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분자 구배표면 제조와 생체의료학적 응용
Preparation of Gradient Polymer Surface and Their Pluripotent Biomedical Applications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29 no.5, 2005년, pp.423 - 432  

이해방 (한국화학연구원 나노생체재료연구팀) ,  김문석 (한국화학연구원 나노생체재료연구팀) ,  조영호 (전북대학교 유기신물질공학과) ,  강길선 (전북대학교 유기신물질공학과) ,  이진호 (한남대학교 정보신소재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난 30년에 걸쳐 다양한 생체재료가 개발되어져 생체의료 시장에 응용되고 있다. 생물의학 분야에서 생체재료의 실질적인 활용은 생체적합성으로 언급된 생체재료에 알맞은 물리적$\cdot$생물학적 반응에 대한 연구에 의존하고 있다. 다양한 표면 처리 방법을 통한 생체재료의 개질은 표면 공학 분야에서 최근에 흥미로운 주제로 떠오르고 있다. 대다수의 연구그룹들은 최근 재료의 길이에 따라 점차적으로 다양한 화학적 조성물들이 표면에 존재하게 하는 실험에 관해 초점을 모으고 있다. 이러한 "구배표면" 생물학적 기종과 재료표면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기초적인 응용 연구에 특별한 흥미를 보여준다. 본 총설은 한 가지 시료 위에 다양한 구배표면을 만드는 실험과 특성파악, 그리고 이들 재료표면과 생물학적 기종들과의 상호작용 규명에 초점을 두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ver last three decades, various biomaterials has been developed and applied in the biomedical market. The practical utilization of biomaterials depends on the study about an appropriate physical and biological response of biomaterials. The modification of biomaterials using various surface treatm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후에 다른 많은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다. Kaelble과 MoacanSe 표면 에너지와 관련하여 생체접착을 연구하였다.15 Baier와16 van der Valk 등은17 표면 자유에너지와 세포 점착 사이의 상호작용을 일부 보여 주었다.
  • 23 그들은 흡착된 단백질의 양이 가장 소수성인 재료에서 높았으며 기질의 젖음성이 증가함에 따라 흡착량이 감소함을 보였다. Lu와 Paike 다른 젖음성의 기질 위에 흡착된 피브리노겐의 형태적 변화 정도를 연구하였다.9 그들은 흡착된 단백질의 양에 대해 표면이 좀더 소수성일수록 증가하며 흡착된 단백질은 표면 소수성 증가에 따라 큰 형태적 변화를 가지게 된 것을 보여 주었다.
  • 현재 우리는 측정기기의 발전에 힘입어 나노 또는 분자차원의 연구시대에 있으므로 실험하고자 하는 시료를 가능한 더 작게, 더 적게 사용하며 특정미세현상을 더 빨리 규명하거나 추적하는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창출할 수 있는 결과물을 요구받고 있습니다. 본 연구팀은 지속적으로 본 연구주제를 승화 발전시킴으로서 생체재료, 바이오센서, 표적지향 약물전달 시스템 디스프레이 등 광범위한 분야에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하며 오늘도 후배 과학자들과 함께 새로운 현상을 찾고 이해하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 이와 같이 생체적합성 재료로 특별한 위치에서 in vivo 혹은 in vivo를 통한 생물학적 종의 빠르고 정확한 인식과 결합반응에 대한 연구는 도전할만한 목표이다. 본 장에서는 구배표면에 단백질 흡착과 세포점착 연구를 소개한다.
  • 본 총설의 주요내용은 구배표면에 생체기능성 그룹의 도입을 통해서 젖음성 구배표면의 실행방법을 요약하였고, 생체의료 분야에서 구배표면의 특성과 응용성을 제시한다.
  • 이것은 표면의 친수성과 소수성 관계에 연관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생체적합성 재료로 특별한 위치에서 in vivo 혹은 in vivo를 통한 생물학적 종의 빠르고 정확한 인식과 결합반응에 대한 연구는 도전할만한 목표이다. 본 장에서는 구배표면에 단백질 흡착과 세포점착 연구를 소개한다.
  • 본 총설에서 표면 젖음성(특히 젖음성 구배표면)에 초점을 맞췄다. 젖음성 구배표면은 많은 연구그룹들을 통해 1987년 이래 단백질과 세포의 상호작용을 연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그들은 확산 방법을 통해 실리콘 혹은 유리기질에 수행하였고, 플라스마 방전 처리와 코로나 방전 처리를 이용하여 다양한 고분자 기질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2)

