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쑥 추출물의 포도상구균과 질 유산균에 대한 선택적 저해효과
Differential Inhibitory Effect of Artemisia Extract between Staphylococcus aureus and vaginal Lactobacillus spp 원문보기

한국생물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v.20 no.3 = no.92, 2005년, pp.228 - 232  

정현수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생물공학과) ,  차민경 (건국대학교 섬유공학과) ,  권윤정 (건국대학교 섬유공학과) ,  소재성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민속약이나 한방의 약재로 널리 사용되어 온 참쑥 (Artemisia mongolica fishcher)으로부터 추출한 쑥 추출물이 포도상구균 (Staphylococcu aurues)과 유산균 (Lactobacillus spp.)에 대해 선택적 저해 효과를 갖는지 조사하였다. 우선 항균 활성 실험을 통해 포도상구균을 저해하는 우수한 항균력을 가진 유산균 7균주를 선별하였다. 그리고 쑥을 추출한 용매의 종류, 농도 그리고 추출시간을 달리하여 쑥 추출물의 최적 농도 조건을 결정하였다. 생존율을 측정하기 위해 배양액에 각각 3일 동안 용매 $100\%$ (아세톤, 에탄올, 메탄올)로 추출한 쑥 추출물을 $17\%$ 첨가하였고, 이때 항균 활성 있는 유산균 KLB 224은 배양 48시간까지 생존하였다. 그러나 포도상구균은 동일한 조건에서 모두 사멸되었다. 또한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을 통해 쑥 추출물이 세포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포도상구균은 세포 형태가 심하게 손상되었지만 유산균은 저해를 받지 않고 세포형태를 유지함을 관찰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rtemisia mongolica fischer extract was examined for its possible differential inhibitory activity against pathogenic bacteria including Staphylococcus aureus and Lactobacillus spp. isolated from women's vagina. First, seven lactobacillus spp.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in vitro hi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민속약이나 한방의 약재로 널리 사용되어 온 참쑥 (Artemisia mongolica"s/zc/zer)으로부터추출한 쑥 주출물이 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s)과 유산균 (Lactobacillus spp.)에 대해 선택적 저해 효과를 갖는지 조사하였다. 우선 항균 활성 실험을 통해 포도상구균을 저해하는 우수한 항균력을 가진 유산균 7균주를 선별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포도상 구균을 억제하는 항균 활성 유산 균을 선별하고, 쑥 추출물의 최적 농도 조건 결정하여 생균 수 측정 및 세포 형태 관찰을 통해 쑥 추출물이 항균 활성 유산균과 포도상구균에 선택적 저해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Han, D. R. and I. H. Kim (1973), Studies on the Volatile Oil Constituents in Artemisia sp. Isolation and Determination of Camphor by Gas Chromatography, The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4, 71 

  2. Jung, P. G. (1990), Herbal medicine, pp799-808, Hongshin publishing Co., Seoul 

  3. Baik, C. E. and K. H. Song (2003), A study on natural dyeing using artemisia by season,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5(3), 7-14 

  4. Lee, J. S. (1996), Studies on the antimicrobial effect on Mugwort (Artemisia asictica nakai) Leaves, M. 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Seoul 

  5. Wink, M. and Twardowski, T. (1992), Allelochemicals properties of alkaloids. Effects on plants, bacteria and protein biosynthesis, In Allelopathy (ed. S. J. H. Rizvi and V. Rizvi), Chapman & Hall, p129-150 

  6. Dixshit, A., A, K. Smgh, R. D. Tnapthi, and S. N. Dxit (1979), Fungitoxic and phytotoxic studies of some essential oils, Biol. Bull. India. 1(1), 45-51 

  7. Cammae, B. P. A., Debolle, M. F. C., Terras, F. R. G., Proostost, P., Damme. J. V., Rees, S. B., Vanderleyden, J., and Brekaert. W. F. (1992), Isolate and chracterization of anovel class of plant antimicrobial peptides from Mirabilos jalapa seeds. J. Biol. Chem. 267, 2228-2223 

  8. Francis A, Waldvogel (1995), Staphylococcus aurues (including toxic shock syndrome), In: Mandell Douglas and Bennetts Principles and Infections Diseases, Churchill Livingstone 4th ed., p1754-1755 

  9. Han, S. J., P. M. Jung, H. G. Kim, E. H. Hwang, and I. W. Seong. (1999), Multiple intestinal ulcerations and perforations and perforations secondary to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ues enteritis inb infants. J. Pediatr. Surg. 34, 381-386 

