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소오염지하수의 현장처리기술동향: 리뷰
Treatment Technologies for Arsenic Removal from Groundwater: review paper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38 no.5, 2005년, pp.599 - 606  

방선백 (광주과학기술원 환경공학과 지질환경 비소제어 연구실) ,  최은영 (광주과학기술원 환경공학과 지질환경 비소제어 연구실) ,  김경웅 (광주과학기술원 환경공학과 지질환경 비소제어 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나라의 지하수에 용존 되어있는 비소는 매우 독성이 강한 오염물질이다. 이로 인해서 지하수에 있는 비소를 제거하기 위한 수많은 처리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미국 환경청에서는 비소를 처리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기술로써 여러 가지의 기술들을 추천하고 있다. 미국 환경청의 분류를 기준으로 비소처리기술은 침전, 멤브레인, 이온교환 및 흡착의 네 가지 처리기술로 나눌 수 있다. 미국에서 최근 $50{\mu}g/L$에서 $10{\mu}g/L$로의 비소 음용수 기준의 개정은 비소오염지하수에 있는 비소를 제거하기 위한 기술의 선택과 적용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침전기술은 비소처리를 위해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기술로 대규모 수처리 설비로 비소를 처리하는데 적용할 수 있는 있지만, 멤브레인, 이온교환 및 흡착기술은 소규모 수처리 시설에 사용된다 최근에 미국과 유럽에서는 설치비와 유지비가 적고 운전이 간편한 흡착기술을 이용한 소규모 비소처리 시설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추세이다 비소로 오염된 지하수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기술들의 원리와 비소제거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및 실제 처리시설들의 비소처리효율을 본 논문에서 소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rsenic is a significantly toxic contaminant in groundwater in many countries. Numerous treatment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to remove arsenic from groundwater. The USEPA recommends several technologies as the best available technology (BAT) candidates for the removal of arsenic. Based on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비소오염지하수의 현장처리기술 로는 크게 침전, 멤브레인, 이온교환, 흡착의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각각의 처리기술들에 대한 세부적인 처리기술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 비소로 오염된 지하수를 처리하기 위한 흡착제로는 상용화되어 있는 활성알루미나(activated alumina, AA), 과립철수산화물(granular ferric hydroxide, GFH), 과립이산화티타늄(granular titanium dioxide, GTD) 뿐만 아니라 비소제거를 위한 새로운 흡착제인 철코팅모래(iron coated sand), 제올 라이트(zeolite) 등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용화되어 있는 3가지의 흡착제에 대해서 다루어 보고자 한다.
  • 비소오염지하수를 처리하기 위한 침전, 멤브레인, 이온교환 및 흡착 처리기술들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침전처리기술은 대규모 처리시설에서 비소오염하수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였으며, 지하수에서의 철농도가 높을수록 비소처리효율이 증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ng, S., Patel, M., Lippincott, L. and Meng. X. (2005) Removal of arsenic from groundwater by granular-titanium dioxide adsorbent. Chemosphere, v. 60. p. 389-397 

  2. Clifford, D.A. and Lin C.C. (1991) Arsenic(III) and arsenic(V) removal from drinking water in San Ysaidro, New Mexico. EPA/600/S2-90/011, Cincinnati, p. 1-7 

  3. Driehaus, W., Jekel, M. and Hildebrandt, U. (1998) Granular ferric hydroxide -a new adsorbent for the removal of arsenic from natural water. J. Water Supply Res. Technol.-Aqua, v. 47, n. 1, p. 30-35 

  4. Driehaus, W. (2002) Arsenic removal - experience with the $GEH^{\circledR}$ process in Germany. Water Sci. Technol.: Water Supply, v. 2, n. 2, p. 275-280 

  5. Edwards, M. (1994) Chemistry of arsenicremoval during coagulation and Fe-Mn oxidation. J. Am. Water Works Assoc, v. 86, n. 9, p. 64-78 