  1. http://en.wikipedia.org/wiki/Biomaterial, www.biology-online.orgldictionary/biomaterials, http://www.lexicon-biology.com/biology/definition_29.html 

  2. A. G. Gristina, Science, 237, 1588 (1987) 

  3. L. Vroman, Lancaster, 81 (1983) 

  4. B. M. Gumbiner, Cell, 84, 345 (1996) 

  5. J. H. Lee, J. W. Park, and H. B. Lee, Biomaterials, 12,443 (1991) 

  6. J. M. Schakenraad, H. J. Busscher, C. R. H. Wildevuur, and J. Arends, J. Biomed. Mater. Res., 20, 773 (1986) 

  7. Y. Tamada and Y.Ikada, J. Colloid Interf. Sci., 155, 334 (1993) 

  8. P. B. van Wachem, T. Beugeling, J. Feijen, A. Bantjes, J. P. Detmaers, and W. G. van Aken, Biomaterials, 6, 403 (1985) 

  9. D. R. Lu and K.Park, J. Colloid Interf. Sci., 144, 271 (1991) 

  10. S. D. Johnson, J. M. Anderson, and R. E. Marchant, J. Biomed. Mater. Res., 26,915 (1992) 

  11. S. Joschek, B. Nies, R. G. Krotz, and A. Opferich, Biomaterials, 21,1645 (2000) 

  12. E. Oh and P. E. Luner, Int. J. Pharm., 188, 203 (1999) 

  13. J. D. Andrade, L. M. Smith, and D. E. Gregonis, 'The contact angle and interface energetics', in Surface and Interfacial Aspects of Biomedical Polymers, J. D. Andrade, Editor, Plenum Press, New York, Vol. 1, pp. 249 (1985) 

  14. L. Weiss, Int. Rev. Cytol., 9, 187 (1960) 

  15. D. H. Kaelble and J. Moacanin, Polymer, 18, 475 (1977) 

  16. R. E. Baier, A. E. Meyer, J. R. Natiella, R. R. Natiella, and J. M. Carter, J. Biomed. Mater. Res., 18, 337 (1984) 

  17. P. van der Valk, A. W. J. van Pelt, H. J. Busscher, H. P. de Jong, C. R. H. Wildevuur, and J. Arends, J. Biomed. Mater. Res., 17,807 (1983) 

  18. F. Grinnell, Int. Rev. Cytol., 53, 65 (1978) 

  19. D. R. Absolom, L. A. Hawthorn, and G. Chang, J. Biomed. Mater. Res., 22, 271 (1988) 

  20. Y. Tamada and Y. lkada, 'Cell attachment to various polymer surface', in Polymer in Medicine II, E. Chellini, P. Giusti, C. Migliaresl, and L. Nicolais, Editors, Plenum Press, New York, pp.101 (1986) 

  21. J. A. Jansen, J. P. C. M. van der Waerden, and K. de Groot, Biomaterials, 12, 25 (1991) 

  22. T. G. van Kooten, J. M. Schakenraad, H. C. van der Mei, and J. H. Busscher, Biomaterials, 13, 897 (1992) 

  23. H. M. W. Uyen, J. M. Schakenraad, J. Sjollema, J. Noordmans, W. L. Jongebloed, I. Stokroos, and H. J. Busscher, J. Biomed. Mater. Res., 24, 1599 (1990) 

  24. T. G. Ruardy, J. M. Schakenraad, H. C. van der Mei, and H. J. Busscher, Surf. Sci Rep., 29, 1 (1997) 

  25. S. F. D'Souza, Appl. Biochem.Biotechnol., 96, 225 (2001) 

  26. A. Upadhyaya, and A. van Oudenaarden, Curr. Biol., 13, R734 (2003) 

  27. G. B. Fields, J. L. Lauer, Y Dori, P. Forns, Y C. Yu, and M. Tirrell, Biopolymers,47, 143 (1998) 

  28. D. S. Walker, M. D. Garrison, and W. M. Richert, J. Colloid Interf. Sci., 157, 41 (1993) 

  29. M. J. Lydon, T. W. Minett, and B. J. Tighe, Biomaterials, 6, 396 (1985) 

  30. J. Elwing, S. Welin, A. Askendahl, U. Nilsson, and I. Lundstrom, J. Colloid Interf. Sci., 119, 203 (1987) 

  31. J. Elwing, A. Askendal, and I. Lundstrom, Prog. Colloid Polym. Sci., 74, 103 (1987) 

  32. H. Elwing, A. Askendal, and I. Lundstrom, J. Biomed. Mater. Res., 21, 1023 (1987) 

  33. H. Elwing, B. Nilsson, K. E. Svensson, A. Askendahl, U. R. Nilsson, and I. Lundstrom, J. Colloid Interf. Sci., 125, 139 (1988) 

