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탈지 대두분 첨가가 제빵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fatted Soy flour on the Bread Making Properties of Wheat flour 원문보기

한국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v.21 no.3 = no.87, 2005년, pp.301 - 310  

유양자 (세종대학교 생활과학과) ,  장학길 (경원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최영심 (세종대학교 생활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빵의 재료로 열량이 낮고 단백질이 우수하고 지방이 적은 탈지 대두분의 이용 효과를 극대화시켜 이를 이용한 기능성 제빵을 제조하기 위해 탈지 대두분을 첨가하여 제빵을 제조하여 제빵 적성 및 품질 특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입도 분포는 전반적으로 밀가루와 탈지 대두분이 $45\~75{\mu}m$에 속하였다. 일반성분 분석은 밀가루는 수분함량 $13.12\%$, 조지방 $2.24\%$, 조단백 $12.91\%$, 회분 $0.49\%$이었고 탈지 대두분은 수분 $8.68\%$, 조지방 $0.75\%$, 조단백 $47.7\%$, 회분 $7.08\%$이었다. Pelshenke test는 대조구가 113.4분이고 탈지 대두분 $12\%$ 첨가구가 105.9분이었고 sedimentation value는 대조구가 66mL, 탈지 대두분 $12\%$가 42mL로 탈지 대두분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Water holding capacity와 alkaline water holding capacity는 대조구에 비해 탈지 대두분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되고 flour swelling volume는 감소되었다 Mixograph는 탈지 대두분 첨가에 따라 midline peak time은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었고 midline peak height는 탈지 대두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작은 값을 나타내고 첨가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Right of peak slope는 첨가량이 증가됨에 따라 점점 낮게 나타났으며 width at peak와 함께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width at 8 min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탈지 대두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비체적은 감소하였으며 빵 표피의 색도는 탈지 대두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 값과 b값은 감소되고 a값과 AE값은 증가하였다. 빵 속의 색도는 L 값과 ${\Delta}E$값은 감소하고 a값과 b값은 증가하였다. 탈지 대두분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springiness, cohesiveness은 증가하고 gumminess, chewiness은 감소며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탈지 대두분으로 제조한 빵의 저장기간에 따른 hardness는 $2.5^{\circ}C$의 저장보다 $5^{\circ}C$의 저장이 빠르게 증가함을 보여 $25^{\circ}C$에서 저장하는 것이 노화 지연 효과가 있었다. 관능 검사에서는 부피와 맛은 탈지 대두분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그 외의 평가 항목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부피, 빵 표피 색, 기공, 조직감, 빵 속의 색, 향, 맛은 대조구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12\%$ 첨가구의 경우가 가장 낮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선호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봐와 같이 빵의 주원료인 밀가루 대신 탈지 대두분을 사용할 때 빵의 품질평가에 중요한 요인인 부피와 관능적 특성에 의해 탈지 대두분을 $4\%$까지 첨가한 것이 기능성 식품으로의 이용 가능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defatted soy flour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dough and bread making properties were studied. Defatted soy flour is added to wheat flour for bread-making in order to maximize the use of isoflavones in the soybean. Different particle sizes of both defatted soy flour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빵의 재료로 열량이 낮고 단백질이 우수하고 지방이 적은 탈지 대두 분의 이용 효과를 극대화시켜 이를 이용한 기능성 제빵을 제조하기 위해 탈지 대두분을 첨가하여 제빵을 제조하여 제빵 적성 및 품질 특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또 관능검사를 통해 첨가물의 적절한 함량 범위를 확인하고 기능성 빵 제조를 위해 가공 적성 및 최종 제품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탈지 대두 분의 이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기능성 빵의 개발 및 실용화에 대한 기초자 료를 제시 하고자 한다.
  • 위에서 살펴본 봐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인체 내에 유익한 여러 가지 기능이 있고 특히 열량이 낮으며 단백질이 우수한 탈지 대두분을 첨가한 기능성 빵의 제조를 위해 탈지 대두 분의 첨가수준을 결정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또 관능검사를 통해 첨가물의 적절한 함량 범위를 확인하고 기능성 빵 제조를 위해 가공 적성 및 최종 제품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 4) The same superscripts in a row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each other a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최현욱, 조재영, 함영수, 조장환. 1975. 소맥품질검정방법. 작물개량연구사업소 p48-51 

