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육인의 교육 및 수입정도에 따른 이유기 식생활관리에 대한 실태조사
A Study on Infant Weaning Practices Based on Maternal Education and Income Level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4 no.7, 2005년, pp.1000 - 1007  

김송숙 (구미1대학 호텔조리계열)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영유아 보육의 실질적 책임자인 어머니들의 이유기 급식, 이유식 생활관리에 대한 지식과 인식도를 조사$\cdot$연구하고자, 보건소를 방문한 양육인 1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영유아의 이유기 식생활관리와 이유식 공급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하여 고졸과 대졸양육인 간에 인식도의 차이를 보였으며 (p<0.01), 가계소득 월 150만원을 기준으로 저소득층의 $47.6\%$와 고소득층의 $41.7\%$가 올바른 이유관리의 중요성을 인지하였다. 2) 단계별 이유식의 종류, 형 태, 조리 법, 급여 횟수와 양 등에 대한 지식과 관련하여 양육인의 $76.0\%$ 정도가 올바른 이유상식 없이 이유를 실시하였으며, 학력과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이유식 도입시 발생할 수 있는 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지식을 갖추고 있었다. 3) 이유정보의 출처는 대중매체 $(57.3\%)$, 또래 엄마$(34\%)$, 가족$(3.9\%)$, 보건의료인$(2.9\%)$, 기타$(1.9\%)$ 등이었으며, 대졸자는 대중매체 $(72.5\%)$를, 고졸자는 대중매체$(47.6\%)$와 또래 엄마$(39.7\%)$를 통하여 주로 정보를 얻었다. 또한 학력과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이유정보와 교육의 기회를 갖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였다. 4) 시판이유식 구입시 양육인의 학력과 소득이 높을수록 TV광고에 대한 영향을 적게 받았으며, 대졸자는 영양측면에서 시판 이유식이 가정식에 비해 월등하지 않다고 응답하여 학력 수준에 따른 유의 성 이 확인되었다. 또한 선식이 영유아에게 좋거나 보통정도의 이유식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양육인의 $88\%$ 정도로 나타났다. 5) 학력 에 따른 유의성은 없었으나 고졸자에 비하여 대졸자가 영양표시 라벨을 좀 더 적극적으로 인지하고 있었으며, 식생활과 건강에 대한 관심은 양육인의 교육과 수입에는 무관하게 3.5점 이상으로 높은 관심도를 보였다. 6) 영양교육의 기회가 주어지면 교육과 소득수준이 높은 양육인이 좀 더 적극적으로 활용하였으며, 식품$\cdot$영양관련 기초지식에 대하여 양육인의 $55.3\%$가 보통정도, $43.7\%$가 지식이 부족하다고 스스로 평가하였다. 양육인 중에 특히 대졸자 또는 고소득자가 본인 스스로의 지식에 대해 높은 신뢰도 점수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이유기의 식생활과 영양에 대해 실질적 책임자인 어머니들이 올바른 이유지식과 영양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 환경조성이 절실하다고 판단된다. 즉 구체적이며 전문적인 이유관련 교육과 계몽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건강을 주도하며 지역 모자보건사업을 실시하는 보건소를 중심으로 한 영유아의 급식과 집단영양지도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이 요청된다. 이 때 양육인의 사회적 배경과 기초 지식정도를 참조한 영유아 월령별 이유지도가 이루어져야 하며, 영양균형을 갖춘 식재료 선택과 조리법 등에 대한 올바른 이유식 실무교육도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지속적이며 장기적인 영양지도교육은 양육인의 식품${\cdot}$영양 관련지식을 향상시키며, 이유기의 섭식 개선을 통하여 영양취약계층인 영유아의 이유 식생활관리와 영양개선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maternal factors such as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weaning with infant feeding. The subjects were 103 mothers visiting a public health center in Gumi, Kyungbook who filled out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irst of all, a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영양에 대한 지식과 이유에 대한 의 식 구조와 태도 등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 로 양육인들에게 적합한 교육과정 을 도출하고 교육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유교재를 개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 설문조사를 통하여 영유아의 실질적 보육인에 해당되는 어머니들의 식품.영양 지식과 이유기 식생활관리 등에 대 한 인식, 태도 및 지식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면접 과 질문지를 통하여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설문내용을 수 정 .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하여 영유아 를 가진 양육인의 식품.영양에 대한 지식과 이유에 대한 의 식 구조와 태도 등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 로 양육인들에게 적합한 교육과정 을 도출하고 교육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유교재를 개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 그러나 실질적인 교육 대상이며 영유아 보육의 책임자인 양육인(어머니)에 대한 정보가 전무한 실정이어서 교육방향, 교육내용 및 교육수용 능력 등에 대한 의문이 따르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하여 영유아 를 가진 양육인의 식품.영양에 대한 지식과 이유에 대한 의 식 구조와 태도 등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Krebs NF. 2001. Bioavailability of dietary supplements and impact of physiologic state: infants, children and adolescents. J Nutr 131: 1351S-1354S 