  34. H. Eiwing, A. Askendal, and I. Lundstrom, J. Colloid Interf. Sci., 128, 296 (1989) 

  35. S. Welin-Klintstrom, M. WIkstrom, A. Askendal, H. Elwing, I. Lundstrom, J. O. Karlsson, and S. Renvert, Colloids Surfaces, 44, 51 (1990) 

  36. H. Elwing, and C. G. Golander, Colloid Interf. Sci., 32, 317 (1990) 

  37. S. Welin-Klintstrom, A. Askendal, and H. Elwing, J. Colloid Interf. Sci., 158, 188 (1993) 

  38. V. Hlady, C. Golander, and J. D. Andrade, Colloids Surfaces, 33, 185 (1988) 

  39. C. G. Golander, Y. S. Lin, V. Hlady, and J. D. Andrade, Colloids Surfaces, 49, 289 (1990) 

  40. V. Hlady, J. N. Lin, and J. D. Andrade, Biosensors Bioelect., 5, 291 (1990) 

  41. V. Hlady, Appl. Spectrosc., 45, 246 (1991) 

  42. J. F. Carley and P. T. Kitze, Polym. Eng. Sci., 20, 330 (1980) 

  43. G. P. Lopez H. A. Biebuyck, C. D. Frisbie, and G. M. Whitesides, Science, 260, 647 (1993) 

  44. H. Zhao and D. Beysens, Langmuir, 11, 627 (1995) 

  45. Y. S. Lin, V. Hlady, and C. G. Golander, Coll. Surf. B: Biointerfaces, 3, 49 (1994) 

  46. B. Liedberg and P. Tengvall, Langmuir, 11, 3821 (1995) 

  47. M. Riepl, M. Ostblom, I. S. Lundstrom, C. T. Svensson, A. W. Denier van der Gon, M. Schaferling, and B. Liedberg, Langmuir, 21, 1042 (2005) 

  48. W. G. Pitt, J. Colloid Interf. Sci., 133, 223 (1989) 

  49. C. G. Golander and W. G. Pitt, Biomaterials, 11, 32 (1990) 

  50. J. H. Lee, J. W. Park, and H. B. Lee, Polymer(Korea), 14, 646 (1990) 

  51. H. B. Lee and J. D. Andrade, Cell adhesion on gradient surfaces, Trans. 3rd World Biomaterials Congr., 43 (1988) 

  52. H. B. Lee, 'Application of synthetic polymers in implants', in Frontiers of Macromolecular Science, T. Saegusa, T. Higashimura, and A. Abe, Editors,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Oxford, pp. 579 (1989) 

