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현대 박물관건축의 분석지표로서 슐츠의 '장소성' 이론 적용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n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ceness' by Christian Norberg Schultz as a Barometer of Analysing Contemporary Museum Architecture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14 no.5 = no.52, 2005년, pp.262 - 270  

이정화 (한양여자대학 인테리어디자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eory of 'placeness' permeated through contemporary museum architecture in Korea, and hereby to prove the possibility of coping with the modernity in Korean architecture. In this study the theory of 'placeness' which is asser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독도의 영토관련 역사자료를 전시, 관리, 교육, 홍보하여 일본의 독도영유권 주장을 반박할 수 있는 자료와 이론적 토대구축을 목적으로 울릉도에 세워진 기념관이다. 비록 접근성의 문제로 독도에 세워지지 못하고 울릉도에 세워졌으나 건축의 의미와 상징성이 조형에 잘 나타난 작품으로 구조화, 추상화의 표현유형으로 분류된다.
  • 본 연구는 논의의 근거가 되는 Christian Norberg Schultz의 '장소성'과 슐츠가 제기하는 '장소' 발현을 위한 세 가지 구성요소을 를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이에 따른 '장소성 발현'의 유헝을 구분, 이를 단서로 건축표현의 탐구시기로 확인되는 1990 년대 이후 완공된 박물관건축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슐츠의 건축론의 핵심인 '장소성' 이론을 살피고, 그의 이론 중 장소성 발현을 위한 세 가지 근거-유형적 특성, 지형해부적 특성, 형태적 특성-를 단서로 하여 한국건축의 다양화, 다원화시기로 불리는 1990년대 이후의 한국현대박물관 건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연구대상으로 한 건축 작품 대개에서 장소성 발현의 근거가 되는 세 가지 특성을 찾아 볼 수 있었으며, 또한 이들의 그 표현 유형은 작가의 주관적 의지에 따라 순응화, 추상화, 구조화, 자기장소화로서 각기 다르고, 또한 복합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포스트모던의 시대에 한국건축이 나타내려 하는 많은 표현의사 중에서 한국이라는 시간성-역사성과 공간성-장소성의 인식이 있음을 발견하고, 그 근거를 Christian Norberg Sshultz의 '장소성'에서 찾아 이를 한국의 현대박물관건축을 바 丄보는 하나의 지표로 삼음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로 * 한국현대박물관건축의 현재적 상황을 알아봄으로써 한국건축의 위상정립에 본 연구의 의의를 찾고자 한다.
  • 이로 * 한국현대박물관건축의 현재적 상황을 알아봄으로써 한국건축의 위상정립에 본 연구의 의의를 찾고자 한다.
  • 한국건축이 주로 근대 서구건축의 이념과 구성이론을 기반으로 전개되어 왔으나, 또한 한국이라는 토양을 무시할 수도 없는 상황에서 '장소성'의 도입은 거의 필연일 것으로 본이다. 이제 본 연구는 위세 개의 기초를 한국건축을 가늠하는 준거의 틀로 삼아 한국현대박물관 건축의 본질건축, 실존건축으로서의 그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대한 언어이다.13)장소를 구성하는 것은 그 장소의 지형 해부적, 형태적 구조들이며, 특히 장소성을 표현하기위해 이러한 구조들은 '유형적 형상들'안에서 표상되어야 한다. 산재되어 있는 여러 구성요소들을 일원적 모양으로 조합함으로 인해 존재의 세계를 엮어내는 것이다.
  • 장소성 표현 유형을 구분하는 것은 건축이 그 개념에서부터 결과물로서의 조형으로 나타나기까지장소성 구현의 논리적 근거와 타당성이 중요한 바탕이 되기 때문이다. 15) 어떤 장소에 대한 해석은 작가마다 다를 것이며, 이는 건축디자인 행위과정의 자의적 해석의 한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장소성 표현에 있어 대지의 특질을 드러내기 위한 작가의 표현유형은 대체로 -순응화, 추상화, 구조화, 자기장소화- 4가지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mos Ih Tiao Chang, 윤장섭 역, 건축공간과 노자사상, 기문당, 1984 

  2. Christian Norberg Schultz, 민경호 외 역, 장소의 혼, 태림문화사, 1996 

  3. Christian Norberg Schultz, 진경돈 . 이정국 역, 건축의 의미와 장소성, 미건사, 1994 

  4. Matin Heidegger, 건립. 거주. 사유, 이상건축, 9707 

  5. Martin Heidegger, Poetry, Language, Thought, 1985 

  6. Merleau-Ponty, 오병남 역, 현상학과 예술, 서광사, 1983 

  7. Rodney Douglas Parker, 이상현역, 예술과 장소 건축과 예술 작품에 대한 존재론적 고찰,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39, 1995 

  8. 강인보, Christian Norberg-Schultz 의 현상학적 건축이론에 근거한 실 존적 의미와 그 특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9. 김경재, 한국현대건축에 표현된 한국성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7호(12), 1998 

  10. 김광현, Merleau-Ponty 의 현상학으로 조명한 한국전통건축의 공간론 적 장소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건축학과 석사학위논문, 1977 

  11. 김기주, 동양미술에 있어서의 공간개념 고찰,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1972 

  12. 남정훈 . 이호진, 현대건축에 있어서 장소성 표현의 유형화에 관한 연 구,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제 20권2호, 2000 

  13. 박길용, 한국의 현대건축과 포스트모더니즘, 한국학연구, 제 5집. 1993 

  14. 박항섭, 윤도근, 한국현대건축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7호(12), 1998 

  15. 변태호, 시적 거주와 세계내 존재의 언어기호적 치환, 건축역사연구, 통권 12호, 1997 

  16. 변태호, 전통의 현대적 계승과 장소의 신화, 건축역사 연구, 통권 11호, 1997 

  17. 서상우, 한국의 박묻관 . 미술관, 기문당, 1995 

  18. 우수영, 현대건축공간에 표현된 장소성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1990 

  19. 조영배, 풍수의 국면과 설존공간이 갖는 공간적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5호 . 2000 

  20. 과거와 현재의 만남. 박물관 건축, 이상건축, 04, 1996 

  21. 독도박물관, 공간, 09, 1997 

  22. 잃어버린 흔적 . 되찾은 흔적 , 건축과 환경, 04, 1999 

  23. 장세양, 국립김해박물관, 공간, 09, 1998 

  24. 제암리 3.1운동 순국유적지 기념관, 건축문화, 07, 1998 

  25. 청도농기구박물관, 공간, 04, 1994 

  26. 홍릉산림과학관, 건축과환경, 11, 1999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