  10. Hiramatsu, K., H. Hanaki, T. Ino, K. Yabuta, T. Oguri, and F. C. Tenover (1997),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ues clinical strain with reduced vancomycin susceptibility, J. Antimicrob. Chemother. 40, 135-136 

  11. Chung H. J. (2000),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Opuntiaficus indica var. saboten, Kor. J. Soc. Food. Sci. 16(2), 164-169 

  12. Park S. K., J. R. Park, S. W. Lee, K. I. Seo, S. K. Kang, and K. H. Shim (1995), Antimicrobial activity and heat stability of water-pretreated extract of leaf mustard dolsan (Brassica juncea), J. Kor. Soc. Food. Nutr. 24(5), 710-715 

  13. Jeon Y. O., K. H. Kim, S. I. Kim, and Y. S. Han (1998),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plantain (Plantago asiatica L.) extract, Kor. J. Soc Food. Sci. 14(5), 39-45 

  14. Kang S. K. (1995), Isola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antimicrobial substance obtained from leaf mustard (Brassica juncea), Kor. J. Food. Sci. Technol. 24(5), 697-698 

  15. Bae, J. H. (2003), Effect of Artemisia Capillaris Extract on the Growth of Food-Borne Pathogens,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36(2), 147-153 

  16. Aroutcheva, A., D. Gartiti, M. Simon, S. Shott, J. Faro, and J. A. Simoes (2001), Defense factors of vaginal Lactobacilli, Am. J. Obstet. Gynecol. 185, 375-9 

  17. Thomas, S. (1928), Doderlein's bacillus : Lactobacillus aciophilus, J. Infect. Dis. 43, 218-27 

  18. Hillier, S. L., M. A. Krohn, L. K. Rage, S. A. Klebanoff, and D. A. Eschenbach (1993), The normal vaginal flora, $H_{2}O_{2}$ -producing lactobacilli, and bacterial vaginosis in pregnant women, Cli. Infect. Dis. 15(suppl 4), S273-81 

  19. Eschenbach, D. A., P. R. Davik, B. L. Williams, S. J. Klebanoff, K. Young-Smith, C. M. Critchlow, and K. K. Holmes (1989), Prevalence of hydrogen peroxide-producing Lactobacillus species in normal women and women with bacterial vaginosis, J. Clin. Microbiol. 27, 251 

  20. Barbes, C., Boris, S. (1999), Potential role of lactobacilli as prophylactic agents against genital pathogens, AIDS Patient Care STDS 13(12), 747-51 

  21. Choi, M. J. (2004), Regulation of a cold shock protein(csp) gene by external stresses in Bifidobacterium breve KLB 69, M. S. Thesis, The Inha University, Seoul 

  22. Kwon, D. J., J. H. Park, M. Kwon, J. Y. Yoo, and Y. J. Koo (1997), Optimal extracting condition of growth-inhibitory component of wormwood (Artemisia princeps) against Clostridium perfringens, Agricultural Chemistry and Biotechonology 40(4), 267-270 

  23. Gwenael Jan, Pauline Leverrier, Vianney Pichereau, and Patrick Boyaval (2001), Changes in protein synthesis and morphology during acid adaptation of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67(5), 2029-2036 

  24. Lee, H. O., K. Y. Han, and D. M. Hand (1999),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effect by Artemisia lavandulaefolia Essential oil, Food & Nutr. 12(6), 559-563 

  25. Kwon, D. J., J. H. Park, M. Kwon, J. Y. Yoo, and Y. J. Koo (1999), Effect of wormwood ethanol extract on human intestinal microorganism,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7(2), 102-106 

  26. Han, B. J., S. H. Lee, H. K. Shin. (1994), Effect, of edible herbs on the growth of in vitro intestinal microorganisms,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27, 701 

  27. Holmes, K. K. (1999), Bacterial vaginosis and women and babies, Int. J. Gynaecol. Obstet. 67 Suppl 1, S9-11 

  28. Hillier, S. and K. K. Holmes (1990), Bacterial vaginosis. In : K. K. Holmes, Mrdh P-A, P. F. Sparling, P. J. Wiesner, eds,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2nd ed. New York : McGraw-Hill, 547-59 

  29. Hillier, S. L., C. Lipinski, A. M. Briselden, and D. A. Eschenbach (1993), Efficacy of intra vaginal 0.75% metronidazole gel for the treatment of bacterial vaginosis, Obstet Gynecol. 81(6), 96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