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비글견에서 Propofol 완전정맥마취와 Isoflurane 휘발성 유도/유지 마취 시 심폐기능과 회복의 비교
Comparison of Cardiopulmonary Effects and Recovery between Total Intravenous Anesthesia with Propofol and Volatile Induction/maintenance Anesthesia with Isoflurane in Beagle Dogs 원문보기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v.22 no.3 = no.50, 2005년, pp.259 - 263  

이수한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compare cardiopulmonary effects and recovery between total intravenous anesthesia (TIVA) with propofol (PRO group, n=5) and volatile induction/maintenance anesthesia (VIMA) with isoflurane (ISO group, n=5), we investigated changes of heart rate, $SpO_2$, arterial pressure, rectal temp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본 실험에서는 휘발성 마취가스만을 이용한 마취 유도/유 지 방법(VIMA)과 정맥마취제만을 이용한 마취유도/유지방법(TIVX)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단일제제로만 실험을 시행하였으나, 실지임상에서 적용 시에는 다른 진통제나 아 편 양제제와 함께 사용되어야 한다. 저자는 propofol TIVA에 의한 마취 유지를 수의 임상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propofbl을 이용한 TFVA와 isoflurane을 이용한 휘발성 유도/유지 마취 (volatile induction/maintenance anesthesia, 이흐} VIMA)를 실시하여 체온, 호흡수, 심박수, SpO2, 혈압 변화를 비교하였고, 회복기(recovery period)에 회복시간의 차이에 대하 여비교 하여 보았다.
  • 험동물, 한국) 10두를 1주일간의 검역 및 순화를 거친 뒤 시험에 공시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육성견 사료©)대한사료, 한국)를 체중의 4%/일(1일 2회)로 제한급여하였고, 음수는 여과, 살균된 정제수를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 실험동물은 실험 직전, 체온 및 심박수, 호흡수 등의 일반 건강검진을 실시하여 이상이 없는 것을 확인한 후, 서혜부에 lidocaine을 이용한국소마취 실시 후, 대퇴동맥에 cut-down tube(C3-350 mm, (주)한국메디칼 사푸라이, 한국)를 장착한 다음, pressure bag에 연결된 A-line set(DELTRAN®Il, Utah Medical Products Inc., USA)에 연결한 후 환축 감시 장치(MP500, (쥐MEK; 한국)에 연결하여 침습적 혈압 측정 방법으로 수축기 동맥압(systolic arterial pressure, 이하 SAP), 평균 동맥압(mean arterial pressure, 이하 MAP), 이완기동 맥압(diast61ic arterial pressure, 이하 DAP)을 확인하였다. 요측 피정맥에 IV catheter(18G, 보인메디카, 한국)를 사용하여, IV-line을 설치하여 생리식염수를 연결한 후, 2ml/kg/hr의 속도로 주입하였다.
  • , USA)에 연결한 후 환축 감시 장치(MP500, (쥐MEK; 한국)에 연결하여 침습적 혈압 측정 방법으로 수축기 동맥압(systolic arterial pressure, 이하 SAP), 평균 동맥압(mean arterial pressure, 이하 MAP), 이완기동 맥압(diast61ic arterial pressure, 이하 DAP)을 확인하였다. 요측 피정맥에 IV catheter(18G, 보인메디카, 한국)를 사용하여, IV-line을 설치하여 생리식염수를 연결한 후, 2ml/kg/hr의 속도로 주입하였다. PRO군은 유지 수액과 IV catheter 사이에 3 way stopcock(Discofix®, B.
