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RI T2강조영상에서 측두하악관절 원판 후 조직의 상대적 신호 강도에 대한 연구
THE RELATIVE SIGNAL INTENSITY OF RETRODISCAL TISSUE IN TMJ USING A T2-WEIGHTED MRI 원문보기

大韓顎顔面成形再建外科學會誌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ons, v.27 no.5, 2005년, pp.457 - 462  

예영근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치과학교실 구강악안면외과) ,  이상화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치과학교실 구강악안면외과) ,  윤현중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치과학교실 구강악안면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lative signal intensity of TMJ retrodiscal tissue in T2-weighted MRI as diagnostic marker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TMD). 58 temporomandibular joints from 29 TMD patients (14 men & 15 women) were evaluated. The relative signal intensity of retrodiscal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2003년 5월부터 2004년 8월까지 악관절 질환 증상으로 내원한 29명의 환자의 악관절 58개를 대상으로 MRI T2 강조영상에서 일정한 크기의 ROI를 정해서 악관절원판 후조직의 상대적 신호강도를 측정하여, MRI상악관절원판의 위치, 악관절 삼출액 유무와의 비교 연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악관절원판의 전위, 악관절 삼출액이 있는 경우 상대적 신호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MRI T2 강조영상에서 균일한 크기의 ROI로 대뇌 회색질에 대한 악관절원판 후조직의 상대적 신호강도를 측정하였다. 이를 악관절 질환의 진단 지표로서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MRI상 악관절원판의 전위정도, 악관절 삼출액의 유무와 비교하였다.
  • 이와 같이 MRI의 기존 진단지표인 악관절원판 위치, 악관절 삼출액에 대한 여러 연구들이 상반되는 견해가 있어본 연구에서는 아직까지 활발하게 연구되지 않은 악관절원판 후조직의 상대적 신호강도를 또 하나의 진단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 위에 언급한 다른 지표들과 비교해 보았기 때문에 그 의미가 있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악관절 질환 환자에서 관절원판 후조직의 염증성 변화에 의해 신호강도의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MRI T2 강조영상으로 관절원판 후조직의 신호강도를 측정하였다. MRI 촬영시 가해지는 조건에 따라 신호강도의 발현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악관절원판 후조직의 상대적 신호강도는 T2 강조영상에서 폐구 시 관절원판직 후방 지점에 원형의 region of interest(ROI)를 정하여 신호강도의 평균치를 측정하고, 같은 크기 ROI의 하악 과두 직 상방 대뇌 gray matter 신호강도 평균치를 측정하여 후자를 1로 하였을 때 상대적 신호강도를 측정하였다.
  • 악관절 삼출액은 관절내 병변의 결과로 생각되어지며 종종 동통 등의 증상이 있는 관절에서 발견된다는 가정을 하게 된다. 하지만 MRI상 삼출액의 관찰과 임상적 증상과의 관계는 아직도 불확실하다1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Truelove EL, Sommers EE, LeResche L et al : Clinical diagnostic criteria for TMD. New classification permits multiple diagnoses. J Am Dent Assoc 123 : 47, 1992 

  2. Tasaki MM, Westesson PL, Raubertas RF : Observer variation in interpretation of magnetic resonance image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76 : 231, 1993 

  3. Tasaki MM, Westesson PL : Temporomandibular joint: diagnostic accuracy with sagittal and coronal MR imaging. Radiology 186 : 723, 1993 

  4. Helm CA, Gillespy T, Sims RE et al :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internal derang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Radiol Clin North Am 24 : 189, 1986 

  5. Sakuma K, Sano T, Yamamoto M et al : Does decreased T1 signal intensity in the retrodiscal tissue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reflect increased density of collagen fibers? Dentomaxillofac Radiol 32 : 222, 2003 

  6. Jung JS, Huh WS, Chung H : A study on the changes of MR signal intensity of posterior attach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Kor J Maxillofac Plast Reconst 19 : 93, 1997 

  7. Sano T, Westesson PL, Show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Increased T2 signal in the retrodiscal tissue of painful joint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79 : 511, 1995 

