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극수 모델로 추정한 강화도 갯벌의 탈질산화 작용
Estimation of Denitrification in the Ganghwa Tidal Flat by a Pore Water Model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10 no.1, 2005년, pp.56 - 68  

나태희 (부산대학교 해양과학과) ,  이동섭 (부산대학교 해양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강화도 남단 갯벌의 상부조간대 세 정점에서 퇴적물 시료를 채취하여, 공극수에서 질산염 등 영양염을 분석하였다. 질산염의 공극수내 분포를 단순한 1차원 모델로 분석한 결과, 탈질산화율은 장화리에서 $7.8{\sim}9.4{\times}10^{-7}{\mu}mol{\cdot}cm^{-2}{\cdot}sec^{-1}$, 동막에서 $1.4{\sim}3.6{\times}10^{-7}{\mu}mol{\cdot}cm^{-2}{\cdot}sec^{-1}$로 추정되었다. 이는 타 지역에서 보고된 반응속도와 별 차이가 나지 않는 규모였다. 탈질산화율은 여름철에 낮았으며, 퇴적물 입도가 상대적으로 조립한 장소에서 1.5배 이상 빠르게 나타나서, 입도가 탈질산화 반응물질의 공급속도를 조절하는 중요한 인자 중의 하나로 판단되었다. 탈질산화는 무기질소 성분을 $N_2$로 영구적으로 갯벌의 계 외로 제거함으로써 지화학적 정화능으로 제시될 수 있지만, 열역학적 판단기준으로 보면 계에 대해 정화라는 개념을 부여하는 데에는 문제가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현재 갯벌이란 용어가 생태환경적 기능이 상이한 염습지, 모래갯벌과 펄갯벌을 통칭하고 있어서 과학적인 분류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measured nitrate and other nutrients in sediment pore waters retrieved from three sites at the southern upper-tidal flats of the Ganghwa Island. Denitrification rate is estimated by applying a simple 1-D model to the nitrate profiles. Results from Jangwha and Dongmak sites are $7.8{\sim}9.4{...

주제어

참고문헌 (47)

  1. 강시환, 1993. 폐쇄성 연안역의 수질관리기술 연구(I). 해양연구소, BSPN00205-613-2, 213 pp 

  2. 국립해양조사원, 1998. 조석표. pp. 42-44 

  3. 김은영, 1993. 서해안의 강화도와 영종도에 도래하는 섭금류의 생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47 pp 

  4. 농어촌진흥공사, 1996. 한국의 간척. 405 pp 

  5. 수로국, 1981. 영종도에서 용매도 해도. No. 311 

  6. 이찬원, 권영택, 1995. 퇴적오니 준설과 해양환경변화. 경남대학교 출판부, 215 pp 

  7. 임현식, 홍재상, 1997. 진해만 저서동물의 군집생태 2. 우점종의 분포. 한국수산학회지, 30(2): 161-174 

  8. 유재원, 홍재성, 양성렬, 박경, 2002. 갯벌의 수질 정화기능 연구 - Box model을 이용한 서해 곰소만 하전 갯벌의 질소 수지. 한국해양학회지, 7(4): 257-266 

  9. 윤양호, 2000. 가막만 북부해역의 해양환경과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변동 특성 2. 수질환경과 엽록소 a량의 변동 특성. 해양환경학회지, 9: 429-436 

  10. 박용철, 최중기, 1993. 인천 연안 환경 연구.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117 pp 

  11. 정해진, 유영두, 김재성, 2002. 전북 새만금 남쪽 해역의 유해성 적조 발생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7: 140-147 

  12. 정회수, 1986. 반월.오이도 지역의 조간대 퇴적물과 공극수의 지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pp. 1963 

  13. 최강원, 조영길, 최만식, 이복자, 현정호, 강정원, 정회수, 2000. 자연 정화작용 연구 I: 갯벌과 농지 상층수 중 유.무기 원소의 거동에 관한 예비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5: 195-207 

  14. 해양수산부, 1998. 우리나라의 갯벌. pp 24-25 

  15. 한국해양연구소, 1998. 갯벌의 효율적 이용과 보존을 위한 연구. pp. 4-205 

  16. 환경부, 1991. 91' 자연생태계 지역조사-서해안 간석지(강화도 남단) 조사. 195 pp 

  17. Aller, R.C., 1980. Diagenesis processes near the sediment-water interface of Long Island Sound. I. Decomposition and nutrient element geochemistry(S, N, P). Adv. Geophys., 22: 237-350 

  18. Aller, R.C, 2001. Transport and reactions in the bioirrigated zone. In: The Benthic Boundary Layer, edited by Boudreau, B.P. and B.B Jorgensen, Oxford Unversity Press, New York, pp. 269-301 

  19. An, S.M., S.B. Joye, 2001. Enhancement of coupled nitrificationdenitrification by benthic photosynthesis in shallow estuarine sediments. Limnol. Oceanogr., 46: 47-62 

  20. Berner, R.A., 1972. Sulfate reduction, pyrite formation, and the oceanic sulfur budget. In: The changing chemistry of the oceans, edited by Dyrssen, D. and D. Jagner, Almqvist and Wikell, pp. 347-361 

  21. Berner, R.A., 1980. Early diagenesi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pp. 1-241 

  22. Billen, G., 1978. A budget of nitrogen recycling in North Sea sediments off the Belgian coast. Estuar. Coast. Mar. Sci., 7: 127-146 

  23. Callender, E. and D.E. Hammond, 1982. Nutrient exchange across the sediment-water interface in the Potamac river estuary. Est. Coast. Shelf Sci., 3: 395-413 

