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산시 노인의 영양섭취상태 및 건강관련인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utritional Intake Statu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of the Elderly People in Gyeongsan A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4 no.7, 2005년, pp.1018 - 1027  

양경미 (대구한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경산시 남녀 노인 225명(남자 113명, 여자 112명)을 대상으로 식습관과 영양소 섭취 실태 및 건강관련 요인에 관한 조사를 통하여 노년기의 바람직한 영양관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 남녀의 평균 연령은 각각 75.4세, 70.5세였으며 가족 수는 여자는 홀로 사는 비율($30.4\%$, 34명)이 남자($15\%$, 17명)보다 p<0.001 수준에서 유의적으로 월등히 높았다. 한달 용돈과 교육 정도는 남자가 여자보다도 많았으며 생활비는 아들과 며느리로부터 받는 경우는 남녀 각각 45.2, $61.6\%$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혼자 사는 여자와 저소득 계층 노인의 영양 부족과 불균형적인 영양소 섭취에 노출될 우려가 높으므로 이들에 대한 관리가 요구된다. 건강관련 요인에 관한 조사 결과로서 전체 조사대상자 중 $76.9\%$가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고 있으므로 남녀 모두 건강에 대한 관심도와 건강행태가 양호한 것으로 보여진다. 평균 음주율과 흡연율은 각각 $38.2,\;22.2\%$였으며 , 남자가 여자 보다 음주율과 흡연율이 더 높았다(p<0.001), 음주자의 평균 음주량은 소주 $1\~2$잔의 가벼운 음주자가 전체 $38.4\%$였으며 소주 1병 혹은 1병 이상의 고음주자 비율은 $20.9\%$이었다. 이때 p<0.001 수준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그러나 여성의 음주는 남성보다 체중과 BMI, 에너지와 지방 증가와 상관성을 갖고 있으므로 농촌 여자노인, 특히 혼자 사는 노인에 대한 음주교육이 필요하다. 조사대상자의 질환 상태는 전체 중 $84.9\%$가 한가지 이상의 질환을 가지고 있었으며 가장 많이 앓고 있는 질환은 신경통, 고혈압, 위장관 질환, 호흡기 질환, 심장질환, 당뇨병, 빈혈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아직까지 활동하는 데에는 지장이 없었다. 신장과 체중은 남자는 $159.6\pm8.68cm$$60.6\pm8.93kg$, 여자는 $146.3\pm6.72cm$$54.8\pm6.84kg$이었으며,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 BMI)는 평균 $24.8\pm3.13$으로 남녀 각각 $23.7\pm2.80$$25.7\pm3.21$ 남녀간의 p<0.001 수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허리와 엉덩이 둘레는 남자는 $86.3\pm19.9cm$$90.0\pm90.8cm$, 여자는 $84.2\pm12.4cm$$96.8\pm6.72cm$로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WHR이 여자의 경우 0.8이상이 되어서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 범위에 속하는 수준이었다. 삼두근의 두겹 두께는 남녀 각각 $20.2\pm8.58cm,\;22.2\pm4.40mm$으로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조사대상자의 식습관 상태는 전체 대상자의 $84.4\%$가 대부분이 하루 세끼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고 있었으며 식사속도는 허겁지겁 빨리 섭취하는 경우가 남자는 $31.0\%$, 여자는 $21.4\%$로 나타났고 이들을 제외한 나머지 사람들은 보통 속도 혹은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식사를 하였다. 평소 식사량은 조금 적게 혹은 적당하게 섭취하는 사람이 대부분이었으며 남자가 여자보다는 배부르게 먹는 경 향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식사는 혼자 하는 경우가 남자는 $20.4\%$인데 반하여 여자는 $52.7\%$였으며, 식사준비도 거의 혼자 하는 경우가 남자는 $17.7\%$, 여자는 $79.5\%$로 혼자 식사를 준비해서 혼자 먹는 비율이 여자가 월등히 높았다(p<0.001). 과식은 평균 $66.2\%$ 하지 않는다고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nutrients intake and health-related behaviors in elderly people residing in Gyeongsan-si, Gyeongbuk who have no problem in daily living. Information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health-related behaviors and dietary habits were obtained by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노인들의 건강과 영 양에 대한 중요성 이 부각되고 식생활습관과 영양섭취상태가 건강에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게 됨 에 따라 경산지 역 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여 건강관련 생활습관과 식습관 및 영 양소 섭 취 상태를 살펴봄으로써 노인복지 정 책의 일환으로 노인들의 영 양개선 및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경산시 남녀 노인 225명(남자 113명, 여자 112 명)을 대상으로식습관과 영양소 섭취실태 및 건강관련 요인에 관한 조사를 통하여 노년기의 바람직한 영 양관리 방안을 제시 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 남녀의 평균 연령은 각각 75.

