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역세권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요일별 시간대별 지하철 이용인구를 중심으로)
A Study on Categorizing Subway Station Areas in Seoul by Rail Use Pattern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23 no.8 = no.86, 2005년, pp.19 - 29  

성현곤 (한국교통연구원) ,  김태현 (서울시 도시계획직)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요일별 시간대별 지하철역의 이용인구를 중심으로 서울시의 역세권을 유형화한 후 이를 토대로 토지이용특성과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역세권 유형화를 위하여 지하철역 이용특성 자료를 이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토지이용특성과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차원척도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서울시의 지하철의 역세권이 주거, 상업 및 여가, 그리고 업무중심우위으로 분류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주거/상업, 주거/업무 주거/상업/업무 등의 다기능 우위를 지닌, 즉, 복합적 이용특성을 가진 다수의 지하철역도 파악되었다. 이러한 복합적 이용기능의 특성은 최근 논의되고 있는 역세권개발과 대중교통지향형 도시개발의 논의를 활성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기존의 역세권 유형화 연구가 대부분 도시공간구조나 토지이용특성을 가지고 계획적 측면에서 접근한 반면에, 본 연구가 지하철역의 이용패턴을 통하여 실증적으로 역세권을 유형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차이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subway station areas in Seoul by rail use characteristic. Most studies have categorized rail-oriented areas, based on land use patterns or/and urban spatial structure in Korea as well as the United States. However, the land use pattern of a subway station a...

주제어

참고문헌 (13)

  1. 권영덕 . 장남종 . 박정하 . 박연희 . 박소영 (1997). 역세권에 대한 도시계획차원의 대응방향, 서울시정 개발연구원 

  2. 서울특별시 (1992), 역세권개발기본구상 

  3. 서울특별시 (1997), 2011 서울도시기본계획 

  4. 유성근 . 이주형 (2004), 도시계획요소로 본 도시 압축성 중요도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정기학술대회 논문집(2004-10) 

  5. 윤시운 . 이광국 (1999), 지하철 역세권의 상세계획구역 설정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11권 제3호, pp.89-101 

  6. 이계원 (2003), 서울시 지하철 역세권 토지의 용도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1996-2001), 서울시립 대학교 도시공학과 석사학위 청구논문 

  7. 임희지 (2005), 고밀다핵도시 서울의 대중교통이용 활성화를 위한 역 중심 개발 유도방안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3권 제5호, 대한교통학회, pp.93-104 

  8. 한종현 (1995), 서울시 지하철 역세권 분류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석사학위 청구논문 

  9. Calthorpe, Peter (1993) The Next American Metropolis: Ecology, Community, and the American Dream,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10. City of Seattle (1994). Comprehensive Plan, Department of Planning & Development 

  11. City of Seattle (2005). Comprehensive Plan:Toward a Sustainable Seattle (2004-2024). Department of Planning & Development 

  12. Dittmary, Hank & Shelley Poticha (2004), Defining Transit-Oriented Development:The New Regional Building Block. in 'Transit Town: Best Practicies in Transit-Oriented Development, (Edited by Hank Dittmar and Gloria Ohland). Island Press. pp.20-39 

  13. Sung. Hyungon (2005), Lessons from the Experiences of Transit-Oriented Planning and Policies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Vol.14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