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허브추출물의 항균 작용
Antimicrobial Activity of Herb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4 no.8, 2005년, pp.1130 - 1135  

유미영 (한국화학연구원 생명의약연구부) ,  정윤주 (부경대학교 수상과학대학 식품생명공학부) ,  양지영 (부경대학교 수산과학대학 식품생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아로마테라피에도 널리 이용되는 라벤더, 패츌리, 로즈마리, 유칼립투스 등의 허브를 이용하여 식품의 천연보존제로서의 항균활성의 특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프랑스산 로즈마리추출물의 경우 C, albicans ATCC 10231에 대한 MIC는 29.1 mg/mL로 나타났으며 B. subtilis ATCC 6613과 E. coli ATCC 25922에 대한 MIC는 14.5 mg/mL로 나타났다. 프랑스산 로즈마리와 미국산 라벤더의 추출물은 40에서 121$^{\circ}C$ 범위에서 열 안정성을 나타냈으며 pH 안정성 실험에서는 중성에 좋은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액체 배양시 프랑스산 로즈마리와 미국산 라벤더의 추출액을 첨가하여 피검균의 생육억제 실험을 행한 결과 액체배지 20mL에 대해 2.9mg의 허브추출물을 첨가한 경우에 생육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four herb extracts from lavender, patchouli, rosemary and eucalyptus possibly used as food preservatives.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of France rosemary extracts was 29.1 mg/mL against C. albicans ATCC 10231 and 14.5 mg/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품 보전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여러 허브 추출물의 항균 작용을 조사하였다. 대표적인 식품향료이며 아로마테라피에도 널리 이용되는 허브식물인 라벤더(lavender), 패츌리 (patchouli), 로즈마리(rosemary) 그리고 유칼립투스(eucalyptus) 등의 허브 오일을 이용하여 항균 활성을 알아보고 그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Lee KH, Lee SS. 1998. The Illustrated Book of New Vegetable. 1 st ed. Herbworld Press, Seoul. p 239-258 

  2. Circle study of cooking in Korea. 1997. Herb and salad. 1st ed. Hyungseol Publisher Co, Seoul. p 12-21 

  3. Cho TD. 1998. Herb. 1st ed. Deawon Publishing Co, Seoul. p 62-65 

  4. Chung HY. 1997. Screening of herb extracts containing the scavenging activity of superoxide anion produced by xanthine oxidase. PhD Dissertation.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Ansung. p 123-127 

  5. Boxer A, Back P. 1980. The herb book. 1st ed. Chancellor Press, London. p 57-68 

  6. Clevaly A, Richmond K. 1995. The complete book of herbs. 2nd ed. Smithmark Publishing Inc, New York. p 1-52 

  7. Bremness L. 1988. The complete book of herbs. A practical guide to growing and using herbs. 1st ed. Viking Studio Book, New York. p 238-242 

  8. Chapman A. 1992. Country kitchen herbs. 1st ed. Weldon Publishing Inc, Willoughby. p 6-7 

  9. Ody P. 1995. Home herbal. 1st ed. Darling Kindersley Publishing Inc, New York. p 29-47 

  10. Choi YJ. 2000. Herb Iife. 1st ed. Yega Publishering Co, Seoul. p 177-204 

  11. Bouseta A, Scheirman V, Collin S. 1996. Flavor and free amino acid composition of lavender and eucalyptus honey. J Food Sci 61: 683-694 

  12. Amr A. 1995. Antioxidative role of some aromatic herbs in refrigerated ground beef patties. Pure Applied Sci 22: 1475-1487 

  13. Jung DH. 2001. Control offood microorganism. 1st ed. Daekwang Publishering Co, Seoul. p 35-312 

  14. Editors of food and development publisher. 2005. Trends in the market for preservatives. Food and Development 40: 51-56 

  15. McSwane D, Rue N, Linton R. 2000. Essential offood safety and sanitation. Prentice-Hall, Upper Saddle River, NJ. p 45-76 

  16. Cho YH, Park HS, Choi MK, Chiang MH. 2001. Anti-microbial activities of Korean herb plants. Kor J Hort Sci & Supplement 19: 80 

  17. Offord EA, Mace K, Avanti OM, Pfeifer AMA. 1997. Mechanisms involved in the chemoprotective effects of rosemary extract studied in human liver and bronchial cells. Cancer Letters 114: 275-281 

  18. Sagdie O, Ozen M. 2003. Antibacterial acitity of Turkish spice hydrosols, Food Control 14: 141-143 

  19. Seo KI, Park SK, Park JR, Kim HC, Choi JS, Shim KH. 1996. Changes in antimicrobial activity of hydrolyzate from mustard seed (Brassica juncea). J Korean Soc Food Nutr 25: 129-134 

  20. Kang SK, Sung NK, Kim YD, Shin SC, Seo JS, Choi KS, Park SK. 1994.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leaf mustard (Brassica juncea) extract. J Korean Soc Food Nutr 23: 1008-1013 

  21. Chung SK, Jung JD, Cho SH. 1999.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hopi (Zanthoxylum piperitum DC.)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371-377 

  22. Lee KS, Kim MG, Lee KY. 2004. Antimicrobial effect of the extracts of cactus Chounnyouncho (Opuntia hurnifusa) against food borne pathoge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268-1272 

  23. Choi OJ, Rhee HJ, Choi KH. 2005. Antimicrobial activity of Korean wild tea extract according to the degree of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48-157 

  24. Tabak M, Armom R, Potasman I, Neeman I. 1996. In vitro inhibition of Helicobacter pylori by extracts of thyme. J Appl Bacteriol 80: 667-672 

  25. Han YS. 2005. Antimicrobial effects of Camellia japonica L. leaves extract on food-borne pathogenic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113-1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