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송화분, 참나무 및 백합화분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Antioxidative Effect of Pine, Oak, and Lily Pollen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7 no.5 = no.183, 2005년, pp.833 - 837  

김석중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과) ,  윤광섭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과) ,  박희성 (대구가톨릭대학교 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송화분, 참나무화분 및 백합화분에 대한 항산화 효능을 DPPH radical 소거능 및 동물조직의 지질산화 억제효능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각 화분을 ethanol, 50% ethanol 및 물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조제한 후 이들에 대한 DPPH radical 소거능을 분석한 결과 50% 소거능을 나타내는 $EC_{50}$ 값은, 송화분의 경우 50% ethanol 추출물(40.0mg/mL)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물 추출물(46.8mg/mL), 100% ethanol 추출물(131.2mg/mL) 순 이었다. 참나무화분에서는 50% ethanol 추출물(3.2mg/mL), 100%, ethanol 추출물(4.5mg/mL), 물 추출물(8.3mg/mL) 순이었고 백합화분에서는 100% ethanol 추출물의 $EC_{50}$값이 14.0mg/mL로, 50% ethanol 추출물(24.0mg/mL) 및 물 추출물(18.8mg/mL)에 비해 가장 낮았다. 3 종의 화분에서는 참나무 화분의 DPPH radical 소거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ascorbate-Fe^{3+}-EDTA$에 의해 유도되는 뇌조직에서의 지질산화도는 송화분, 참나무화분, 백합화분 추출물에 의해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었으며 신장에서의 지질산화도 억제되었다. 그리고 이 중에서 송화분보다는 참나무와 백합화분의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분 추출물에 대한 총 polyphenol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참나무화분$(32.5{\pm}2.9{\mu}g/mg\;pollen)$이 백합화분$(25.9{\pm}1.4{\mu}g/mg\;pollen)$이나 송화분$(9.3{\pm}0.7{\mu}g/mg\;pollen)$보다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ine, oak, and lily pollen extracts were evaluated based on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scavenging ability and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in animal tissues. Each pollen was extracted with 50% ethanol, 100% ethanol or water. DPPH radical-scavenging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onoid/phenol 함량 감소는 없이 항산화능이 감소한다고 보고하여 화분의 항 산화능에는 polyphenol 이외의 다른 성분이 관여하고 있음을 추 정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참나무화분과 백합화분이 polyphenol 함량에서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질에 대한 항 산화능이 유사한 이유도, 두 화분 간에 polyphenol 종류의 차 이 및 기타 다른 항산화 성분의 존재 등과 관련이 있으리라 판 단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그 수량이 많은 소나무 및 참나무 유래 화분, 그리고 초본류로서 화분의 생산이 많은 백합화분에서의 항산화 물질 추출 조건, l, l-diphenyl-2-picrylhy- drazyl(DPPH) 및 동물조직을 이용한 항산화 효능 평가, 그리고 polyphenol 함량분석을 수행하여 기능성 식품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 Kroyer 등(가은 DPPH radical 소거능이 우수한 ethanol 추출물에서 polyphenol 함량도 가장 높다고 보고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도 각 화분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과 polyphenol 함량과의 상관성을 조사하기 위해 화분 추출물에서 총 polyphenol 함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Table 1과 같이 DPPH radical소거능 및 뇌, 신장 조직에 대한 항산화 효과가 가장 낮았던 송화분 추출물에서 polyphenol 함량이 가장 적게 나타났으며, radical 소거능 및 지질에 대한 항산화 효능이 높았던 참나무화 분과 백합화분에서 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특히 참나무 화분에서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DPPH radical 소거능과 polyphenol의함량이 잘 일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Gonzalez Paramas AM, Gomez Barez JA, Cordon Marcos C, Garcia- Villanova RJ, Sanchez Sanchez J. HPLC-fluorimetric method for analysis of amino acids in products of the hive (honey and bee pollen). Food Chem. 95: 148-156 (2006) 

  2. Lee BY, Choi HD, Hwang JB. Components analysis of Korean pollens and pollen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869-875 (1997) 

  3. Serra Bonbehi J, Escola Jorda R. Nutrient composition and microbiological quantity of honeybee-collected pollen in Spain. J. Agric. Food Chem. 45: 725-732 (1997) 

  4. Lynghein L, Scagnetti J. Bee Pollen-Nature's Miracle Health Food. Wilshire Book co, Hollywood, CA, USA. pp. 1-90 (1979) 

  5. Abreu M. Food use of pollen in relation to human nutrition. Alimentaria 235: 45-46 (1992) 

  6. Block G, Sinha R, Gridley G. Collection of dietary-supplement data and implication for analysis. Am. J. Clin. Nutr. 59 (Suppl. 1): S234-S239 (1994) 

