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측두하악관절 관혈적 수술에 관한 임상적 연구
CLINICAL STUDY OF TEMPOROMANDIBULAR JOINT OPEN SURGERY 원문보기

大韓顎顔面成形再建外科學會誌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ons, v.27 no.1, 2005년, pp.55 - 65  

심정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치과 구강악안면외과) ,  김영균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치과 구강악안면외과) ,  윤필영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치과 구강악안면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st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 can be treated conservatively. However, open TMJ surgery can be needed in some patients. We analysed the patients with TMD which open surgery has performed since 1998. Open surgery was carried out in 8 patients. Age ranged from 22 to 61 years, with a m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임상증상이 심하고 환자가 장기간의 보존적인 치료를 거부하여 외과적으로 관절을 노출시켜 상태를 확인한 후 문제점을 해결할 목적으로 관혈적 수술을 계획하였다. 술중 관절원판은 주위 조직과 구별이 어려울 정도로 변형되어 있었고 악골 운동시 전혀 움직임이 관찰되지 않았다.
  • 이처럼 다양한 외과적치료가 있으며 이러한 외과적 치료는 적절한 측두하악관절질환에 적용하여 치료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저자 등은 측두하악관절질환을 치료하면서 1998년부터 2003년까지 외상과 관련한 측두하악관절질환이 4증례, 감염이 2증례, 원인미상이 2증례로 총 8증례의 외과적 수술을 경험하였으며 각각의 증례보고 및 문헌고찰을 통해 외과적 수술의 적응증과 합병증 등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 그러나 임상 증상이 경미하고 외형적 안모 변화가 없는 경우엔 수술을 시행하지 않고 주기적으로 경과 관찰을 시행하는 것도 하나의 치료 방법이될 수 있다19). 하악골에 발생된 골연골종 치료의 목적은 안정된 교합상태 및 개구능력 회복, 하악의 전방 및 측방 운동 능력 회복, 통증의 소실 그리고 성장 장애를 방지하는데 있다. 대개 수술 후 예후는 좋으며 재발률은 낮다고 알려져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Young Kyun Kim, Hyoun Tae Kim, In Soo Kim : Effect of Initial Conservative Treatment of TMD Patients: Conuselling and Medic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38 : 549, 2000 

  2. Cimino R, Steenks MH, Michelotti A, et al : Mandibular Condyle Osteochonrom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port of a Misdiagnosed Case. J of Orofacial Pain 17 : 254, 2003 

  3. Young Kyun Kim : Analysis of Treatment pattern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39 : 54, 2001 

  4. Eppley BL, Delfino JJ : Surgical Treatment of Internal Derangement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J Oral Maxillofacial surgery 46 : 721, 1988 

  5. Quinn PD : Color Atlas of Temporomandibular joint Surgery Mosby publication Co,1998, p55 

  6. Korean Association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ons: Textbook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1st ed. Seoul, Medical & Dental Publication Co, 1998, p313 

  7. Umstadt HE, Ellers M, Muller HH, Austermann KH : Functional reconstruction of the TM joint in cases of severely displaced fracture and fracture dislocation. J Craniomaxillofac Surg 28 : 97, 2000 

  8. Jong Won Kim, Hwan Ho Yeo : Diagnosis and Treatment of TMJ Injury Narae publication Co. Seoul Korea. 1996. p72 

  9. Sato J, Segami N, Nishimura M : Clinical evaluation of arthroscopic eminoplasty for habitual dislocation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Comparative study with conventional open eminectomy.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95 : 390, 2003 

  10. tmj21.com/boards/Zboard 

  11. Porter DE, Simpson AH : The neoplastic pathogenesis of solitary and multiple osteochondromas. J Pathol 188 : 119, 1999 

  12. Kurita K,Ogi N, Echiverre NV, and Yoshida K : Osteochondroma of the mandibular condyle. A Case report. Int J Oral Maxillofac Surg 28 : 380, 1999 

  13. Gingrass DJ and Sadeghi EM : Osteochondroma of the mandibular condyle mimicking TMJ syndrome: clinical and therapeutic appraisal of a case. J Orofac Pain 7 : 214, 1993 

  14. Forssell H. Happonen R-P, Virolainen E : Osteochondroma of the mandibular condyle. Br J Oral Maxillofac Surg 23 : 183, 1985 

  15. Henry CH, Granite EL, Raffetto LK : Osteochondroma of the mandibular condyle; report of a case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J Oral Maxillofac Surg 50 : 1104, 1992 

  16. Karras S, Wolford L, Cottrell D : Concurrent osteochondroma of the mandibular condyle and ipsilateral cranial base resulting in temporomandibular joint ankylosis. J Oral Maxillofac Surg 54 : 640, 1996 

  17. Koole R, Steenks MH, Witkamp TD : Osteochondroma of the mandibular condyle. A case report. Int J Oral Maxillofac Surg 25 : 203, 1996 

  18. Loftus MJ, Binnett JA, Fantasia JE : Osteochondroma of the mandibular condyle. Oral Surg 61 : 221, 1986 

  19. Giacomuzzi D : Bilateral enlargement of the mandibular coronoid processes: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port of case. J Oral Maxillofac Surg 44 : 728, 1986 

  20. Srivastava KP : Temporomandibular Ankylosis International Surgery 61 : 24, 1976 

  21. Dolwick MF, Sanders B : TMJ Internal Derangement & Arthrosis. Tronto, C.V. Mosby publication Co. 1985, p217 

  22. George D, Franklin DM : Temporomandibular disorders. Part3. Surgical treatment, J Australian Dental 41 : 16,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