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부모-손자녀가족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3 no.4 = no.76, 2005년, pp.55 - 65  

옥경희 (광주대학교 사회복지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increasing number of children are being raised by grandparents these days, little research exists on the development of the children in this arrangement.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school adjustment of the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by comparing academic achievement and general c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조부모-손자녀가족 아동이 다른 보호 형태에서 자라나고 있는 아동들과 비교하여 학교생활 적응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연구에서 밝히고자 하는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조부모-손자녀가족 아동의 과목별 수행정도와 학교생활적웅을 살펴볼 수 있는 학업성적, 교우관계, 학습습관 및 문제행동이 다른 가족구조 집단의 아동과 비교하여 차이를 나타내는지 또한 성별과 가족구조가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초등학교 2학년과 5학년 학생 622명(남: 304명, 녀: 318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조부모-손자녀가족 아동은 다른 가족구조 집단의 아동들과 비교하여 과목별 수행정도나 학업성적, 교우관계, 학습습관 그리고 문제행동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오히려 본 연구결과는 조부모-손자녀가족 아동이 양부모 가족 아동과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는 연구결과를 (Solomon & Mara, 1995) 지지한다. 실제 교육현장으로부터 조부모-손자녀 가족 아동들이 학교생활이나 발달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지적은 부모와 함께 살지 못하는 아동들은 문제를 가질 확률이 더 높을 것이라는 가정이나 편견에서 현실이 왜곡되어 나타났을 가능성을 본 연구결과는 제시한다. 본 연구결과는 조부모-손자녀 가족이 아동발달을 위해서는 부모보호를 받지 못하는 아동들에게는 오히려 다른 형태의 보호보다는 더 나은 대안일 수도 있음을 제시한다.
  • 친족보호에 관심을 기울인 연구들 역시 아동의 학교생활 중에서도 부정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결과를 보고한다. (Dubowitz & Sawyer, 1994; Dubowitz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경북여성정책개발원(2003). 농촌 여성노인가구의 손자녀 양육실태와 정책과제. 대구: 경북여성정책개발원 

  2. 권인수(2000). 손자녀를 돌보는 조부모의 부담감과 사회적지지. 아동간호학회지, 6(2), 212-223 

  3. 김미영(2001).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모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남명숙(1999). 손자녀양육 조부모의 생활실태와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박창기(2002). 농촌지역 조부모-손자녀가족의 가족기능에 관한 연구. 대구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성지혜(2001). 빈곤한 조부모손자녀세대 아동의 우울 및 불안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복지관 서비스 대상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7. 신혜섭(1999). 손자녀 양육 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관한 연구. 생활과학연구, 4, 69-80 

  8. 옥경희(2005). 조부모-손자녀가족 조부모의 손자녀양육.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3), 103-114 

  9. 최해경(2002). 저소득층 조손가정 여성노인의 우울감과 관련요인 연구. 한국노년학, 22(3), 207-222 

  10. 통계청(2002). 통계자료: 시도/세대구성/아동보육상태별 아동수. 서울: 통계청 

  11. Berrick, J. D., Barth, R. P. & Needell, B.(1994). A comparison of kinship foster homes and foster family homes: Implications for kinship foster care as family preservation.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16, 33-63 

  12. Bowers, B. F. & Myers, B. J.(1999). Grandmothers providing care for grandchildren: Consequences of various levels of caregiving. Family Relations, 48 (3), 303-311 

  13. Dannison, L. & Smith, A.(2003). Custodial grandparents community support program: Lesson learned. Children & Schools, 25(2), 87-95 

  14. de Toledo, S. & Brown, D. E.(1995). Grandparents as parents: A survivial guide for raising a second family. New York: Guilford 

  15. Dubowitz, H., Feigleman, S., Harrington, D., Starr, R., Zuravin, S. & Sawyer, R.(1994). Children in kinship care: How do they fare?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16, 85-106 

  16. Dubowitz, H. & Sawyer, R.(1994). School behavior of children in kinship care. Child Abuse and Neglect, 18(11), 899-911 

  17. Edwards, O. W.(1998). Helping grandkin-grand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Expanding psychology in the schools. Psychology in the schools, 35(2), 173 -181 

  18. Glass, J. C. & Huneycutt, T. L.(2002). Grandparents parenting grandchildren: Extent of situations, issues involved,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Educational Gerontology, 28, 139-161 

  19. Goodman, C. & Silverstein, M.(2002). Grandmothrs raising grandchildren: Family structure and well-being in culturally diverse families. The Gerontologist, 42 (5), 676-689 

  20. Inglehart, A.(1994). Kinship foster care: Placement services and outcome issues.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16, 107-127 

  21. Jones, R. & Hansen, C.(1996). Caregiving behaviors which predict adjustments of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Ontario, Canada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409 986) 

  22. Kellam, S. G., Ensminger, M. E. & Turner, J.(1977). Family structure and the mental health of childre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34, 1012-1022 

  23. Kropf, N. P. & Burnette, D.(2003). Grandparents as family caregivers: Lessons for intergenerational education. Educational Gerontology, 29, 361-372 

  24. Leslie, L. K., Landsverk, J., Horton, M. B., Ganger, W. & Newton, R. R.(2000). The heterogeneity of children and their experiences in kinship care. Child Welfare, 79, 315-334 

  25. Pruchno, R. A.(1999). Raising grandchildren: The experience of Black and White grandmothers. The Gerontologist, 39, 209-221 

  26. Sawyer, R. & Dubowitz, H.(1994). School performance of children in kinship care. Child Abuse and Neglect, 18, 587-597 

  27. Silverstain, N. M. & Vehvilainen, L.(1999). Grandparents and schools: Issues and potential challenges. In C. B. Cox(Ed.), To grandmotehr's house we go and stay: Perspectives on custodial grandparents (pp. 268-282). New York: Springer 

  28. Smith, A., Dannison, L. & Vacha-Haase, R.(1998). When 'grandma' is 'mom': What today's teachers need to know. Childhood Education, 75(1), 12-16 

  29. Solomon, J. C. & Marx, J.(1995). 'To grandmother's house we go': health and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raised solely by grandparents. Gerontohogist, 35(3), 386-394 

  30. Waldrop, D. P. & Weber, J. A.(2001). From grandparent to caregiver: The stress and satisfaction of raising grandchildren. Families in Society, 82(5), 461-472 

  31. Walker, H. M. & McConnell, S. R.(1988). The Walker-McConnell Scale of Social Competence and Adjustment. Austin, TX: PRO-ED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