  2. Lanigan JA, Bishop JA, Kimber AC, Morgan J. 2001. Systematic review concerning the age of intriduction of complementary foods to the healthy full-term infant. European J Clin Nutr 55: 309-320 

  3. Bhandari N, Bahl R, Nayyar B, Khokhar P, Rohde J, Bhan MK. 2001. Food supplementation with encouragement to feed it to infants from 4 to 12 months of age has a small impact on weight gain. J Nutr 131: 1946-1951 

  4. Jung UJ, Kim KS, Kim MK, Kim SN. 1995. Study on iron deficiency anemia in infancy. Korean Pediatr 38: 1253-1260 

  5. Hurtado EK, Claussen AH, Scott KG. 1999. Early childhood anemia and mild or moderate mental retardation. Am J Clin Nuir 69: 115-119 

  6. Lozoff B, Jimenez E, Wolf AW. 1991. Long-term developmental outcome of infants with iron defficiency. N Engl J Med 325: 687-694 

  7. Kwon JY, Park HR, Whang EM. 2001. The assessment of dietary quality in todcller of 12-36 months. Korean J Nutr 34: 176-187 

  8. Carvalho NF, Kenney RD, Carrington PH, Hall DE. 2001. Severe nutritional deficencies in toddlers resulting from health food milk alternatives. Pediatr 107: e46 

  9. Dewey KG. 2001. The challenges of promoting optimal infant growth. J Nutr 131: 1879-1880 

  10. Guldan GS, Fan HC, Ma X, Ni ZZ, Xiang X, Tang MZ. 2000. Culturally appropriate nutrition education improves infant feeding and growth in rural Sichuan, China. J Nutr 130: 1204-1211 

  11. Park HR, Lim YS. 1999. A study of the effect of weaning foods-feeding methods in weaning periods on preschoolchildren's food habit, food preference and iron nutrional status. Korean J Nutr 32: 259-267 

  12. Anderson AS, Guthrie CA, Alder EM, Forsyth S, Howie PW, Williams FL. 2001. Rattling the plate-reasons and rationales for early weaning. Health Educ Res 16: 471-479 

  13. Hammer LD, Bryson S, Agras S. 2003. Development of feeding practices during thr first 5 years of life. Arch Pediatr Adolesc Med 153: 189-194 

  14. Barton SJ. 2001. Infant feeding practices of low-income rural mothers. MCN Am J Matern Child Nurs 26: 93-97 

  15. Savage SAH, Reilly JJ, Edwards CA, Durnin JVGA. 1998. Weaning practice in the Glasgow longitudinal infant growth study. Arch Dis Child 79: 153-156 

