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반도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림에 대한 군락분류
Study of Community Classification Camellia japonica Forest in the Korean Peninsula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5 no.5 = no.72, 2005년, pp.767 - 771  

진영규 (창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김인택 (창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1999년 5월부터 2003년 2월까지 현지조사 또는 문헌조사에 의하여 한반도 동백나무 분포대에서 263개의 방형구를 설정하였다. 이를 기초로 하여 식생단위를 추출하기 위해서 종조성표와 종합상재도표(Table 1)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한반도의 상록활엽수림은 동백나무를 중심으로 9개의 군집(群集)을 설정할 수 있다. 즉 동백나무전형군집, 동백나무-후박나무군집, 동백나무-곰솔군집, 동백나무-구실잣밤나무군집, 동백나무-까마귀쪽나무군집, 동백나무-모밀잣밤나무군집, 동백나무-붉가시나무군집, 동백나무-참식나무군집, 동백나무-생달나무군집으로 정의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amellia japonica veget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was investigated by the methology of the Z-M school. The synthesis table of Camellion japonicae were arranged for association classification from 263 quadrats. The vegetation of Camellia japonica forest, classfied as an alliance includes nin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군집은 군락 분류군의 계급체계에서 가장 기본적인 계급이다. 이에 본 연 구는 동백나무를 중심으로 한반도 상록활엽수림의 군집분류 를 체계화시켰고, 각 군집의 특성을 밝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pp. 17-57, SpringerVerlag 3rd eds., Vienna. New York. 865 p 

  2. Choi. K. C. 1990. Basic Ecology. pp. 106-108. Haungmoonsa. Korea 

  3. Jeon. Y. M. 2001. Phytosociological Studies on the Pine (Pinus densiflora) Forest in Korea. Ph. D. Thesis, Konkuk University. 171p 

  4. KiI, B. S. and Kim, J. U. 1999. Syntaxonomy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Korea. Korean J. Environ. BioI. 17(3), 233-247 

  5. Kim, J. T., Lee, J. H. and Jin, Y. G. 2000. The Vegetation of Maemul Somaemul and Eoyu-do Islets. Korean J. Ecology 23, 217-222 

  6. Kim, J. H. 1987. Phytosociological study on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of Korean Peninsula. Ph. D. Thesis, Konkuk University. 115p 

  7. Lee, T. B. 1979. Illustrated Flora of Korea. pp. 15-990. Hyangmoonsa, Seoul 

  8. Lee, W. T. 1996.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 of Korea plants. pp. 250-1680. Academy Book. Seoul 

  9. Lee, Y. N. 1995. Flora of Korea. pp. 100-1230, Kyohaksa, Seoul 

  10. Marret E. van der. 1979. Transformation of cover-abundance values in phytosociology and its effects on community similarity. Vegetatio 39, 97-114 

  11. Mueller-Dombois, D. and H. Ellenberg. 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547p 

  12. Oh, J. K. 1995. Comparative studies on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of Dadohae National Marine Park in Korea and Nagasakigen in Japan. Ph. D. Thesis, Mokpo University. 180p 

  13. Park, S. H. 1995. Colored Illustration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pp. 10-371. Ilchokak Publishing Compon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