  24. Crosby, S.A, G.E. Millward, E.I. Butler, D.R. Turner and M. Whitfield, 1984. Kinetics of phosphate adsorption by iron oxyhydroxides in aqueous systems. Est. Coast. Shelf Sci., 19: 257-270 

  25. Emerson, S., J. Jahnkey, M. Bender, P. Forelich, G. Klinkhammer, C. Bowser And G. Setlock, 1980. Early diagenesis in sediments from the Eastern Equatorial Pacific. I. Pore water nutrients and carbonate results. Earth Planet. Sci. Lett., 49: 57-80 

  26. Eyre, B. and J.P. Ferguson, 2002. In: Sediment biogeochemical indicators for defining sustainable nutrient loads to coastal ecosystems, Coastal Biogeochemistry Southern Cross University, pp. 101-104 

  27. Folk, R.L., 1954. The distinction between grain size and mineral composition in sedimentary rock nomenclature. G. Geol., 62: 334-359 

  28. Folk, R.L., 1974. Petrology of Sedimentary Rocks. Hemphill Publishing Company, 182 pp 

  29. Folk, R.L. and W.C. Ward, 1957. Brazos river 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s. J. Sdiment. Petrol., 27: 3-26 

  30. Froelich, F.N., G.P. Klinkhaminer, M.L. Bender, N.A Luedtke, G.R. Heath, D. Cullen, P. Dauphin, D. Hammond, B. Hartman and V. Maynard, 1979. Early oxidation of organic matter in pelagic sediments of the easthem equatorial Atlantic: suboxic diagenesis. Geochim. Cosmochim. Acta., 43: 1075-1090 

  31. Goloway, F. and Bender, M., 1982. Diagenesis models of interstitial nitrate profiles in deep sea suboxic sediments. Limnol. Oceanogr., 27: 624-638 

  32. Hall, J., S.V. Smith and P.R. Boudreau (eds.) 1996. International Workshop on Continental Shelf Fluxes of Carbon, Nitrogen and Phosphorus. LOICZ Reports & Studies No.9, ii + 50 pp. LOICZ, Texel, The Netherlands 

  33. Heggie, D.T., G.W. Skyring, J. Orchardo, A.R Longmore, G.J. Nicholson and W.M. Berelson, 1999b. Denitrification and denitrifying efficiencies in sediments of Port Phillip Bay: direct determinations of biogenic N2 and N-metabolite fluxes with implications for water quality. Marine Freshwater Research, 50: 589-596 

  34. Howarth, R.W, R. Marino, J. Lane, J.J. Cole, 1988. Nitrogen fixation in freshwater, estuarine and marine ecosystems. I. Rates and Importance. Limnol Oceanogr., 33: 669-687 

  35. Jahnkey, R.A., S.R. Emerson and J.W. Murray, 1982. A model of oxygen reduction, denitrification, and organic matter mineralization in marine sediments. Limnol. Oceanogr., 27: 610-623 

  36. Kaplan, W, I. Valiela and J.M. Teal, 1979. Denitrification in a salt marsh ecosystem. Limnol. Oceanogr., 24: 726-734 

  37. Kelderman, P., 1984. Nutrient concentration in the interstitial water of lake Grevelingen redistribution and benthic primary production processes. Neth. J. Sea Res., 18: 312-336 

  38. Koide, I. and A. Hattori, 1979. Estimation of denitrification in sediments of the Bering Sea shelf. Deep- Sea Res., 26: 409-411 

  39. Lee, T.H., S.J. Go, S.H. Huh and T.S. Lee, 1999. A Light-Weight Spring-Driven and Hydraulically-Damped Multipe Piston Corer. J. Korean. Soc. Oceanogr., 34(3): 179-183 

  40. Li, Y. and S. Gregory, 1974. Diffusion of ions in sea water and in deep-sea sediments. Geochim. Cosmochim. Acta., 38: 703-712 

  41. Meysman, F.J.R, B.P. Boudreau and J.J. Middelburg. 2003. New developments in the modeling of bioturbation in aquatic sediments: Relations between local, non-local, discrete and continuous models. In: Proceedings of a Workshop on Biogeochemistry of Tidal Flats, edited by Jurgen Rullkotter, Hanse Institute of Advanced Study, Germany, pp. 91-93 

  42. Nembrini, G., A. Capobianco, J. Garcia and J.M. Jacquet, 1982. Interaction beween interstitial water and sediment in two cores of Lac Leman, Switzerland. Hydrobillogia, 92: 363-375 

  43. Soetaret, K., J.J. Middelburg, P.M. Herman and K. Buis, 2000. On the coupling of benthic and pelagic biogeochemical models. Earth-Sci. Rev., 51: 173-201 

  44. Stummn W. and J.J. Morgan, 1981. Aquatic chemistry (2nd ed.), Johns Wiley & Sons., Chichester, 648 pp 

  45. Ullman, W.J. and R.C. Aller, 1982. Diffusion coefficients in nearshore marine sediments. Limnol. Oceanogr., 27: 552-556 

  46. Vanderborght, J.P, R. Wollast and G. Billen, 1977a. Kinetic models of diagenesis in disturbed sediments. Part 1. Mass transfer properties and silica diagenesis. Limnol. Oceanogr., 22: 787-793 

  47. Vanderborght, J.P., R. Wollast and G. Billen, 1977b. Kinetic models of diagenesis in disturbed sediments. Part 2. Nitrogen diagenesis. Limnol. Oceanogr., 22: 794-8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