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 한부모의 사회적응력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Improving Single Mother's Adaptation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3 no.9 = no.211, 2005년, pp.15 - 26  

강기정 (천안대학교 기독교복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that enhances a single mother's social adaptation (self-esteem and sociality) based on the precedent studies. The subjects of this program were seven single motherswholive in C city in Chung Cheong Namdo. Paired-Sample t-test, individu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개발에 의의를 두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여성 한부모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을 사회적응력향상의 심리적 성향으로 보고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는 여성 한부모의 사회적응력 (자기존중감 및 사회성)을 높여주기 위해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실시하였다. 총 8회기(1회 당 100분)와 사전및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 본 프로그램은 이혼이나 사별로 한부모가 된 여성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사회적응력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으로써, 여성 한부모의 사회적응력 향상을 통한 사회통합을 목적으로 한다. 여성 한부모들이 자신의 상황을 긍정적으로 이해하고 적응할 수 있도록 도우며, 가족 및 사회의 새로운 환경 긍정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목적으로 한다. 여성 한부모들이 자신의 상황을 긍정적으로 이해하고 적응할 수 있도록 도우며, 가족 및 사회의 새로운 환경 긍정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구체적 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실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여성 한부모가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자기 자신을 바르게 인식하도록 하며, 궁극적으로 자기 자신에 대한 긍정적 자아상을 갖고 나아가 원만한 대인관계를 통해 사회적응력 향상을도모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여성 한부모의 내적 보호요소인 사회적응력 향상을 목적으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여성 한부모가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자기 자신을 바르게 인식하도록 하며, 궁극적으로 자기 자신에 대한 긍정적 자아상을 갖고 나아가 원만한 대인관계를 통해 사회적응력 향상을도모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가설 설정

  • 둘째, 여성 한부모가 자기의 상황을 인정하고. 자존감을 향상시켜 궁극적으로 여성 한부모가 된 이후의 적응을 돕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강기정, 이무영, 김영희(2002). 한부모가족의 복지 지 원체계로서의 가상공동체 활용에 관한 기초연 구. 대한가정학회지, 40(10), 141-159 

  2. 김경신(1999). 농촌지역 편부모가족을 위한 가족생활교 육프로그램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7(3), 127-142 

  3. 김경신(2003). 한부모가족을 위한 교육 및 상담 활성 화 방안 및 효율적 정보전달체계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7), 73-89 

  4. 김경애(1999). 저소득층 모자가정의 지지망에 관한 연구. 동덕여성연구, 4, 7-32 

  5. 김경희(1998). 저소득 실직여성가장의 생활, 의식, 욕구실태 보고. 한국여성단체연합, 15-21 

  6. 김영란(1997). 빈곤의 여성화와 사회복지정책. 한국사회복지학, 31, 1-28 

  7. 김오남(2004). 한부모가족 여성가장의 심리적 안정과 관련변인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4, 한국가족사 회복지학회, 85-118 

  8. 김종우, 장환일, 반건호(1995). 부의 결손이 청년의 성 격요인 및 정신병리에 미치는 영향. 신경정신의학, 34(1), 216-227 

  9. 김학주(2004). 미국의 한부모가족 복지정책의 성과와 한계. 한국가족복지학, 13, 78-102 

  10. 문현숙, 김득성(2002). 이혼 후 적응을 위한 장기 교육 프로그램의 모형개발. 대한가정학회지, 40(6), 197-211 

  11. 문현숙, 김득성(2003). 이혼적응 교육프로그램 실시 및 효과검증. 대한가정학회지, 41(11), 201-214 

  12. 통계청(2003). 인구통계연보 

  13. 박경숙, 박능후(2001). 저소득층 여성가장 생활실태조사 및 자활프로그램 개발. 경기도 

  14. 성정현(2002). 이혼 후 적응을 위한 집단프로그램의 개발. 한국가족복지학, 9, 31-53 

  15. 송다영(2003). 사회적 배제 집단으로서의 저소득 모자 가족과 통합적 복지대책 수립을 위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4, 295-319 

