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약.탁주 발효과정 중 미생물 균총의 변화
The Changes of Microflora During the Fermentation of Takju and Yakju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7 no.1 = no.179, 2005년, pp.61 - 66  

서미영 (한국식품연구원 전통식품연구본부) ,  이종경 (한국식품연구원 전통식품연구본부) ,  안병학 (한국식품연구원 전통식품연구본부) ,  차성관 (한국식품연구원 전통식품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전통 술인 탁주와 약주를 2단 담금 방법으로 제조하였을 때 발효 단계별 미생물 균총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탁 약주 제조 과정 중의 미생물 균수, pH, 적정산도, 알콜 함량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담금 단계별 시료의 미생물을 분리, 동정하였다. 탁주의 2단 담금 발효초기에는 젖산균수와 효모균 수가 모두 $10^{8}\;CFU/mL$로 수준이었으나, 발효말기로 가면서 젖산균수는 $8.3{\times}10^{8}\;CFU/mL$, 효모균수는 $3.2{\times}10^{8}\;CFU/mL$로 측정되었고, 약주의 경우 2단 담금 발효초기에 젖산균수와 효모 균수가 모두 $10^{6}\;CFU/mL$로 수준이었으나, 발효말기에는 젖산 균수는 $1.0{\times}10^{4}\;CFU/mL$, 효모균수는 $1.7{\times}10^{7}\;CFU/mL$로 측정되었다. 탁 약주의 제조과정 중 미생물 균총변화는 1차적인 간이동정을 통하여 분류한 결과, 탁주의 2단 담금에서 발효 초기에 micrococci로 추정되는 세균이 80% 이었고 효모가 20% 차지하였으나, 발효발기에는 세균이 35% 그리고 효모가 65%를 차지하고 있었다. 약주의 2단 담금에서는 효모가 발효초기부터 발효말기까지 88%를 차지하고 있었다. API 20 C AUX 효모동정 kit을 이용하여 분리된 모든 효모 균주들을 동정한 결과 탁주와 약주 모두 Saccharomyces cerevisiae가 주점종을 이루고 있었고, 약 탁주의 모든 발효과정에서 Candida magnoliae가 계속적으로 발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Takju and Yakju were manufactured using 2-step-brewing method. To investigate microflora involved in fermentation step, number of microorganisms, pH, titratable acidity, and alcohol contents of Takju and Yakju were measured. In Takju and Yakju, although not significantl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통술인 탁주와 약주를 2단 담금 방법으로 제조하였을 때 발효단계별 미생물균수, pH, 적정산도, 알콜 함량의 변화를 측정하고, 각 발효단계 시료의 미생물을 분리, 동정하여 탁. 약주의 담금과정 중 미생물 균총의 변화를 조사함으로서, 기존 연구결과의 확인 및 탁주 및 약주발효에 있어서 의 미생물균총변화의 차이점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 우리나라 전통술인 탁주와 약주를 2단 담금 방법으로 제조하였을 때 발효단계별 미생물균총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탁 . 약주 제조 과정 중의 미생물균수, pH, 적정산도, 알콜 함량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담금단계별 시료의 미생물을 분리, 동정하였다.

가설 설정

  • 1)ND: not detect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Technical Service Institute of National Tax Service. Manufacturing guideline of alcoholic beverages. pp. 83-176 (1997) 

  2. Song HI, Shin JY. Modern fermentation technology. p. 193 (1995) 

  3. Lee SR. Korean Fermentative Food. Ewha Women's University publishing department. p. 205 (1986) 

  4. Shin KR, Kim BC, Yang JY, Kim YD. Characterization of Yakju prepared with yeasts from fruits. 1. Volatile components in Yakju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794-800 (1999) 

  5. Kim CJ. Microbiological and enzymological studies on Takju brewing. J. Korean Agric. Chem. Soc. 10: 69-100 (1968) 

  6. Jung JH, Jung ST. The changes of quality and micro flora during the preservation of Korean Takju. J. Korean Agric. Chem. Soc. 28: 252-260 (1985) 

  7. Han EH, Lee TS, Noh BS, Lee DS. Quality characteristic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different Nuruk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555-562 (1997) 

  8. Park YJ, Lee SK, Oh MJ. Studies on Takju yeasts. Part 1.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akju yeasts. J. Korean Agric. Chem. Soc. 16: 78-84 (1973) 

  9. Koh, CM, Choi, TJ, Lew, J. Microbiological studies on the Takju brewing: The Korean local wine. Korean J. Microbiol. 11: 167-174 (1973) 

  10. Kim JO, Lee BH. Taxonomical studies of yeasts in Korea-On yeasts isolated from Takju. Korean J. Microbiol. 8: 77-84 (1970) 

  11. Lee ZS, Rhee TW. Studies on the micro flora of Takju Brewing. Korean J. Microbiol. 8: 116-133 (1970) 

  12. Shin YD, Cho DH. A study on the micro flora changes during Takju brewing. Korean J. Microbiol. 8: 53-64 (1970) 

  13. KFDA. Code Food, Korea Food and Drug Association. Seoul, Korea (2003) 

  14. Cappuccino JG, Sherman N. Microbiology, a laboratory manual. 2nd ed. Bejamin Commings. pp. 31-35 (1987) 

  15. Macfaddin JF. Biochemical test for identification of medical bacteria. 2nd ed. Wiliams and Wilkins (1980) 

  16. Sneath PHA.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Vol. 2. Wiliams and Wilkins (1986) 

  17. Chung DH. Fermentation and microbial technology. Sunjin Munhwasa. pp. 228-275 (19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