  53. C. H. Bamford and J. C. Ward, Polymer, 2, 277 (1961) 

  54. N. Morosoff, B. Crist, M. Bumgarner, T. Hsu, and H. Yasuda, J. Macromol. Sci., Chem., A10, 451 (1976) 

  55. Jr. J. Mitchell and L. R. Perkins, Appl. Polym. Symp., 4, 167 (1967) 

  56. D. T. Clark and A. Dilks, J. Polym. Sci. Polym. Chem. Ed., 17, 957 (1979) 

  57. H. Steinhauser and G. Ellinghorst, Angew. Makromol. Chem., 120, 177 (1984) 

  58. H. Iwata, A. Kishida, M. Suzuki, Y. Ham, and Y. Ikada, J. Polym. Sci., Polym. Chem. Ed., 26, 3309 (1988) 

  59. C. M. Chan, T. M. Ki, and H. Hiraoka, Surf. Sci. Rep., 24, 1 (1996) 

  60. C. G. Golander and W. G. Pitt, Biomaterials, 11, 32 (1990) 

  61. J. H. Lee, H. G. Kim, G. Khang, H. B. Lee, and M. S. Jhon, J. Collid Interf. Sci., 151, 563 (1992) 

  62. J. H. Lee and H. B. Lee, J. Biomater. Sci., Polym. Ed., 4, 467 (1993) 

  63. H. G. Kim, J. H. Lee, H. B. Lee, and M. S. Jhon, J. Collid Interf. Sci., 157, 82 (1993) 

  64. J. H. Lee, H. W. Kim, P. K. Pak, and H. B. Lee, J. Polym. Sci.; A: Polym. Chem., 32, 1569 (1994) 

  65. B. J. Jeong, J. H. Lee, and H. B. Lee, J. Colloid Interf. Sci., 178, 757 (1996) 

  66. J. H. Lee, J. W. Park, and H. B. Lee, Polymer(Korea), 14, 646 (1990) 

  67. J. H. Lee, H. W. Jung, I. J. Kang, and H. B. Lee, Biomaterials, 15, 705 (1994) 

  68. J. H. Lee, J. W. Lee, G. Khang, and H. B. Lee, Biomaterials, 18, 351 (1997) 

  69. J. H. Lee, G. Khang, J. W. Lee, and H. B. Lee, J. Biomed. Mater. Res., 40, 180 (1998) 

  70. Y. Iwasaki, K. Ishihara, N. Nakabayashi, G. Khang, J. H. Jean, J. W. Lee, and H. B. Lee, J. Biomater. Sci. Polym. Ed., 9, 801 (1998) 

  71. Y. Iwasaki, S. Sawada, N. Nakabayashi, G. Khang, H. B. Lee, and K. Ishihara, Biomaterials, 20, 2185 (1999) 

  72. M. S. Kim, K. S. Seo, G. Khang, and H. B. Lee, Langmuir, 21, 4066 (2005) 

  73. M. S. Kim, K. S. Seo, G. Khang, and H. B. Lee, Bioconjug. Chem., 16, 245 (2005) 

  74. N. L. Burnham, Am. J. Hosp. Pharm., 51, 210 (1994) 

  75. R. B. Greenwald, Y. H. Choe, J. McGuire, and C. D. Conover, Adv. Drug Deliv. Rev., 55, 217 (2003) 

  76. J. H. Lee, B. J. Jeong, and H. B. Lee, J. Biomed. Mater. Res., 34, 105 (1997) 

  77. C. D. Bain and G. M. Whitesides, J. Am. Chem Soc. 110, 5897 (1988) 

  78. E. B. Troughton, C. D. Bain, G. M. Whitesides, R. G. Nuzzo, D. L. Allara, and M. D. Porter, Langmuir, 4, 365 (1988) 

  79. R. E. Johnson and R. H. Dettre, in Surface and Colloid Science, E. Matijevic, Editors, Wiley Interscience, New York, Vol. 2, pp.85 (1969) 

  80. A. W. Adamson, Physical Chemistry of Surfaces, 3rd ed., Wiley, New York, 1976 

  81. T. G. Ruardy, H. E. Moorlag, J. M. Schakenraad, H. C. van der Mei, and H. H. Busscher, J. Colloid Interf. Sci., 188, 209 (1997) 

  82. T. Ueda-Yukoshi and T. Matsuda, Langmuir, 11, 4135 (1995) 

  83. R. M. A. Azzam and N. M. Bashara, Elipsometry and Polarized Light, Elsevier, Amsterdam, pp. 269 (1987) 

  84. J. D. Andrade,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XPS)', in Surface and Interfacial Aspects of Biomedical Polymers, J. D. Andrade, Editor, Plenum Press, New York, Vol. 1, pp. 105 (1985) 

  85. J. H. Lee, G. Khang, J. W. Lee, and H. B. Lee, J. Colloid Interf. Sci., 205, 323 (1998) 

  86. J. N. Lin, B. Drake, A. S. Lea, P. K. Hansma, and J. D. Andrade, Langmuir, 6, 509 (1990) 

  87. V. Hlady, R. A. van Waggenen, and J. D. Andrade, 'Total internal reflection intrinsic fluorescence(TIRF) spectroscopy applied to protein adsorption', in Surface and Interfacial Aspects of Biomedical Polymers, J. D. Andrade, Editor, Plenum Press, New York, Vol. 2, pp. 81 (1985) 

  88. S. V. Roberson, A. J. Fahey, A. Sehgal, and A. Karim, Appl. Surf. Sci., 200, 150 (2002) 

  89. J. H. Lee, Ph. D. thesis, University of Utah, Salt Lake City (1988) 

  90. N. Green, Biochem. J., 89, 585 (1963) 

  91. S. B. Carter, Nature, 208, 1183 (1965) 

  92. J. H. Lee, S. J. Lee, G. Khang, and H. B. Lee, J. Colloid Interf. Sci. 230, 84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문의처: helpdesk@kisti.re.kr전화: 080-969-4114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