  16. 유영주, 오윤자(1990).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8(12), 49- 68 

  17. 장혜경, 송다영, 김영란, 김정훈(2001). 한부모 가족 및 실질적 여성가장가족의 여성을 위한 가족정책 방향과 과제. 여성과 가족정책 세미나, 한국 여성개발원 

  18. 정수경(2001). 편모가족관계 강화를 위한 집단프로그 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44, 288- 317 

  19. 조성혜(1997). 집단 프로그램을 통한 모자가족의 자조 집단 형성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 조정문, 장상희(2002). 가족사회학. 서울: 아카넷 

  21. 주소희(2003). 부모 이혼에 대한 아동의 지각과 이혼 가정 자녀의 심리, 행동 적응 문제와의 관계. 한국가족복지학, 2, 179-210 

  22. 옥선화, 성미애(2004). 20, 30대 이혼 남녀의 이혼 후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생활만족도와 건강 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2(11), 167-190 

  23. 옥선화, 성미애, 이재림(2003). 빈곤 여성가장의 삶의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2), 65-92 

  24. 옥선화, 성미애, 이재림, 이경희(2002). 빈곤 여성가장 의 모-자녀관계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7(3), 55-78 

  25. 옥선화, 성미애, 허정원(2001). 경제위기 이후의 빈곤 여성가장의 생활실태 조사. 대한가정학회지, 39(2), 1-13 

  26. 이삼연(2002). 이혼가정 청소년자녀의 적응에 관한 연 구. 한국가족복지학, 10, 37-66 

  27. 이소희 ,김훈, 최덕경, 강기정(2004). 가족문제와 가족 복지. 현학사 

  28. 최선화(2000). 편부모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 적응력 향상을 위한 또래집단 프로그램 개발. 한국가족복지학, 6, 187-214 

  29. 최해경(1997). 사회적 지지망 구조가 편부모 가족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33, 337-395 

  30. 한국여성개발원(1998). 저소득 모자가정의 자립방안 연구 

  31. 한국여성개발원(2002). 이혼여성의 부모역할 및 자녀 양육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32. Amato, P. R., & Keith, B. (1991). Parental divorce and the Welling-being of Children: A Meta 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110- 121 

  33. Arbuthnot, J., & Gordon, D. (1996). Does mandatory divorce education work: A six-month outcome evaluation. Family and Conciliation Courts Review, 34, 60-81 

  34. Bianchi, S. M. (1995).The Changing Demographic and S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Single Parent Families, S. M. H. Hanson, M. L. Heims, D. J. Julian, & M.B.5ussman(eds), Single Parent Families: Diversity, Myths and Realities 

  35. Booth, A., & Amato, R. (1991). Divorce and psychological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2, 396-407 

  36. Bowen, Gary L., Laura M. Desimone, & Jennifer K. McKay (1995). Poverty and the Single Mother Family: A Macroeconomic Perspective, S. M. H. Hanson, M. L. Heims, D. J. Julian, & M. B. Sussman(eds), Single Parent Families: Diversity, Myths and Realities 

  37. Burden, D. (1980). Women as Single Parents: Alternative Services for a Neglected Population. Gottlieb, N.(ed.), Alternative Social Services for Women,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38. Christopher, K. (2000). The Effects of Family, Work and Welfare on Mother's poverty in the U.s and Across Western Nations. Ph.D. Dessertation University of Arizona 

  39. Coving, M. V., & Omelish, C. L. (1994). Taskoriented versus competitive learning structures: Motivational and performance consquenc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6(6), 1038-1050 

  40. Duncan, S., & R. Edwards (1997). Single Mothers in an International Context: Mother or Workers? London: UCL Press 

  41. McLanahan, S., & Sandefur, G. (1994).Growing up with a single parent. Havard University Press 

  42. Rosenberg, M., & Leonard I. Pearlin (1978). Social Class and Self-Esteem among Children and Adult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84-9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