  • 실험동물을 보정틀에 위치시킨 후, 환축 감시장치를 이용하여 체온, 심박수, 호흡수, 심전도, SpC>2를 측정하기 위한 탐침과 센서를 부착하였다.
  • PRO군의 마취 유도와 유지는 propofol(Diprivan®, AstraZeneca, Italy)을 사용하였고, 마취 유지 시 속도 조절은 infusion pump(Pilot Anesthesia 2, Fresenius, France)를 사마취 유도는 propofol 5 ㎎/㎏ 용량으로 서서히 정주하고, 이용량으로 적절한 유도가 되지 않으면 1/2의 용량(2.5mgkg)을 한번 더 주입하였다. 마취유도 후 즉시 기관 삽관을 실시하였으며, 자발호흡을 유지시키면서 100% O2(flow rate=200 ml/kg/min)를 공급하였다.
  • ISO 군 마취는 호흡 마취기(VME, MDS Matrx, USA)를 이용하였고, 마취가스 농도는 기화기(Vip3000, MDS Matrx, USA)를 이용하여 조절하였으며, 마취 유도는 마취 전 mask 를 이용하여 2-3분간 Q를 주입한 후, isoflurane 농도를 0.5%에서 시작하여 0.5%/30sec 속도로 증가하여 3-4%까지 도달한 후 적절한 상태가 되면, 기관 삽관을 실시하였고, 자발호흡을 유지시키며, isoflurane과 산소 공급을 하였다. 마 취유지는 isoflurane 2.
  • 5%/30sec 속도로 증가하여 3-4%까지 도달한 후 적절한 상태가 되면, 기관 삽관을 실시하였고, 자발호흡을 유지시키며, isoflurane과 산소 공급을 하였다. 마 취유지는 isoflurane 2.5% 농도에서 100% O2(flow rate= 200ml/kg/min)로 60분간 마취를 실시하였고 마취 유지 중 각성이 심한 경우, isoflurane 농도를 0.5%씩 증가하고, 마취 심도가 너무 높은 경우(무호흡 발생, 심박수 또는 혈압의 과도 저하 등)에는 isoflurane의 농도를 0.5%씩 낮추었다. 두 군 모두 마취 중 무호흡 발생 시에는 bagging을 통한 양압환 기를 실시하였다.
  • 5%씩 낮추었다. 두 군 모두 마취 중 무호흡 발생 시에는 bagging을 통한 양압환 기를 실시하였다.
  • 실험 전 모든 탐침과 센서 장착 후 20분 이상 안정을 취한 다음, 환축 감시 장치를 통해 실험동물의 체온, 심박수, 호흡수, Sp0, SAP, MAP, DAP를 측정하여 기록하였고, 이를 기준값으로 설정하였다. 마취유도(I), 삽관(T), 마취 유지 시작(0분)부터 10분 간격으로 100분까지 상기 7개 항목을 측정하였다.
  • 실험 전 모든 탐침과 센서 장착 후 20분 이상 안정을 취한 다음, 환축 감시 장치를 통해 실험동물의 체온, 심박수, 호흡수, Sp0, SAP, MAP, DAP를 측정하여 기록하였고, 이를 기준값으로 설정하였다. 마취유도(I), 삽관(T), 마취 유지 시작(0분)부터 10분 간격으로 100분까지 상기 7개 항목을 측정하였다. 마취 과정 중 나타나는 모든 부작용(구토, 근진전, 후궁 반장 등)을 기록하였다.
  • 마취유도(I), 삽관(T), 마취 유지 시작(0분)부터 10분 간격으로 100분까지 상기 7개 항목을 측정하였다. 마취 과정 중 나타나는 모든 부작용(구토, 근진전, 후궁 반장 등)을 기록하였다.
  • 마취 유지가 종료되는 60분부터, 기관 튜브를 발관하는 데 걸린 시간(EXT), 머리를 들기 시작하는 시간(HD), 앙와 자세를 취하기 시작하는 시간(ST), 일어서려는 반응을 나타내는 시간(RT)을 기록하여 마취 후 회복 정도를 비교하였다.
  • 비글견 10두에서 propofoK 이용한 완전 정맥마취(TFVA)와 isoflurane을 이용한 휘발성 유도/유지마취(VIMA)를 실시한 후, 체온, 심박수, 호흡수, SpQ, 동맥혈압의 기록을 통하여 마취중과 마취 후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회복시간의 비교를 통하여 각성의 정도를 비교하였고,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비글견 10두에서 propofoK 이용한 완전 정맥마취(TFVA)와 isoflurane을 이용한 휘발성 유도/유지마취(VIMA)를 실시한 후, 체온, 심박수, 호흡수, SpQ, 동맥혈압의 기록을 통하여 마취중과 마취 후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회복시간의 비교를 통하여 각성의 정도를 비교하였고,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 데이터

