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구둑 건설 이후 낙동강 하구역 삼각주 연안사주의 지형변화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Deltaic Barrier Island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after the Construction of River Barrage 원문보기

대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40 no.4 = no.109, 2005년, pp.416 - 427  

김성환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낙동강 하구둑 건설 이후 낙동강 하구역삼각주 연안사주에서 나타나는 지형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항공사진 측량기법을 이용하여 1987년, 1996년, 2001년의 해안선을 추출하고 연안사주의 형태변화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안사주의 형태변화 분석에는 해안선의 변화와 연안사주의 면적변화, 그리고 기하학적 중심인 도심의 이동방향을 살펴보았다. 낙동강 삼각주 연안사주의 형태변화 분석에서 하구둑 건설 이후 새로이 출현한 도요등의 면적 증가가 두드러졌고, 이로 인하여 배후에 위치하는 백합등의 면적 감소와 쇠퇴로 이어졌다. 신자도의 경우에는 하구둑 건설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면적이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진우도와 대마등. 장자도의 경우에는 면적변화와 도심의 이동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낙동강 하구역의 삼각주 연안사주 지형변화는 성장/정체/쇠퇴 양상으로 나누어 분석할 수 있다. 현재 하천수의 유출이 이루어지고 있는 낙동강 본류의 하구를 중심으로 해안선을 형성하고 있는 연안사주에서는 성장 양상이 나타난다. 도요등과 신자도의 경우 해양 프로세스에 의해 지속적으로 퇴적물 공급이 이루어져 성장양상을 보인다. 외해 쪽으로 새로운 연안사주가 출현하기 이전까지 해안선을 구성하고 있던 연안사주는 쇠퇴양상을 보이고 있다 백합등은 하구둑이 건설된 이후 도요등이 출현함에 따라 현재는 연안사주의 전면부가 파괴되어 사라지는 쇠퇴양상을 보이고 있다. 백합등의 쇠퇴 양상은 도요등 배후 지역으로 음의 퇴적물 수지가 형성되고 있음을 지시한다. 연안사주 가운데 출현 시기가 가장 이른 진우도와 대마등, 장자도의 경우는 뚜렷한 성장이나 쇠퇴가 나타나지 않는 정체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morphological changes of deltaic barrier islands in the Nakdong Estuary and especially their spatial variations after barrage construction. We analyzed shorelines, geometrical centroids, and areas to reveal the changes of barrier islands. Here, we suggest three inter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서 정확한 해안선 추출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연구지역을 대상으로 촬영한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항공사진 측량기법을 이용하여 정확한 해안선 을 추출하고 시기별 해안선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 마지막으로 이상의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현재 낙동강 하구 역의 삼각주 연안사주의 지형변화 양상을 구분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연안사주 지형변화 양상은 지속적인 성장양상, 퇴적체의 감소에 따른 쇠퇴 양상, 그리고 뚜렷한 변화를 보이지 않는 정체 양상으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 이 연구는 낙동강 하구둑 건설 이후 낙동강 하구역 의 삼각주 연안사주에 나타나는 지형변화의 공간적 변 이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지형변화의 공 간적 변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정확하게 미지형 요소를 추출할 필요가 있다.
  • 이 연구는 낙동강 하구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지형변 화의 측면에서 보다 자세한 정보를 제공한다. 즉, 하구 둑이 건설된 이후 제기된 지형형성의 계속여부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퇴적지형의 형성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하구역 전면이 성장하고 있다는 기존의 연구 성과 에서 나아가 퇴적과정이 활성화되는 지역과 그렇지 못한 지역의 차이를 지형변화의 공간적 변이로서 밝히게 된다.
  • 즉, 하구 둑이 건설된 이후 제기된 지형형성의 계속여부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퇴적지형의 형성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하구역 전면이 성장하고 있다는 기존의 연구 성과 에서 나아가 퇴적과정이 활성화되는 지역과 그렇지 못한 지역의 차이를 지형변화의 공간적 변이로서 밝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이 연구는 낙동강 하구역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차별화되고 적절한 관리대 책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이 연구에서는 하구둑 건설이라는 인위적인 환경변화로 다양한 인문. 자연환경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 낙 동강 하류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인간의 간섭으로 인한 연안사주의 시계 열적 지형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하구둑의 건설은 인위적인 환경변화를 초래하는 극단적인 예로 이와 관련한 해안 지형의 변화는 지형 학적 해석과 더불어 해안환경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연구주제이다.
  • 이 과정에는 각 시기별 삼각주 연안사주의 면적과 도심(圖心, centroid)을 산출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하구둑이 건설된 이후 각 연안사주 면적의 변화량과 변화율, 그리고 각 연안사주 퇴적체의 기하학적 중심인 도심의 이동량과 이동 방향을 통해 지형변화의 공간적 양상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반용부, 1984, '낙동강 하구의 간석지,' 지리학연구, 9, 537-559 

