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폴리(비닐 아세테이트)의 산촉매 가수분해 반응
Acid-Catalyzed Hydrolysis Reaction of Poly(vinyl acetate)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29 no.3, 2005년, pp.304 - 307  

박상수 (서울보건대학 의료공학과) ,  윤희숙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을 촉매로 한 물/초산용액에서의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가수분해반응을 $35^{circ}C$에서, 물과 초산치 비율을 달리한 두 용액 조성에서 연구하였다. 반응시간에 따른 비닐 아세테이트(VAc)와 비닐 알코올(VA) 단량체 몰분율을 NMR로 측정하였고, 반응이 평형에 도달한 후의 화학평형상수($K_{eq}$)를 화학평형상태에서의 VAc와 VA의 몰분율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화학평형에서의 VAc 몰분율이 0.78(${\pm}0.01$)이었을 때 $K_{ef}$는 0.76(${\pm}0.01$)이었고, VAc 몰분율이 0.57(${\pm}0.02$)일 때 0.69($\{pm}0.01$)이었다. 가수분해반응은 가성 1차 반응을 따랐으며, 반응속도상수$3.4{\times}10^{-6}/sec$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cid-catalyzed hydrolysis reaction of poly(vinyl acetate) (PVAc) in water/acetic acid solution at $35^{circ}C$ was studied at two different solvent compositions. The mole fractions of vinyl acetate (Vac) and vinyl alcohol (VA) during the course of the reaction were determined by NM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성능/효과

  • 2) The acid-catalyzed reaction in water-acetic acid was found to follow a pseudo 1-st order reaction with a rate coefficient at 3.4X 10'6 /sec, which is smaller than that of the base-catalyzed reaction by 2 orders of magnitude, probably due to the instability of the first intermediate in the acid catalyzed reaction in the presence of water.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K. Nora, Poly(vinyl alcohol), C. A. Finch, Editor, Chap. 4, Wiley, New York, 1973 

  2. Y. Sakaguchi, J. Nishino, and T. Nitta, Kobunshi Kagaku, 20, 86 (1963) 

  3. K. Kuroyanaki and I. Sakurada, Kobunshi Kagaku, 6, 419 (1949) 

  4. A. E. Akopyan and R. Kh. Bostandzhyan. Zhur. Priklad. Khim., 36, 1085 (1963) 

  5. E. Nagai and N. Sagane. Kobunshi Kagaku, 12, 195 (1955) 

  6. H. Matsuda, S. Isgiguru, K Naraoka, and A. Kotera, Kobunshi Kagaku, 12, 10 (1955) 

  7. R. K. Tubbs, J. Polym. Sci., A-1, 4, 623 (1966) 

  8. S. Park, S. J. Huh, H. Yoon, and K. W. Woo. Polymer(Korea), 22, 188 (1998) 

  9. D. P. Joshi and J. G. Pritchard, Polymer, 19, 427 (1978) 

  10. G. Velden and J. Beulen, Macromolecules, 15, 1071 (198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