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교 추출물의 항균활성 검색 및 일부 식중독균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Antimicrobial Effect of Forsythiae Fructus Extracts on Several Food-Borne Pathogens 원문보기

한국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v.21 no.3 = no.87, 2005년, pp.319 - 325  

배지현 (계명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홍연 (계명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장지연 (계명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천연 항균성 물질을 검색하기 위해 예로부터 민간과 한방에서 널리 이용되어 온 연교를 각종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해 보았다. 연교를 petroleum ether, chloroform, ethly acetate, methanol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각각 용매별로 계통 분획하고, 열수추출물을 얻은 후, 9종의 식중독 유발세균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Salmonella paratyphimurium, Shigella flexneri,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Shigella dysenteriae, Pseudomonas aeruginosa, Shigella sonnei)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연교 추출물의 농도별 항균 활성 검색에서는 연교의 열수 추출물이 가장 큰 항균 효과를 보였으며 Staphylococcus epidermidis와 Shigella flexneri가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균주였다. 연교의 열수 추출물과 느릅나무의 methanol 추출물을 혼합하여 항균력을 측정해 본 결과 두 추출물을 섞어 첨가했을 경우가 단독으로 사용했을 시 보다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연교의 열수 추출물이 식중독 유발세균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Staphylococcus epidermidis 및 Shigella flexneri의 배양액에 연교의 열수 추출물을 각각 10,000 ppm 농도로 첨가했을 시, Staphylococcus epidermidis의 생육이 12시간 이상까지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고, Shigella flexneri의 생육도 24시간까지 지연시킬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 연교의 열수 추출물은 S. epidermidis와 Shigella flexneri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킴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effect of the Forsythiae Fructus extracts against food-borne pathogens. First, Forsythiae Fructus was extracted with methanol at room temperature and the methanol extracts were fractionated by using petroleum ether, chloroform, ethyl aceta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Paper-disc 방법에 의한 항균활성 검색 실험에서 연교의 methanol 추출물과 수용액 추출물이 Staphylococcus epidermidis 및 Shigella /Zexner”게 가장 높은 항균력을 보였으므로 본 실험에서는 이 추출물이 이들 균주의 생육 저해에 미치는 영향을 성장 곡선을 통해 알아보기로 하였다. 연교의 수용액 추출물이 Staphylococcus epidermidis에 대해 미치는 생육 저해 정도는 Fig.
  • 본 연구에 사용한 연교는 개나리의 과실로 한방과 민간에서는 종창, 치질, 소염, 임파선염 등에 응용되어 오고 있다(육창수 1982). 본 실험에서는 이와 같은 연교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검색하고 각종 식중독 유발세균의 중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천연 항균성 물질을 검색하기 위해 예로부터 민간과 한방에서 널리 이용되어 온 연교를 각종 유기 용매로 주줄하여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해 보았다. 연교를 petroleum ether, chloroform, ethly acetate, methanol이용하여 실온에서 각각 용매별로 계통 분획하고, 열수추출물을 얻은 후, 9종의 식중독 유발세균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Salmonella paratyphimurium, Shigella flexneri,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Shigella dysenteriae, Pseudomonas aeruginosa, Shigella sonnet)^ 대하여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육창수, 1982, 한국약품식물자원도감, 진명출판사, 서울, pp 309 

  2. Baek NI, Shin DH, An EY and Oh JA. 1998. Biological activity/nutrition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active substance from Sophora flavescens. Kor J Food Sci Technol. 30(3): 672-679 

  3. Brewer MS, Sprouls OK and Russon C. 1994. Consumer attitudes toward food safety issues. J. Food safety 14:63-76 

  4. Boram RG. 1969. The microbiology of the hen's egg, In Advances in Applied Microbiology, Vol. II. Academic Press, New York. pp 345 

  5. Cho YS, Kim HS, Kim SK, K won OC, Jeong SJ and Lee YM. 1997. Antibacterial and bactericidal activity of green tea extracts. J Kor Tea Soc 3(2): 89-103 

  6. Dapkevicius A, Venskutonis R, Beek T and Linssen JP. 1998.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obtained by different isolation procedures from some aromatic herbs grown in Lithuania. J Sci. Food Agric 77:140-146 

  7. Gould, GW. 1996. Industry perspectives on the use of natural antimicrobials and inhibitors for food applications. J Food Prot Suppl 3:82-87 

  8. Hong ND, Kim NJ, Noh YS and Kim, JS. 1990. Studies on the pharmacological activites and constitents of Ulmi Cortex. Kor J Pharm 21(3): 201-204 