  2. 반용부, 1986, '낙동강 하구 연안사주 지형,' 부산여대논문집, 21, 463-518 

  3. 반용부, 1987, 낙동강 삼각주의 지형과 표층퇴적물 분석,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반용부, 1995, '낙동강 하구 연안사주 지형의 변화,' 부산여대논문집, 40, 155-195 

  5. 반용부, 1997, '낙동강 삼각주 지형 경관 변화,' 부산여자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논문집, 3, 111-138 

  6. 반용부, 2003, '낙동강 유역분지 지역의 지질과 지형,' 낙동강백서, 3-41 

  7. 반용부, 2004a, '대저도의 지형경관 변화,' 부산연구, 1, 7-51 

  8. 반용부, 2004b, '명호도 남단의 Barrier Islands 지형변화,' 부산연구, 1, 53-99 

  9. 반용부, 2005a, '낙동강 삼각주의 환경,' 부산연구, 2, 7-49 

  10. 반용부, 2005b, '낙동강 하구에 발달한 연안사주,' 낙동강 하구둑의 득과 실 

  11. 부산광역시, 2004, 명지대교 건설사업 환경영향평가서 

  12. 부산대학교.부산발전연구원. Ramsar Center Japan, 1998, 낙동강 하구 습지의 보전과 관리 

  13. 부산발전연구원, 2005a, 낙동강 하구역의 생태.경제학적 가치 평가와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14. 부산발전연구원, 2005b, 낙동강 하구둑의 득과 실 

  15. 부산지방환경청, 1992, 낙동강 하구언 축조전후 주요환경 변화조사 

  16. 서울대학교기초과학연구원, 1998, 낙동강하류 철새도래지 생태계 보존대책 연구 

  17. 오건환, 1988, '낙동강 하구둑 건설로 인한 삼각주 말단의 지형변화,' 낙동강, 7, 38-47 

  18. 오건환, 1992, '낙동강 삼각주의 형성과정,' 부산지리, 1, 1-16 

  19. 오건환, 1999, '낙동강 삼각주 말단의 지형변화,' 한국제4기학회지, 13(1), 67-78 

  20. 한국수자원공사, 1988, 낙동강 하구둑 공사지, 77-114 

  21. Carter, R.W.G., 1988, Coastal Environment, Routledge 

  22. Elliot, T., 1986, Deltas, in Reading, H.(ed), Sedimen-tary Environments and Facies, Oxford, 113-154 

  23. Fisher, J.J., 1968, Barrier island formation: Discussion, Geol. Soc. America Bull., 79, 1421-1426 

  24. Goudie, A., 2000, The Human Impact on the Natural Environment, MIT Press 

  25. Goudie, A., 2004, Encyclopaedia of Geomorphology, Routledge 

  26. Guo, Q. and Psuty, N., 1997, Flood-tide deltaic wetlands : Detection of their sequential spatial evolution, PE&RS, 63(3), 273-280 

  27. McBride, R.A., et al, 1995, Geomorphic reponse-type model for barrier coastlines: A regional perspective, Marine Geology, 126, 143-159 

  28. Oertel, G.F., 1985, The barier island system, Marine Geology, 63, 1-13 

  29. Pethick, J., 1984, An Introduction to Coastal Geomorphology, Edward Arnold 

  30. Pilkey, O.H. et al, 2004, How to Read a North Carolina Beach, Chapel Hill 

  31. Stutz, M.L. and Pilkey, O.H., 2001, A review of global barrier island distribution, Journal of Coastal Research, 34, 15-22 

  32. Stutz, M.L. and Pilkey, O.H., 2002, Global distribution and morphology of deltaic barrier island systems, Journal of Coastal Research, 36, 694-707 

  33. Titus, J.G., 1990, Greenhouse effects, sea level rise, and barrier islands: case study of Long Beach Islands, New Jersey, Coastal Management, 18, 65-90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