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월악산국립공원 등산로의 훼손실태를 파악하고 바람직한 관리와 정비 복원을 위 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영봉을 중심으로 한 4개 등산로의 총 13.5km, 111개 측점에서 등산로 상태를 조사한바 평균 등산로폭 2.6m, 나지 발생폭 2.0m, 최대침식 깊이 16cm, 물매 $26\%$로 나타났다. 훼손유형 별 발생 빈도는 암석노출$(59\%)$, 뿌리노출$(36\%)$, 노폭확대$(28\%)$등의 순이었고, 건전한 지점의 출현 빈도는 $24\%$로 그리 높지 않았다. 또한 훼손발생지점의 등산로 상태는 건전한 지점과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등산로 주변으로 확산되는 훼손의 진행 단계와 범위를 파악하기 위한 환경 피해도는 3등급이 3.9m, 4등급 1.4m, 6등급 1.2m, 6등급 0.3m로 환경피 해도 등급이 높을수록 훼손폭이 좁았다. 4등급 이상의 폭은 2.8m이었고 덕주사-보덕암삼거리 구간이 가장 넓었으며 , 등산로 시설의 평균 설치길이는 196m/km이었다. 월악산국립 공원의 등산로 훼손상태를 종합하면 다른 국립 공원에 비해 우려 할만한 수준은 아니나 안전 지향의 시설 중심으로부터 자연보전 지향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비 복구로 적극적인 보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ail deterioration conditions and to obtain the informations for the desirable maintenance and restoration of the trails in Woraksan National Park. To accomplish the purpose, not only trail condition such as altitude, entire width, bare width, maximum de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탐방객의 이용이 집중되는 국립공원 등산로의 바람직한 관리와 정비 복원을 위해서는 현장 조사를 바탕으로 한 등산로 실태에 관한 자료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 연구는 국립공원 탐방객들의 산행 활동으로 말미암은 등산로의 훼손실태를 파악함으로써 국립공원 등산로의 적절한 정비 및 복원 방향을 모색하고자 지난 1987 년부터 거의 매년 우리나라의 각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수행해 온 연구들(권태호, 1999; 2004)의 계속 작업으로서, 월악산국립공원의 등산로 이용에 따른 각종 훼손 실 태와 이용영향을 분석하고 바람직한 관리 및 정비에 필요한 정보를 얻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국립공원관리공단(2003) 국립공원백서. 527쪽 

  2. 국립공원관리공단 월악산관리사무소(2003) 2005 월악산국립공원 관리계획. 220쪽 

  3. 권태호(1999) 우리나라 주요 국립공원 등산로의 훼손실태와 복구대책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과학기술연구 5(5): 403-416 

  4. 권태호(2004) 숲탐방 활동에 의한 숲길 훼손실태 및 정비방안. 생명의숲.산림청 주최 2004년 자연친화적 숲탐방문화 정착을 위한 심포지엄. 23-53쪽 

  5. 권태호, 오구균(2001) 국립공원 탐방로 훼손.세굴유형 분석과 복원대책에 관한 연구. 국립공원관리공단 용역보고서. 161쪽 

  6. 권태호, 오구균, 권순덕(1991) 지리산국립공원의 등산로 및 야영장 주변환경 훼손에 대한 이용영향. 응용생태연구 5(1): 91-103 

  7. 권태호, 오구균, 권영선(1988) 치악산국립공원의 등산로 및 야영장 훼손과 주변 토양 및 식생환경의 변화. 응용생태연구 2(1): 50-65 

  8. 권태호, 오구균, 김보현(1998) 설악산국립공원 내설악지구 등산로의 훼손 및 주연부 식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1(4): 523-534 

  9. 권태호, 오구균, 유기준, 이준우, 최송현(2005) 숲길 정비공사 매뉴얼. 수문출판사(인쇄중) 

  10. 권태호, 오구균, 이준우(1990) 속리산국립공원의 등산로 훼손과 주연부식생에 미치는 영향. 응용생태연구 4(1): 63-68 

  11. 권태호, 오구균, 이준우(1993) 소백산국립공원 등산로의 환경훼손에 대한 이용영향. 응용생태연구 6(2):168-179 

  12. 권태호, 오구균, 이준우(1994) 덕유산국립공원 등산로 및 야영장의 환경훼손에 대한 이용영향, 응용생태연구 7(2): 241-251 

  13. 권태호, 오구균, 이준우(1995) 주왕산국립공원 등산로의 이용패턴 및 주변환경 훼손에 대한 이용영향. 응용생태연구 8(2): 167-176 

  14. 권태호, 오구균, 이준우(1996) 오대산국립공원 이용에 따른 등산로 및 주변 환경 훼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9(2): 211-220 

  15. 권태호, 오구균, 정남훈(1989) 가야산국립공원 등산로 및 야영장 훼손과 주변 환경에 대한 이용영향. 응용생태연구 3(1): 81-94 

  16. 권태호, 이준우(2003) 백두대간 마루금 등산로 및 주변 환경의 훼손실태 : 만복대-복성이재 구간을 대상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4): 465-474 

  17. 권태호, 이준우, 김동욱(2004) 백두대간 마루금 등산로의 훼손실태와 관리방향 : 남덕유산-소사고개 구간을 대상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2): 175-183 

  18. 월악산국립공원. http://www.npa.or.kr/worak/main.asp 

  19. 이준우, 오구균, 권태호(1997) 설악산국립공원의 등산로 훼손 및 주연부 식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0(2): 191-204 

  20. Cole, D.N.(1983) Assessing and monitoring backcountry trail conditions. USDA Forest Service Research Paper INT-303,10pp 

  21. Frissell, S.S.(1978) Judging recreation impacts on wilderness campsite. Journal of Forestry 76: 481-48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