  2. A.A.C.C. 1983.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approved method 18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Inc., U.S.A 

  3.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4. Chang HK, Sun HS, Kim SS. 1984. Relati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ookie baking potentialities of korean wheat flours. Korean J. Food Sci. Technol 16(2):149-152 

  5. Cho MK, Lee WI. 1996. Preparation of high-fiber bread with barley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28(4): 702-706 

  6. Cho MK, Lee WJ. 1996. Preparation of high-fiber bread with soybean curd residue and makkolli(Rice Wine) Residue. J. Korea Soc. Food Sci. Nutr 25(4):632-636 

  7. Choi JH. 2001.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bread with sprouted brown rice flour.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4):323-328 

  8. Choi OJ, Kim YD, Kang SW, Chung HS, Ko MS, Lee He. 1999. Propertie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angelica keiskei koidz flour. J. Korea Soc. Food Sci. Nutr 28(1):118-125 

  9. Choi SH. 2001. A study on bone metabolism and urinary isoflavones concentration associated with dietary intake of soybeans and soy products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Doctoral thesis. The Sookmyung University of Korea p 2-5 

  10. Choi SH 1980. A study on the pre-clinical experiments of the some compounding. Journal of Duckseong University 9(1):489-499 

  11. Collins JL, Post AR. 1981. Peanut hull flour as a potential source of dietary fiber. J. Sci 46:445-452 

  12. Gilbertson DB, Porter MA. 2001. Replacing eggs in bakery goods with soy flour. Cereal Foods World 46(9): 431-435 

  13. Im CS. 1999. Effect of soy flour and sucrose-fatty acid ester on breadmaking properties of wheat flour. Master thesis. The Kyungwon University of Korea p 8-11 

  14. Im JG, Kim YR. 1999. Effect of green tea addition on the quality of white bread.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5(4):395-400 

  15. Jung HO, Lim SS, Jung BM. 1997. A study on the sensory and texture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roasted soybean powder.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3(3):266-271 

  16. Kang MY, Nam YJ. 1999. Studies on bread-making quality of colored rice(suwon 415) flour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5(1):37-41 

  17. Kang WW, Kim GY, Kim JK, Oh SL. 2000. Quality characteristic of -the bread added persimmon leaves powder.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6(4): 336-341 

  18. Kim EJ, Kim SM. 1998. Bread propertied utilizing extracts of pine needle according to preparation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30(3):542-547 

  19. Kim ML, Prak GS, Park CS, An SH. 2000. Effect of spice powder on the characteristics of quality of bread.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6(3):245-254 

  20. McConnell AA, Eastwood MA, Mitchell WD. 1974. Physical characteristics of vegetable foodstuffs that could influence bowel function. J. Sci. Food Agric 25: 1457-1465 

  21. Mizrahi S, Zimmermann Z, Cogan U. 1967. The use of isolated soybean proteins in bread. Cereal Chem 44:193-201 

  22. Morris CF, Jeffers HC, Engle DA, Baldridge ML, Patterson BS, Bettge AD, King G E, Davis B. 1999. Fifty-first annual report of the western wheat quality lab. USDA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p 135-148 

  23. Park GS, Lee SJ. 1999. Effeect of job's tears powder and green tea power on the characteristics of quality of bread.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6): 1244-1254 

  24. Pollock JM, Geddes WE 1960. Soy flour as a white bread ingredient. Cereal Chem 37:19-25 

  25. Schryver T. 2002. Increasing health benefits using soy germ. Cereal Foods World 47(5):185-188 

  26. Wang HJ, Murphy PA. 1996. Mass balance study of isoflavones during soybean processing. J. Agric. Food Chem 44(2):2377-2383 

  27. Wang Y, Chung DS, Spillman CK. 1995. Physical properties of soybean meal. Cereal Chem 72:523-52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