  6. Gulledge J.H. and O'Connor, J.T. (1973) Removal of arsenic(V) from water by adsorption on aluminum and ferric hydroxides. J. Am. Water Works Assoc., v. 65, n. 8, p. 548-552 

  7. Hongshao, Z. and Stanforth, R. (2001) Competitive adsorption of phosphate and arsenate on goethite. Environ. Sci. Technol., v. 35, p. 4753-4757 

  8. Kang, M., Kawasaki, M., Tamada, S., Kamei, T. and Magara, Y. (2000) Effect of pH on the removal of arsenic and antimony using reverse osmosis membranes. Desalination, v. 131, p. 293-298 

  9. Lepkowski, W. (1999) Arsenic crisis spurs scientists. Chemical Engineering News, v. 77, n. 20, p. 45-49 

  10. McNeill L.S. and Edwards, M. (1995) Soluble arsenic removal at water treatment plants. J. Am. Water Works Assoc, v. 87, n. 4, p. 105-113 

  11. Meng, X., Bang, S. and Korfiatis, G.P. (2000) Effects of silicate, sulfate, and carbonate on arsenic removal by ferric chloride. Water Res., v. 34, p. 1255-1261 

  12. Meng, X., Korfiatis, G.P., Bang, S. and Bang, K. (2002) Combined effects of anions on arsenicremoval by iron ydroxides. Toxicol. Lett., v. 133, p. 103-111 

  13. Meng, X., Dadachov, M., Korfiatis, G.P. and Christodou-latos, C. (2003) Methods of preparing a surface-activated titanium oxide product and of using same in water treatment processes. US Patent Application Number 20030155302 

  14. Lin, T. and Wu, J. (2001) Adsorption of arsenite and arsenate within activated alumina grains: equilibrium and kinetics. Water Res., v. 35, p. 2049-2057 

  15. Scott, K.N., Green, J.F., Do, H.D. and McLean S.J. (1995) Arsenic removal by coagulation. J. Am Water Works Assoc., v. 87, n. 4, p. 114-126 

  16. Singh, T.S. and Pant, K.K. (2004) Equilibrium, kinetics and thermodynamic studies for adsorption of As(III) on activated alumina. Sep. Purif. Technol., v. 36, p. 139-147 

  17. Smedley, P.L. and Kinniburgh, D.G. (2002) A review of the source, behaviour and distributionof arsenic in natural waters. Appl. Geochem., v. 17, p. 517-568 

  18. Solley, W.B., Pierce, R.R. and Perlman, H.A. (1998) Estimated use of water in the United States in 1995. U.S. Geological survey circular 1200, Denver 

  19. Song, T.J. and Logsdon, G.S. (1978) Treatment technology to meet the interim primary drinking water regulations for inorganics, Part 2. J. Am. Water Works Assoc, v. 70, n. 7, p. 379-393 

  20. USEPA (2000a) Technologies and costs for removal of arsenic from drinking water. EPA/815/R-00/028, Washington D.C., p. 2-22 - 2-27 

  21. USEPA (2000b) Arsenic removal from drinking water by coagulation/filtration and lime softening plants. EPA/ 600/R-00/063, Washington D.C., p. 17-50 

  22. USEPA (2000c) Arsenic removal from drinking water by iron removal plants. EPA/600/R-00/086, Washington D.C., p. 28-38 

  23. USEPA (2000d) Arsenic removal from drinking water by ion exchange and activated alumina plants. EPA/600/ R-00/088, Washington D.C., p. 19-39 

  24. USEPA (2002) Arsenic treatment technologies for soil, waste, and water. EPA/542/R-02/004, Washington D.C., p. 9-1 - 13-5 

  25. Wang, J.P., Qi, L., Moore, M.R. and Ng, J.C. (2002) A review of animal models for the study of arsenic carcinogenesis. Toxicol. Lett., v. 133, p. 17-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