  7. Kroyer F, Hegedus N. Evaluation of bioactive properties of pollen extracts as functional dietary food supplement. Innov. Food Sci. Emerg. Technol. 2: 171-174 (2001) 

  8. Linskens HF, Jorde W. Pollen as food and medicine-A review. Econ. Bot. 51: 77-78 (1997) 

  9. Lew YS. A review on the efficacy of natural pollen described in an orient medical handbook Dong-Eul-Pogam. Korean J. Apiculture 3: 26-47 (1988) 

  10. Dudov IA, Starodub NF. Antioxidant system of rat erythrocytes under conditions of prolonged intake of honeybee flower pollen load. Ukrainian Biochem. J. 66: 94-96 (1994) 

  11. Uzbekova DG, Makarova VG, Khvoynitskaya LG, Slepnev AA. Evaluation of bee-collected pollen influence on lipid peroxidation, antioxidant system and liver function in old animal. J. Hepatol. 38 (suppl.2): 203 (2003) 

  12. Lee YJ, Park MH, Bae MJ, Han JP. Effect of pine pollen on serum and liver lipids in rats in a fed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Nutr. 23: 192-197 (1994) 

  13. Dudov IA, Momets AA, Artinkh VP, Starobub NF. Immunomodulatory effect of honeybee flower pollen loas. Ukrainian Biochem. J. 66: 91-93 (1994) 

  14. Yeo JY, Lee YJ, Han JP. Effect of pine pollen proteins on rat liver injury induced $CCl_4$ , J. Korean Soc. Food Nutr. 25: 34-38 (1996) 

  15. Haro A, Lopez-Aliaga I, Lisbona F, Barrionuevo M, Alferez MJM, Campos MS. Beneficial effect of pollen andlor propolis on the metabolism of iron, calcium, phosphorus, and magnesium in rats with nutritional ferropenic anemia. J. Agric. Food Chem. 48: 5751-5722 (2000) 

  16. Nagai T, Inoue R, Inoue H, Suzuki N. Scavenging capacities of pollen extracts from Cistus ladaniferus on autoxidation, superoxide radicals, hydroxyl radicals, and DPPH radicals. Nutr. Res. 22: 519-526 (2002) 

  17. Campos MG, Webby RF, Markham KR, Mitchell KA, Cunha AP. Age-induced diminution of free radical scavenging capacity in bee pollens and the contribution of constituent flavonoids. J. Agric. Food Chem. 51: 742-745 (2003) 

  18. Halliwell B, Gutteridge JMC. Free Radicals in Biology and Medicine, 2nd ed., Glarendon Press, Oxford, UK. pp. 416-508 (1993) 

  19. Frei B. Natural Antioxidants in Human and Disease. Academic Press, NY, USA. pp. 107-128 (1994) 

  20. Eriksson CJ, Na A. Antioxidant agents in raw materials and processed foods. Biochem. Soc. Symp. 61: 221-234 (1996) 

  21. Ramaranthnan N, Osawa T, Ochi H, Kawakishi S. The contribution of plant food antioxidants to human health. Trend. Food Sci. Technol. 6: 75-82 (1995) 

  22. Pless G, Frederiksen TJ, Garcia JJ, Reiter RJ. Pharmacological aspects of N-acetyl-5-methoxytryptamine (melatonin) and 6-methoxy-1,2,3,4-tetrahydro-beta-carboline (pinoline) as antioxidants: reduction of oxidative damage in brain region homogenates. J. Pineal Res. 26: 236-246 (1999) 

  23. Kim SJ, Reiter RJ, Qi W, Tan D, Cabrera J. Melatonin prevents oxidative damage to protein and lipid induced by ascorbate- $Fe^{3+}$ EDTA: Comparison with glutathione and a-tocopherol. Neuroendocrinol. Lett. 21: 269-276 (2000) 

  24. Esterbauer H, Cheeseman KH. Determination of aldehydic lipid peroxidation products: malonaldehyde and 4-hydroxynonenal. Method. Enzymol. 186: 407-421 (1990) 

  25. Smith PK, Krohn RI, Hermanson GT, Mallia AK, Gartner FH, Provenzano MD. Fujimoto EK, Goeke NM, Olson BJ, Klenk DC. Measurement of protein using bicinchoninic acid. Anal. Biochem. 50: 76-85 (1985) 

  26. Singleton VL, Joseph A, Rossi J.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i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 16: 144-158 (1965) 

  27. Campos MG, Mitchel K, Cunha A, Markham KR. A systematic approach to the characterization of bee pollens via their flavonoidlphenolic profiles. Phytochem. Anal. 8: 181-185 (1997) 

  28. Serra Bonvehi J, Torrento MS, Centelles Lorente E. Evaluation of polyphenolic and flavonoid compounds in honeybee-collected pollen produced in Spain. J. Agric. Food Chem. 49: 1848-1853 (2001 )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