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집 건강과 영양, 안전관리 현황과 과제
A Review of Laws and Evaluation Criteria on Health, Nutrition, and Safety in Child Care Center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0 no.2, 2014년, pp.43 - 71  

최혜진 (강릉원주대학교 유아교육과) ,  남미경 (대구한의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손원경 (신라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본 연구는 어린이집 건강과 영양, 안전관련 제도적 법규나 평가인증의 기준과 내용에 대해 알아보고 관련 연구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의 연구과제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영유아보육법, 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 및 어린이집 평가인증지표의 건강과 영양 그리고 안전관련 영역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1991년 이후에 연구된 학위논문 및 학술지연구논문을 중심으로 건강과 영양, 안전관리에 대한 현황을 고찰하여 발전과제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건강과 영양 그리고 안전관리와 관련하여 세부적인 지침이 마련되어 있었으나, 이러한 규정이 실제로 잘 지켜질 수 있도록 관련 법규를 강화한다거나 법규에 상응하는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건강과 영양 그리고 안전관련 평가인증지표 고찰을 통해 살펴본 바에 따르면 실제 구체적인 지침과 기준이 마련되고 있으나 의무화가 아니므로 건강과 영양, 안전에 대해 그 질을 보장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평가인증지표의 내용보완뿐만 아니라 제도적인 방법과 절차에 대하여 제고하여 효율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셋째, 건강, 영양, 안전관련 연구물중 안전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건강과 영양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건강과 영양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시도되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reviews recent trends of laws and evaluation criteria of heath, nutrition, and safety in child care centers, and addresses future research directions on them. To this end, we analyzed Child Care Laws, Child Care Acts, Child Care Program Accreditation Standards and Criteria, as well as ma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유아기는 어떠한 시기인가? 인간이 살아가는데 가장 기초적인 생존 요소는 건강이며, 건강한 사람만이 자신의 삶을 행복하게 영위하고 수월성을 발휘할 수 있다. 특히 영유아기는 건강의 기초가 형성되는 시기일 뿐만 아니라 건강에 대한 지식과 기술, 그리고 건강의 기초가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이다(Marotz, 2012; Susan, 2013). 또한 인지발달, 사회정서발달 및 신체발달이 급격히 이루어지므로 이 시기에 적절한 경험과 교육의 결핍은 전 생애에 걸쳐 막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인간이 살아가는데 가장 기초적인 생존 요소는? 인간이 살아가는데 가장 기초적인 생존 요소는 건강이며, 건강한 사람만이 자신의 삶을 행복하게 영위하고 수월성을 발휘할 수 있다. 특히 영유아기는 건강의 기초가 형성되는 시기일 뿐만 아니라 건강에 대한 지식과 기술, 그리고 건강의 기초가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이다(Marotz, 2012; Susan, 2013).
영유아기 건강은 각 요인이 상호 역동적 균형을 이루고 있는 상태로 신체ㆍ정신ㆍ사회적으로 모두 안녕한 상태라 할 수 있는 이유는? 이와 같이 건강의 개념은 점차 확대되어왔으며, 각 개인이 건강위해요소들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지식 및 행위 증진까지 포함하는 예방적 건강의 개념으로 광범위하게 정의된다. 신체적 안녕은 신체발달, 체력, 운동관련 소양을, 사회적 안녕은 또래 및 성인과의 올바른 관계형성을 통해 상생할 수 있는 사회관련 소양을, 정서적 안녕은 자신의 정서를 이해하고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방법으로 표현하는 정서적 소양을 뜻한다(유은영, 2011). 따라서 영유아기 건강은 각 요인들이 상호 역동적 균형을 이루고 있는 상태로 신체ㆍ정신ㆍ사회적으로 모두 안녕한 상태라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강정원, 김승옥, 홍기목(2011). 유아를 위한 인터넷중독 상담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유아교육학논집, 15(3), 323-342. 

  2. 곽은복(2002). 유아를 위한 안전교육 프로그램. 서울: 창지사. 