  8. Okeson J : Sign and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occlusion, 5th ed. Singapore, Elsevier, 2003, p.187 

  9. Westesson P, Paesani D : MR imaging of the TMJ.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76 : 631, 1993 

  10. Yoon HJ, Park CH, Kim J : The MRI-Based Comparison of normal- and abnormal-side retrodiscal tissue, and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examination & the MRI findings of retrodiscal tissue in patients with unilateral TMJ internal derangement. Kor J Maxillofac Plast Reconst 28 : 330, 2002 

  11. Westesson PL, Brooks SL : Temporomandibular joint: Relationship between MR evidence of effusion and the presence of pain and disc displacement. Am J Roentogenol 159 : 559, 1992 

  12. Westesson PL : Reliability and validity of imaging diagnosis of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Adv Dent Res 7 : 137, 1993 

  13. Hasso AN, Christian EL, Alder ME : The temporomandibular joint. Radiol Cline North Am 27 : 301, 1989 

  14. Marguelles RE, Carpentier P, Yung LP et al : Clinical diagnosis compared with findings of magnetic resonance in 242 patients with internal derangement of the TMJ. J Orofac Pain 9 : 244, 1995 

  15. Emshoff R, Innerhofer K, Rudisch A et al : Relationship between temporomandibular joint pain and the magnetic resonance imaging finding of internal derangement. Int J Oral Maxillofac Surg 30 : 104, 2001 

  16. Emshoff R, Innerhofer K, Rudisch A et al : Clinical versus magnetic resonance imaging findings with internal derang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An evaluation of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J Oral Maxillofac Surg 60 : 36, 2002 

  17. Haley DP, Schiffman EL, Lindgren BR et al :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and MRI findings in patients with unilateral temporomandibular joint pain. J Am Dent Assoc 132 : 476, 2001 

  18. Bertram S, Rudisch A, Innerhofer K et al : Magnetic resonance imaging to diagnose temporomandibular joint internal derangement and osteoarthrosis. J Am Dent Assoc 66 : 75, 2001 

  19. Emshoff R, Innerhofer K, Rudisch A et al : The biological concept of 'internal derangement and osteoarthrosis'. A diagnostic approach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joint pain.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Radiol Endod 93 : 39, 2002 

  20. Yano K, Sano T, Okano T : A longitudinal study of magnetic resonance(MR) evidence of temporomandibular joint(TMJ) fluid in patients with TMJ disorders. J Craniomandibular Pract 22 : 64, 2004 

  21. Segami N, Nishimura M, Kaneyama K et al : Does joint effusion on T2 magnatic resonance images reflect synovitis? Comparison of arthroscopic findings in internal derang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Endod 92 : 341, 2001 

  22. Murakami k, Nishida M, Bessho K et al : MRI evidence of high signal intensity and temporomandibular arthralgia and relating pain. Does the high signal correlate to the pain? Br J Oral and Maxillofac Surg 34 : 220, 1996 

  23. Emshoff R, Rudisch A, Innerhofer K et al : Temporomandibular joint internal derangement type III: Relationship to magnetic resonance imaging findings of internal derangement and osteoarthrosis. An intraindividual approach. Int J Oral Maxillofac Surg 30 : 390, 2001 

  24. Kurita K, Westesson Pl, Sternby NH : Histologic feature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disk and posterior disk attachment : Comparison of symptom-free persons with normally positioned disks and patients with internal derangement.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67 : 635, 1989 

  25. Holmlund AB, Gynther GW. Reinholt FP : Disk derangement and inflammatory changes in the posterior attach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73 : 9, 1992 

  26. Hall MB, Brown RW, Baugham RA : Histopathologic appearance of the bilaminar zone in internal derangement of the TMJ.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79 : 511, 1995 

  27. Isberg A, Isacsson G : Tissue reactions associated with internal derangement of the TMJ : A radiographic, cryomorphologic, and histologic study. Acta Odontol Scand 44 : 159, 19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