아동의 연령, 성, 기질, 출생순위), 어머니 관련 변인(어머니의 사회적 지원, 스트레스. 교육수준, 연령, 취업유무), 가정환경 변인(자녀의 수, 가족 수입)들을 중심으로 이 변 인들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 0001). 또한 독립변인들 간의 상관관계가 회귀계수에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고자 공선성이 존재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허용도와 분산 팽창요인을 산출하였고, 그 결과 허용도, 분산팽창 요인의 값이 모두 .
  • 초등학교 고학년의 시기는 아동기에서 청소년기로 전이되는 시기로 부모는 새로운 양육에 대한 가 치와 태도, 행동을 갖추어 나가야만 하는 시기이다 (최형성, 2002). 또한 자녀 양육의 일차 책임자가 어머니라는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아동 관련 변인과 어머니 관련 변인, 환경적인 변인들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얼마나 잘 예측해 줄 수 있 는지 살펴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아동 관련 변인(아동의 연령, 성, 기질, 출생순위), 어머니 관련 변인(어머니의 사회적 지원 스트레스, 교육수준. 연령, 취업유무), 가정환경 변 인(자녀의 수. 가족 수입)들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얼마나 잘 예측해 줄 수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시작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양육효능감과 관련 변인들과의 관계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양육효능감의 각 하위영역과 관련 변인들의 각 하위영역들과 어떤 상관이 있는지 살펴보았다(표 3). 전반적인 양육효능감의 경우, 접근-철회성, 기분, 주의집중성, 지속성, 남편의 협력, 주위의 도움, 가족수입과 정적 상관이.
  • 이 변인들에 대한 조사는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관한 질문을 통해 이루어졌다. 아동과 어머니의 연령의 경우 만 나이로 응답하도록 질문하였으며, 어머니의 직업에 대해서는 직업별 세분화된 자료를 수집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취업 유와 무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신숙재(1997).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원.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 이명숙(1994). 기질 및 또래 지지가 청소년의 자기평가에 미치는 영향: 단기 종단적 패널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3. 최형성(2002).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 및 스트레스와 아동의 기질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4. 최형성(2005). 남녀아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사회적 지원, 스트레스 및 아동의 기질. 아동학회지, 26(1), 317-328 

  5. 최형원, 정옥분(2001).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적도의 개발. 아동학회지, 22(3), 1-16 

  6. Bandura, A. (1982).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 Psychological Review, 37, 122-147 

  7. Bandura, A. (1997). Self-efficacy : The exercise of cantrol . New York: W. H. Freeman and Company 

  8. Bogenschneider, K., Small, A., & Tsay, J. (1977). Child, parent, and contextual influences on perceived parenting competence among parents of adolescent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9, 345-362 

  9. Brookman-Frazee, L. (2004). Using parenti clinician partnerships in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wth Autism. Journal of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 6(4), 195-213 

  10. Coleman, P. K. & Karraker, K. H. (1997). Self-efficacy and parenting quality: Findings and future applications. Developmental Review, 18,47-85 

  11. Conger, J. J. (1984). Adolecsence and youth: psyclwlogical development in a Changing World.(3rd ed.). New York: Harper & Row 

  12. Cutrona, C. E. & Troutman. B. R. (1986). Social support, infant temperament and parenting self-efficacy: A mediational model of postpartum depression. Child Development, 57, 1507-1518 

  13. Dempsey, L. & Dunst, C. J. (2004). Helping styles and parent empowerment in families with a young child with s disability. Journal of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y, 29(10), 40-51 

  14. Desjardin, J. L. (2003). Assessing parental perceptions of self-efficacyand involvement in families of young children with hearing loss. Volta Review, 103(4), 391-409 

  15. Dorsey, S., Klein, K., Forehand, R, & Family Health Project Research Group. (1999). Parenting selfefficacy of HIV-infected mothers: The role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1, 295-305 

  16. Dumka, L. E., Stoerzinger. H. D., Jackson, K. M., & Roosa,M. W. (1996). Examination of the crosscultural and cross-language equivalence of the parenting self-agencymeasure. Family Relations, 45, 216-222 

  17. Elder, G., Eccles, J., Ardelt, M., & Lord, S. (1995). Inner-city parents under economic pressure: Perspectives on the strategies of parenting.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7, 771-784 

  18. Gondoli, D. M. & Silverberg, S. B. (1977). Maternal emotionaldistressand diminishedresponsiveness: The mediating role of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al perspective taking. Developmental Psychology, 33(5), 861-868 

  19. Gross, D., Fogg, L., & Tuker, S. (1995). The efficacyof parent training for promoting positive parenttoddler relationships.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18, 489-499 

  20. Johnston. C. & Mash, E. J. (1989). A measure of parenting satisfaction and efficacy.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8, 197-175 

  21. Kotchick, B. A, Forehand, R, Brody, G., Armistead, L., Simon, P., & Clark, L. (1997). The impact of maternal HIV infection on parenting in innercity african american families.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1(4), 447-461 

  22. Levy-Shiff, R., Dimitrovsky, L., Shulman, S., & Har-Even, D. (1998). Cognitive appraisals, coping strategies and support resources as correlates of parenting and infant develop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34(6), 1417-1427 

  23. Martin. A. J. & Sanders, M. S. (2003). Balancingwork and family: a controlled evaluation of the Triple P-Positive Parenting Program as a work-site intervention. Child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Volume, 8(4), 161-169 

  24. Mash, E. J. & Johnson, C. (1983). Parental perceptions of child behavior problems, parenting selfesteem, and mother's reported stress in younger and task situations.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2,337-346 

  25. Olioff, M. & Aboud, F. E. (1991). Predicting postpartum dysphoria in primiparous mothers: Roles of perceived parenting self-efficacyand self-esteem.Journal of Cognitive Psychotherapy, 5, 3-14 

  26. Scheel,M. J. & Rieckmann T. (1998). An empirically derived description of self-efficacy and empowerment for parents of children identified as psychologically disordered. The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26, 15-27 

  27. Shapiro, J. R. & Mangelsdorf, S. C. (199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competence in adolescent mother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3(6), 621-641 

  28. Teti, O. M. & Gelfand, D. M. (1991). Behavioral competence among mothers of infants on the first year: The mediational role of maternal self-efficacy.Child Development, 62, 918-92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