  • 임상적으로 건강하다고 판정된 6-11 개월령(8.8±1.81 month)의 체중 5.00-7.10 kg(6.19±0.88 kg)인 비글견(중앙실 . 험동물, 한국) 10두를 1주일간의 검역 및 순화를 거친 뒤 시험에 공시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육성견 사료©)대한사료, 한국)를 체중의 4%/일(1일 2회)로 제한급여하였고, 음수는 여과, 살균된 정제수를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 실험동물은 propofol을 이용한 TIVA군(PRO group)과 isoflurane을 이용한 VIMA군(ISO group)으로 나누고, 각 군당 5두씩 공시하였다. 실험동물은 실험 12시간 전부터 절식/절수를 실시하였다.

데이터처리

  • 본 실험을 통해 얻어진 자료의 각 군 내에서와 군 간의 통계학적 유의성은 SAS system의 General Linear Model (GLM) Procedure(The SAS System for Windows Release 8.02, SAS Institute, 2001)를 이용하여 Duncan's multiple range test의 방법에 의해 검정하였으며, p<0.05 이하의 유의성을 갖는 경우에 통계학적 차이로 인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oer F, Ros P, Bovill JG, van Brummelen P, van der Krogt J. Effect of propofol on peripheral vascular resistance during cardiopulmonary bypass. Br J Anaesth 1990; 65: 184-189 

  2. Crocker BD, Okumura F, McCuaig DI, Denborough MA. Temperature monitoring during general anesthesia. Br J Anaesth 1980; 52: 1223-1229 

  3. Doyle E, Mcfadzean W, Morton NS. Anaesthesia with propofol using a target controlled infusion system: comparison with inhalation anaesthesia for general procedures in children. Br J Anaesth 1993; 70: 542-545 

  4. Doze VA, Shafer A, White PF. Propofol-nitrous oxide versus thiopental-isoflurane-nitrous oxide for general anaesthesia. Anesthesiology 1988; 69: 63-71 

  5. Frank SM, Beattie C, Christopherson R, Norris EJ, Rock P, Parker S, Kimball AW Jr. Epidural versus general anesthesia, ambient operating room temperature, and patient age as predictors of inadvertent hypothermia. Anesthesiology 1992; 77: 252-257 

  6. Gold MI, Sacks DJ, Grosnoff DB, Herrington CA. Comparison of propofol with thiopental and isoflurane for induction and maintenance of general anesthesia. J Clin Anesth 1989; 1: 272-276 

  7. Ilkiw JE, Pascoe PJ, Haskins SC, Patz JD. Cardiovascular and respiratory effects of propofol administration in hypovolemic dogs. Am J Vet Res 1992; 53: 2323-2327 

  8. Korttila K, Ostman P, Faure E, Apfelbaum JL, Prunskis J, Ekdawi M, Roizen MF. Randomized comparison of recovery after propofol-nitrous oxide versus thiopentone-isoflurane-nitrous oxide anesthesia in patients undergoing ambulatory surgery. Acta Anaesthesiol Scand 1990; 34: 400-403 

  9. Lim BL, Low TC. Total intravenous anaesthesia versus inhalational anaesthesia for dental day surgery. Anaesth Intensive Care 1992; 20: 475-478 

  10. Lipton JM, Giesecke AH. Body temperature and shivering in the peri operative patient. Semin Anesth 1988; 7: 3-10 

  11. Martinez EA. Anesthetic agents. In: Small animal clinical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3rd ed. Philadelphia: WB Saunders. 2001: 425-430 

  12. Mirakhur RK, Morgan M. Intravenous anaesthesia: a step forward. Anaesthesia 1998; 53(Suppl 1): 1-3 

  13. Robertson SA, Johnston S, Beemsterboer J. Cardiopulmonary, anesthetic, and postanesthetic effects of intravenous infusions of propofol in Greyhounds and non-Greyhounds. Am J Vet Res 1992; 53: 1027-1032 

  14. Shafer SL. Towards optimal intravenous dosing strategies. Semin Anaesth 1993; 12: 222-234 

  15. Sung YF, Reiss N, Tillette T. The differential cost of anesthesia and recovery with propofol-nitrous oxide anesthesia versus thiopental sodium-nitrous oxide anesthesia. J Clin Anesth 1991; 3: 391-394 

  16. Vale RJ. Monitoring of temperature during anesthesia. lnt Anesthesiol Clin 1981; 19: 61-83 

  17. Vaughan MS, Vaughan RW, Cork RC. Postoperative hypothermia in adults: relationship of age, anesthesia, and shivering to rewarming. Anesth Analg 1981; 60: 746-751 

  18. Watson KR, Shah MV. Clinical comparison of 'single agent' anaesthesia with sevoflurane versus target controlled infusion of propofol. Br J Anaesth 2000; 85: 541-546 

  19. 길호영, 김대우, 김영재, 김해규, 백승완, 양홍석, 윤석민, 이동호, 이수일, 이승준, 한태형. 정맥마취. 서울: 군자출판사. 1998: 375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