  16. Hoare K. 1994. Tackling infant malnutrition in thr Gambia. Health Visit 67: 102-103 

  17. Park MN, Lee MJ, Lee YS. 1998. Effects of dietary protein levels on organ growth and protein metabolism in eary and normally weaned rats. Korean J Nutr 31: 5-12 

  18. Padmadas SS, Hutter I, Willekens F. 2002. Weaning initiation patterns and subsequent linear growth progression among children aged 2-4 years in India. Int J Epidemiol 31: 855-863 

  19. Sultan AN, Zuberi RW. 2003. Late weaning: the most significant risk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iron deficiency anaemia at 1-2 years of age. J Ayub Med Coll Abbottabad 15: 3-7 

  20. Roncagliolo M, Garrido M, Walter T, Peirano P, Lozoff B. 1998. Evidence of altered centeral nervous system development in infants with iron deficiency anemia at 6 mo: delayed maturation of auditory brainstem responses. Am J Clin Nutr 68: 683-690 

  21. Hallberg L, Hoppe M, Andersson M, Hulthen L. 2003. The role of meat to improve the critical iron balance during weaning. Pediatr 111: 864-870 

  22. Calvo EB, Galindo AC, Aspres NB. 1992. Iron status in exclusively breast-fed infants. Pediatr 90: 375-379 

  23. Kwon JY, Park H, Whang EM. 2001. The effect of milk group intake to dietary diversity score and nutrient adequacy ratio among toddler. Korean J Nutr 34: 30-38 

  24. Lee YB, Choi YB, Sohn HS. 1997. Effects of commercial soy milk and cow milk on iron status and work capacity of rats. Korean J Nutr 30: 904-910 

  25. Foote KD, Marriott LD. 2003. Weaning of infants. Arch Dis Child 88: 488-492 

  26. Whitehead RG. The human weaning process. 1985. Pediatr 75: 189-193 

  27. Lanigan JA, Bishop J, Kimber AC, Morgan J. 2001. Systematic review concerning the age of introduction of complementary foods to the healthy full-term infant. Eur J Clin Nutr 55: 309-320 

  28. Hornell A, Hofvander Y, Kylber E. 2001. Introduction of solids and formula to breastfed infants: a logitudinal prospective study in Uppsala, Sweden. Acta Paediair 90: 477-482 

  29. Bai HS, Ahn HS. 1996. Solid foods intake pattern during the first 6 months of life. Korean J Community Nutr 1: 335-345 

  30. Yang HR, Kim ES, Kim YC, Han SH. 2001. Study on the mineral contents of commercial baby fo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388-394 

  31. Edwards CA, Parrett AM. 2003. Dietary fibre in infancy and childhood. Proc Nutr Soc 62: 17-23 

  32. Chang SO. 2000. A study on the perception, use, and demand of housewife-consumers for nutrition label. Korean J Nutr 33: 763-773 

  33. Kim HS, Lim HS. 1998. Utilization of the current food labeling system of processed foods and awareness on nutrition labeling amomg middle school female teachers. Korean Soc Food Sci Nutr 27: 765-774 

  34. Chang NS. 1997. Food/nutrition attitudes, views and practices of adults in Seoul area. Korean J Nutr 30: 360-369 

  35. Haschken F. 1992. The Nutrition Committee of the Austrian Society of Pediatrics and Adolescent Medicine. Comment on nutrition with solid foods in infancy and early childhood. Padiatr Padol 27: 57-59 

  36. Park HR, Lim YS. 1997. Effects of weaning food-feeding methods on infant's nutrition. J Natural Sciences (Myong Ji Univ.) 15: 70-81 

  37. Gerrish CJ, Mennella JA. 2001. Flavor variety enhances food acceptance in formula-fed infants. Am J Clin Nutr 73: 1080-1085 

  38. Mosha TCE, Laswai HS, Tetens I. 2000. Nutritional composition and micronutrient status of home made and commercial weaning foods consumed in Tanzania. Plant Foods Hum Nutr 55: 185-2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