가설 설정

  • 1)Values are mean 士 SD.
  • 3)NS: not significan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Kobayashi S. 1992. A scientific basis for the longevity of Japanese in relation to diet and nutrition. Nutrition Review 50: 353-359 

  2. Position of the American Diet Association: nutrition, aging, and the continuum of care. 2000. J Am Diet Assoc 100: 580-595 

  3. Committee on Nutrition Services for Medicare Beneficiaries. 2000. The role of nutrition in maintaining health in the Nation's elderly. Evaluating coverage of nutrition services for the medicares population. Institute of Medicine,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p 46-51 

  4. White JV, Ham RJ, Lipschitz DA, Dwyer JT, Wellman NS. 1991. Consensus of the Nutrition Screening Initiative: risk factors and indicators of poor nutrition status in older Americans. J Am Diet Assoc 91: 783-787 

  5. Yoo HJ. 1994. Symposium: Nutritional problems in the elderly patients. J Korean Nutrition 27: 666-675 

  6. Hoffman N. 1993. Diet in the elderly. Needs and risks. Med Clin North Am 77: 745-756 

  7. Kohrs MB, C'Noal R, Preston A, Eklund D, Abraham D. 1978. Nutritional status of elderly residents in Missouri. Am J Clin Nutr 31: 2186-2197 

  8. Fishers S, Hendricks DG, Mahoney AW. 1978. Nutritional assessment of senior rural Utahns. Am J Clin Nutr 31: 667-672 

  9. Kwon JS, Lee HJ. 2003.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living in Songnam - I.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biochemical nutritional status-. Korean J Food & Nutr 16: 310-320 

  10. Kwak EH, Lee SL, Yoon JS. 2003. Macronutrient, mineral and vitamin intakes in elderly people in rural area of North Kyungpook Province in South Korea. Korean J Nutrition 36: 1052-1060 

  11. Kim HS, Kim JS, Song RY. 2001. Assessment of vitamin E status of female nursing-home residents. Korean J Food Culture 10: 411-419 

  12. Report on 2001 National and nutrition survey-Nutrition survey(1)-. 200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orea 

  13. Yim KS, Lee TY. 2004. Sociodemographic factors associated with nutrients intake of elderly in Korea. Korean J Nutrition 37: 210-222 

  14. Korean Rural Resource Development Institute. 1996. Food Composition Table 

  15. Han KH, Choi MS. 2002. Relationship among nutritional intake status, eating behaviors and related factors of the elderly in Cheongju city. Korean J Dietary Culture 17: 131-140 

  16. Darnton HI. 1992. Psychosocial aspects of nutrition and aging. Nut Rev 50: 476-479 

  17. Davis MA. 1990. Living arrangements and dietary quality of older U.S. adults. J Am Diet Assoc 90: 1667-1672 

  18. Hong SM, Choi SY. 1996. A study on meal management and nutrient intake of the elderly.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1055-1061 

  19. Kim SH, Kan HK, Kim JH. 2000. Socio-economic factors affecting the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the aged. Korean J Nutrition 33: 86-101 

  20. Lee YH, Lee GS. 1995. A study on the nutritional knowledge, food behavior, nutritional attitudes and food preference. -in case of elderly living in home-. J Korean Home Ecnomics Assoc 33: 213-224 

