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착용자의 체형과 의복유형, 무채색 톤 조합이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earer's Body Type and Clothing Type, Neutral Tone Combination on Impression Formation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29 no.9/10 = no.146, 2005년, pp.1207 - 1218  

팽숙경 (진주교육대학교) ,  강경자 (경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활과학부 의류학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wearer's body type and clothing type, neutral tone combination on impression formation. The experimental materials developed for this study are a set of stimuli and response scales(The 7-point semantic). the stimuli are 90 pictures manipulated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착용자의 체형과의 복유형, 무채색 톤 조합이의 복복 복착용자의 인상에 미치는 영향을 밝힌다.
  • 본 연구는 여성 착용자의 체형과 의복유형, 톤 조합이 인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여성의 인상형 성에 많은 영향을 주는.요소라고 보고되었으나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던 여성의 체형을 변인으로 하였다 는 점과 체형 분류에 있어 중량감뿐아니라 선행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키도 변수로 하여 체형을 분류함으로서 보다 다각적으로 여성의 체형이 인상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본 연구에서는 착용자의 체형, 의복 유형, 무채색 톤조합의 변화가 의복 착용자의 인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기 위하여 26쌍의 형용사쌍을 요인 분석하여 인상 차원을 밝히고, 이들 단서들이 의복 착용자의 인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본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착용자의 체형과의 복유형, 무채색 톤조합에 따른 착용자의 인상 차원을 알아보고 이들 단서들이 의복 착용자의 인상에 미치는 영향과 상호작용 효과를 밝히는 데 있다.
  • 의복 착용자의 인상 차원에 영향을 미치는 단서들 간의 유의적인 상호작용 효과는 , , 에 나타내었으며 단서들이 인상에 미치는 영향을 인상 차원 별로 고찰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강혜원. (2000). 의상사회심리학. 서울: 교문사 

  2. 김영인, 문영애, 한소원. (2000). 한국 성인 남여의 의복선호색, 한국의류학회지, 24(7), 964-975 

  3. 김윤경, 강경자. (2003). 의복스타일과 색상.톤 조합이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7(3/4), 395-406 

  4. 김재숙, 김희숙. (1992). 의복범주가 젊은이의 대인지각에 미치는 영향-유행성 및 착용자의 체형과 관련지어-. 한국의류학회지, 16(4) 371-377 

  5. 김재숙, 송경자. (2002). 체형 및 의복색이 남자 아동의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0(2), 29-37 

  6. 류숙희, 최재란, 박종희. (2000). 의복색채에 의한 시각적 평가. 계명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과학논집, 25 

  7. 문주영, 강경자. (2003). 상.하의 배색과 하의형태가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7(1), 111-122 

  8. 박혜선, 이은영. (1984). 의복에 대한 의미미분척도의 구성요인 도출. 서울대학교 가정대학 논문집, 9. 103-107 

  9. 송선옥, 이인자. (2001). 남자의 인상에 미치는 의복유형, 얼굴형 및 체형의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5(2), 369-378 

  10. 이미숙, 김재숙, (1995). 아동의 의복과 체형이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제1보)-초등학교 1학년 담임교사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9(6), 1017-1026 

  11. 이정옥, 권미정, 박영실. (1995) 한국 도시여성의 얼굴색과 의복색과의 배색 이미지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3(2), 167-180 

  12. 이주현, 조긍호. (1995). 의상디자인 요소가 착용자의 인상에 미치는 영향-Dress 및 Pants/Blouse의 형태와 색채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9(5). 747-764 

  13. 차미승, (1992). 의복형태와 색채이미지의 시각적 평가와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한국표준색표집. (1991). 공업진흥청/한국방송공사 

  15. 홍병숙, 정미경. (1993). 여성수트의 이미지구성 요인에 관한 연구. 복식, 20, 73-82 

  16. Asch, S. E. (1946). Forming impressions of personality.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41, 258-290 

  17. Burger, H. I. (1981). Dimensions of physical attractiveness: How others see u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Utah, Salt Lake City 

  18. Damhorst, M. L. (1990). In a search of a common thread: Classification of information communicated through dress. Clothing & Textiles Research Journal, 8(2), 1-12 

  19. Douty, H. I. (1963). Influence of clothing on perception of persons.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55(3), 197-202 

  20. Francois, S. K., & Evans, P. K. (1987). Effect of hue, value, and style of garment and personal coloring of model on person perception. Perception & Motor Skills, 64(2), 383-390 

  21. Gordon Allport. (1937). Personality-A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New york: Henry Holt & Company 

  22. Horn, M. J., & Gurel, L. M. (1981). The second skin: An interdisciplinary study of clothing (3rd ed.). Boston: Houghton Miffilin 

  23. Osgood, Charles E, Suci, George J, Tannenbaum, & Percy, H. (1957). The Measurement of meaning. Chicago: Uniaersity of Illinois Press 

  24. Pedersen & Markee. (1994). Gender differences in chracteristics reported to be important features of physcial attractiveness. Perceptual and Motor Skills, 79, 1539-1544 

  25. Zebrowitz, L. A. (1990). Social perception. Pacific Grove, California: Brooks/Cole Publishing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