  9. Jeong DO and Jeong JH. 1992. Studies on antimicrobial substances of Ganoderma lucidum. Kor J Food Sci Technol 24(6):552-557 

  10. Kang SK. 1995. Isola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antimicrobial substance obtained from leaf mustard (Brassica juncea). Kor J Food Sci Techno1 24:697-698 

  11. Kang SK, Sung NK, Park SK, Kim YD, Shin SC and Seo JS. 1994.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leaf mustard (Brassica Juncea) extract. J Kor Soc Food Nutr 23(6): 1008-1013 

  12. Kang WS, Kim JH, Park EJ and Yun KL. 1998. Antioxidative property of turmeric (Curcumae rhizoma) ethanol extract. Kor J Food Sci Technol 30(2):266-271 

  13. Kim KH, Jun HJ and Han YS. 1998. Originals: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dandelion (Taraxacum platycarpum) extract. Kor J Soc Food Sci 14(1):114-118 

  14. Kim MR and Lim MK.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from Rheum tanguricum against food hazardous microorganisms. Kor J Soc Food Cookery Sci 19(4):470-476 

  15. Kim SI, Kim KJ, Jeong HU and Han YS. 1998. Originals:Effect of mugwort on the extention of shelf-life of bread and rice cake. Kor J Soc Food Sci 14(1):106-113 

  16. Kuk JH, Ma SJ and Park KH. 1997.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enzoic acid with antimicrobial activity from needle of Pinus densiflora. Kor J Food Sci Technol 29(2):204-210 

  17. Kumar M and Berwal JS. 1998. Sensitivity of food pathogens to garlic (Allium sativum). J Appl Bacteriol. 84:213-215 

  18. Kwon DJ, Park JH, Kwon M, Yu JY and Gu YC. 1997. Optimal extracting condition of growth-inhibitory component of wormwood (Artemisia princeps) against Clostridium perfringens. Agric Chem Biotechnol 40(4):267-270 

  19. Moon YI, Lee YC, Han YN and Jeong SW. 1999.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 added with powder of Opntia Ficusindica. Kor J Food Sci Technol 31(6): 1604-1612 

  20. Lee ES and Seo BI. 2003. Growth inhibi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by Agrimnia pilosa Ledeb. extract. J Oriental Med Pathol 3(1): 37-42 

  21. Lee SH and Choi VI. 1998. Microbiology Fermentation: Effect of medicinal herbs' extracts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 J Food Sci. Technol. 30(3):624-629 

  22. Lorian V. 1991. Antibiotics in antimicrobials in liquid media, Williams and Willkins, New York USA. pp 52-59 

  23. Oram JD and Reiter B. 1968. Inhibition of bacteria by lactoferrin and other iron chelating agents. Bichem Biophys Acta 17:351-354 

  24. Park CS. 1997. Effect of spices on the growth of pathogenic bacteria. Kor J Soc Food Sci 13(3):330-337 

  25. Park CS. 1998. Antibacterial activity of ethanol extract of pine needle against pathogenic bacteria. Kor J Postharvest Sci. Technol 5(4):380-385 

  26. Park CS. 1998. Originals:Inhibition of Escherichia coli O157 : H7 by clove (Eugenia caryophyliata thumb). Kor J Soc Food Sci 14(1):9-15 

  27. Park CS and Choi ME. 1997. Originals:Effect of clove (Eugenia caryophyllata thumb) on the survival of monocytogenes and Salmonella typhimurium during cold storage. Kor J Soc Food Sci 13(5):602-608 

  28. Park CS, Park KS and Kim ML. 1997. Originals:Effect of oregano (Origanum vulgare) on the Survival of Escherichia coli 0157:H7 and Staphylococcus aureus during cold storage. Kor J Soc Food Sci 13(4):440-447 

  29. Park NY, Jeong NJ, Kim HG and Kwon JH. 1998. Chemistry/Analysis: Optimization for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organoleptic proper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Chrysanthemum petals. Kor J Food Sci Technol. 30(3):523-528 

  30. Park UY, Jang DS and Cho CL. 1992. Antimicrobial effect of Lithospermi radix (Lithospermum erythrorhizon) extract. J Kor Soc Food Nutr 21(1):97-100 

  31. Senji S, Kim M, Taniguchi M and Yamamoto T. 1989. Antibacterial substances in Japanese green tea extract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a cariogenic bacterium. Agric Biol Chem 53:2307-2310 

  32. Yin MC and Cheng WS. 1998. Inhibition of Aspergillus Niger and Aspergillus flavus by some herb and spices. J Food Prot 61(1): 123-1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