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판 가공식품의 영양표시 실태 모니터링에 관한 연구
Monitoring the Current Nutrition Labeling Practice on the Packaging of Processed Foods 원문보기

한국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v.21 no.5 = no.89, 2005년, pp.616 - 628  

김옥선 (숙명여자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 ,  오세인 (서일대학 식품영양과) ,  장영애 (한국보건산업진흥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onitor the current nutrition labeling practice on the packaging of the processed foods providing consumers with reliable nutrition information, which has been considered as a useful aid for food selection and a potent educational tool for nutrition in a daily lif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2003년 국내에 시판되고 있는 가공식품을 구입하여 식품 포장지에 나타난 영양관련 정보를 취합하여 식품 영양성분 표시와 영양강조 표시 현황 및 유형을 모니터링 하여 분석 • 평가하였으며, 향후 영양표시 교육 • 홍보 방안의 조정 및 영양표시제도 의무화 도입 추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조사는 시판되고 있는 가공식품의 표시내용 중 영양표시 현황 및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Oh SI과 Jang YA(2004)의 연구와 비교하기 위해 최대한 유사한 조건과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노영화, 김인숙. 1999. 식품표시 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보호원, 서울, p. 46 

  2. 노영화. 1999. 식품영양표시제도의 개선방법. 한국축산식품학회 .1999년도한국축산식품학회 및 제 23차 춘계학술발표회. p. 63-80 

  3. 보건복지부. 2000. 식품 등의 표시기준. 식품의약품안정청 고시 제 00-36호 

  4. 보건복지부. 2000. 식품 등의 표시기준. 식품의약품안정청 고시 제 99-15호 

  5. 보건복지부. 2002.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ealth Plan 2010) 

  6. 보건복지부. 2003. 식품 등의 표시기준. 식품의약품안정청 고시 제 03-27호 

  7. 식품의약품안전청. 2003. 식품산업체를 위한 영양표시 안내서 

  8. 정해랑. 2001. 영양표시제도의 국내외 동향. 한국유통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 128-142 

  9. Brecher SJ, Bender MM, Wilkening VL, McCabe NM, Anderson EM. 2000. Status of nutrition labeling, heath claims, and nutrient content claims for the processed food: 1997 food label and package survey. J. Am. diet. Assoc 100(9): 1057-1062 

  10. Chang SO. 1997. A study of the Comprehension and Preference of Consumers to Four Different Formats of Nutrition Label. The Korea Journal of Nutrition 30(6):679-689 

  11. Chang SO. 1997. A Study on the current Nutrition Labeling Practices for the Processed Foods Retailed in the Supermarket in Korea. The Korea Journal of Nutrition 30(1):100-108 

  12. Chang SO. 1998. Current status Nutrient fortification in processed foods and nutrition labeling. J Korean Dietetic Association 4(2):160-167 

  13. Chang SO. 2000. A Study on the Perception, Use, and Demand of Housewife -Consumers for Nutrition Label. The Korea Journal of Nutrition 33(7):763-773 

  14. Crane NT, Behlen PM, Yetiey EA, Vanderveen, JE. 1990 : Nutrition labeling of foods: A global perspective. Nutr Today 25:28-35 

  15. Crawford D, Baghurst KI. 1990. Food Australia 42(5):231-233 

  16. Federal Register 55(139): 29476-29486: July 19, 1990.(Food Labeling reference daily intakes and daily reference values, proposed rule, docket no. 90N-0134) 

  17. Federal Register 55(139): 29476-29486: July 19, 1990.(Food Labeling reference daily intakes and daily reference values, proposed rule, docket no. 90N-0165) 

  18. Federal Register 55(139): 29487-29517: July 19, 1990.(Food Labeling mandotary status of nutrition labeling and nutrition content revision, proposed rule, docket no. 90N-0135) 

  19. Federal Register. 1993. Food labeling regulations implementing the nutrition labeling and education act 1990. 58(3): 2066-2190 

  20. Gourlie KE. 1995. Food labeling: A Canadian and international perspective. Nutr Rev 53(4): 103-105 

  21. Hall J. 1993. International Food Ingredient. 4, p. 22-27 

  22. Herbert V. 1987. Health claims in food labeling and advertising : Literal truths but false message : Deception by omission of adverse facts. Nutr Today 22 p.25-30 

  23. Im HS, Kim HS. 1998. Utilization of the current food labeling system of processed of foods and awareness on nutrition labeling among middle school female teach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4):763-774 

  24. Kim OH, Kim ES, Yu IS.2002.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calcium fortification in the processed food in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1):170-176 

  25. Kirk T. 1991. British Food Journal 93(6):12-15 

  26. Lee KH, Yeo JS. 1996. Analysis of Consumer Behavior on Using Food Label, Korean Home Economic Association 34(5):235-247 

  27. Michel PM, Korslund MK, Finan A, Johnson J. 1994. Food label reading habits of WIC clients. J. Nutr. Educ 26(3):146-148 

  28. Oh SI, Jang YA. 2004. A Study on Nutrition Composition Labeling and Nutrition Claim Practices for the Processed Foods. Korean Soc. Fooc Cookery Sci 20(1):100-111 

  29. Park HR, Min YH. 1995. A basic research for the adoption and implementation of nutrition labeling: With a reference to the consumer awareness. Korean J. dietary culture 10(3):155-166 

  30. Park HR, Min, YH, Jang HR. 1995. A basic research for the adoption and implementation of nutrition labeling(II): comparative perception of consumers, producers and government officials. Korean J. Dietary culture 10(3): 175-184 

  31. Pennington JAT, Wilkening VL, Vanderveen JE. 1990, Descriptive terms for food labeling. J Nutr Educ 22(1):51-54 

  32. Schuker RE, Levy A, Tenny TE, Mathews O. 1992. Nutrition shelf-labeling and consumer purchase behavior, J Nutr Educ, 24:75-81 

  33. Shin AJ, Kye SH, Jang YA, Kim BH, Lee HS. 2000. Healthy Korea 2010: Objectives and Strategies-Nutrition-,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research paper 

  34. Silverglade B. 1996. The nutrition labeling and education act: A public health milestone is now under attack. J. Nutr. Educ 28(6):251-253 

  35. Tzeggai S. 1989. Nutrition Knowledge, Food attitudes and use of nutrition labeling by black elderly consumers in Washington, DC.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49(12):5236 

  36. Yang JK, Kim SH. 2004. Patterns Of fortified food use among teenagers in Chungnam province and Daejeon city in Korea. Korea J Food Culture, 19(4):447-45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