  3. 구자림(2011). 텃밭 가꾸기 활동이 유아의 영양지식 및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권경아(2008). 보육교사의 유아구강건강관리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강릉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수연(2009). 서울.경기지역 어린이 급식 운영 현황 및 급식 지원 요구도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은정(2013). 어머니의 구강건강 지식과 행태에 따른 자녀의 구강건강행태.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정인(2011). 영유아 구강검진 및 만족도.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지수, 한경자(2006). 서울시 1개 구 구립 보육시설의 영유아 건강관리 실태.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2(1), 25-33. 

  9. 김지영(2008). 동작구 보육시설의 급식운영실태 조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김희순, 라진숙, 이혜정, 최은경(2008). 보육시설 영유아 건강관리 현황.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4(3), 295-304. 

  11. 박경애, 이지현(2001). 영유아 영양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들의 지식. 열린유아교육연구, 5(3), 51-65. 

  12. 박은숙, 임여진, 조은지(2013). 보육시설 아동의 건강관리향상을 위한 생태학적 모형 개발.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9(1), 59-68. 

  13. 박현정(2012). 보육교사를 위한 영아 건강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4. 보건복지부(2013). 2013 어린이집 평가인증 안내(40인 이상 어린이집). 보건복지부. 

  15. 신한나(2013). 국민건강보험 영유아 구강검진 미수검 관련 요인 분석.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심미정(2012). 전라남도 일부지역 부모의 영유아구강건강에 관한 인식 및 관리행태. 원광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아동복지법 시행령. 대통령령 제24454호 (일부개정 2013,03,23). 

  18. 아동복지법. 법률 제 제11572호 (일부개정 20102,12,18). 

  19. 엄세진(2013). 보육교사의 안전지식과 안전태도, 안전실천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81, 111-128. 

  20. 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 보건복지부령 제228호 (일부개정 2013.12.31). 

  21. 영유아보육법. 법률 제12251호 (일부개정 2014.1.14.). 

  22. 오양희(2012). 텃밭 가꾸기 활동이 유아의 영양지식 및 식생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침례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유은영(2011).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유아건강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4. 윤선화, 정윤경(2012). 영유아기 어머니들의 안전지식, 안전인식과 안전실천과의 관계 연구. 육아지원연구, 7(1), 115-133. 

  25. 이기현(2009). 유아 영양교육 실태에 대한 교사의 인식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3(3), 69-96. 

  26. 이순영(2010). 영유아 보육시설 안전사고 실태 및 종사자 인식 연구: 서울시 강북구 국공립 민간(사립) 보육시설을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정보복지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이순형, 이성옥, 민하영, 이명미, 한유진, 장영은, 최나야, 김지현, 김지경, 정현심(2008). 영유아건강교육. 서울: 학지사. 

  28. 이정숙, 김성재(2009). 유아기 신체 건강과 관련한 일상생활습관 실태 연구. 아동학회지, 30(3), 177-196. 

  29. 임미혜, 채혜선(2011). 영유아 건강교육. 양서원. 

  30. 정미라, 조경자, 배소연(2004). 유아 건강교육의 연구동향과 과제. 유아교육연구, 24(7), 285-312. 

  31. 정연미(2012). 대구지역 보육교사의 유아 구강건강 관린 제공 실태.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주영은, 성영화, 이숙자(2011). 아동건강교육. 서울: 공동체. 

  33. 차영숙, 문혜련(2009).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한 유아교육기관의 아동학대 :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58, 61-80. 

  34. 채영란, 신수경(2009). 유아 교사의 안전에 대한 인식과 교실환경 안전실태와의 관계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3(3), 397-412. 

  35. 한국교육개발원(2012). 독일: 학생 건강검진을 위해 의사가 정기적으로 학교방문. 출력일 2012년 09월 21일. 

  36. Marotz, L. (2012). Health, safety, and nutrition for the young child (8th ed). Belmont, CA: Wadsworth Publishing. 

  37. Morrison, G. S. (1998). Early childhood education today (7th ed.). NJ: Prentice-Hall Inc. 

  38. Sorte, J., Daeschel, I., & Amador, C. (2012). Nutrition, health, and safety for young children. New York: Pearson. 

  39. Susan, M. R. (2013). Pre-K preparation recommendations. National Association for Kinesiology in Higher Education(NAKHE), 65(1), 1-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