  21. Park YS, Kim S, Park KS, Lee JW, Kim KN. 1999. Nutrient intake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of the elderly in rural area. Korean J Comm Nutr 4: 37-45 

  22. Joung HJ, Moon HK. 1999. dietary differences in smokers and nonsmokers from free living elderly in Kyunggi province. Korean J Nutrition 32: 812-820 

  23. Yim KS. 1997. Elderly nutrition improvement program in the community health center: nutritional evaluation of the elderly using the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and food group intake pattern. J Korean Diet Assoc 3: 182-196 

  24.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0.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 7th revision. Seoul, Korea 

  25. Bray GA. 1987. Overweight is risking fate, definition, classification, prevalence and risks. Ann N Y Acad Sci 499: 14-28 

  26. Schwartz RS. 1998. Obesity in the elderly. In Handbook of obesity. Bray GA, Bouchard C, James WPT, eds. Marcel Dekker, Inc., NY. p 103-114 

  27. Schlenker ED. 1998. Nutrition in aging. 3rd ed. MCB/ McGraw-Hili, Singapore. p 194-204 

  28. Bjorntorp P. 1985. Regional patterns of fat distribution. Ann Intern Med 103: 994-995 

  29. Kim WY, Ahn SY, Song YS. 2000. The nutritional status and intervention effects of multivitamin-mineral supplementation in nursing-home residents in Korea. Korean J Comm Nutr 5: 201-207 

  30. Son SM, Lee YN. 1999. National status and related factors of elderly residing in Puchon c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391-1397 

  31. Woo KJ, Chyun JH, Choe EN. 2002. A study on the food behavior and factors influencing the food behavior of the elderly living in Incheon. Korean J Dietary Culture 17: 424-434 

  32. Kim KN, Hyun T, Lee JW. 2000. Development of a simple screening test for identifying Korean elderly at risk of undernutrition. Korean J Community 5: 475-483 

  33. Kim JH, Koo BK, Kim KJ, Baek JW, Lee YK, Lee SK, Lee HS. 1999. Chracteristics of eating behaviors of the longlived elderly people in Kyungpook Sung- ju. Korean J Comm Nutr 4: 219-230 

  34. Choi HJ, Kim SH. 2003. A study on food habit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of the long-lived elderly people in Gyeongnam Namhae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147-1152 

  35. Lim YS, Cho JK, Nam HJ, Lee KH, Park HR. 2000. Comparative study of nutrient intakes and factors to influence on nutrient intake between low-income elderly living in urban and rural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257-267 

  36. Yim KY, Min YH, Lee TY, Kim YJ. 1998. Strateties to improve nutrition for the elderly in Suwon: Analysis of dietary behavior and food preferences. Korean J Comm Nutr 3: 410-422 

  37. Jeong MS, Kim HK. 1998. A study on the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 condition of elderly in Ulsan area. 1998. Kor J Diet Culture 13: 159-168 

  38. Kang NE, Kim WK. 1996. The effect of nutrient intake, body mass index and blood pressure on plasma lipid profiles in elderly people. Kor J Gerontal 6: 76-87 

  39. Kim KN, Lee JW, Park YS, Hyun TS. 1997. Nutritional status of the elderly living in Cheongiu-L Health-related habits, dietary behaviors and nutrition intakes. Kor J Comm Nutr 2: 556-567 

  40. Kim HK, Yoon JS. 1989. A study on the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 condition of elderly women living in urban community. Kor J Comm Nutr 22: 175-184 

  41. Cho KJ. 1996.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ood habits and bone state in the elderly. J Korean Soc Food Nutr 25: 423-432 

  42. Dwyer JH, Li L, Dwyer KM, Curtin G, Feinleib M. 1996. Dietary calcium, alcohol, and incidence of treated hypertension in the NHANES I epidemiologic follow-up study. Am J Epidemiol 44: 828-838 

  43. Iso H, Stampfer MJ, Manson JE, Rexrode K, Hennekens CH, Colditz GA, Speizer FE, Willett WC. 1999. Prospective study of calcium, potassium, and magnesium intake and risk of stroke in women. Stroke 30: 1772-17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