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용식물자원으로부터 활성물질의 탐색-XIV. 사자발쑥(Artemisia herba)의 전초로부터 flavonoid 화합물의 분리
Development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Edible Plant Sources XIV.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lavonoids from the Aerial Parts of Sajabalssuk (Artemisia herba) 원문보기

한국응용생명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48 no.4, 2005년, pp.418 - 420  

방면호 (강화군농업기술센터 특화작목연구소) ,  김동현 (경희대학교 생명공학원 및 식물대사연구센터) ,  유종수 (경희대학교 생명공학원 및 식물대사연구센터) ,  이대영 (경희대학교 생명공학원 및 식물대사연구센터) ,  송명종 (경희대학교 생명공학원 및 식물대사연구센터) ,  양혜정 (경희대학교 생명공학원 및 식물대사연구센터) ,  정태숙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지질대사연구실) ,  이경태 (경희대학교 약학대학 약품생화학교실) ,  최명숙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해곤 (강화군농업기술센터 특화작목연구소) ,  백남인 (경희대학교 생명공학원 및 식물대사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사자발쑥의 전초를 80% MeOH 용액으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EtOAc, n-BuOH 및 물로 분배, 추출하였다. 이 중 EtOAc 분획을 silica gel과 octadecylsilica gel(ODS)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4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각 화합물의 화학구조NMR, MSIR 등의 스펙트럼 데이터를 해석하여, eupatilin (1), jaceosidin (2), apigenin (3) 및 eupafolin (4)으로 동정하였다. 이들 중 eupatilin과 jaceosidin은 사자발쑥에서 분리, 보고 된 바 있으나 eupafolin과 apigenin은 처음 분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search for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edible plant sources, the aerial parts of Sajabalssuk (Artemisia herba) were extracted with 80% aqueous MeOH, and the concentrated extract was partitioned with EtOAc, n-BuOH and $H_2O$, successively. From the EtOAc fraction, four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보고되어 있을 뿐이다. 본 연구에서 사자발쑥의 활성연구에 선행하여 본 식물의 식물화학 적 성분연구의 결과로 4종의 flavonoid 화합물을 분리, 동정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Lee, T. B. (2003) In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 Mun Sa, Seoul, Korea 

  2. Cho, Y. H. and Chiang, M. H. (2001) Essential oil composi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Artemisia capillaris, Artemisia argyi, and Artemisia princeps. Kor. J. Intl. Agri. 13, 313-320 

  3. Ryu, S. N., Kang, S. S., Kim, J. S. and Ku, B. I. (2004) Quantitative analysis of eupatilin and jaceosidin in Artemisia herba. Korean J. Crop Sci. 49, 452-45 

  4. Jin, Y. Z., Han, S. K. and Row, K. H. (2005) Extraction and purification of eupatilin from Artemisia princeps PAMPAN. J. Kor. Chem. Soc. 49, 196-200 

  5. Ryu, S. Y., Kim, J. O. and Choi, S. U. (1997) Cytotoxic components of Artemisia princeps. Planta Med. 63, 384-385 

  6. Miyazawa, M. and Hisama, M. (2003) Antimutagenic activity of flavonoids from Chrysanthemum morifolium. Biosci. Biotechnol. Biochem. 67, 2091-2099 

  7. Aguinaldo, A. M., Padolina, W. G, Abe, F. and Yamauchi, T. (2003) Flavonoids from Mikania cordata. Biochem. Sys. Ecol. 31, 665-668 

  8. Imre, S., Oztunc, A und Wagner, H. (1977) Flavone und anthrachinone aus den blattern von Digetalis schischkinii: Phytochem. 16, 799-800 

  9. Wei, X., Huang, H., Wu, P., Cao, H. and Ye, W. (2004) Phenolic constituents from Mikania micrantha. Biochem. Sys. Ecol. 32, 1091-1096 

  10. Flamini, G., Antognoli, E. and Morelli, I. (2001) Two flavonoids and other compounds from the aerial parts of Centaurea bracteata from Italy. Phytochem. 57, 559-564 

  11. Pelzer, L. E., Guardia, T., Juarez, A. O. and Guerreiro, E. (1998) Acute and chronic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lant flavonoids. II Farmaco. 53, 421-424 

  12. Zhong, Y. and Cui, S. (1992) Effective chemical constituents of Artemisia argyi Levl, et Vant for inhibition of platelet aggregation. Zhongguo Zhongyao Zazhi 17, 353-354 

  13. Miura, K., Kikuzaki, H. and Nakatani, N. (2002) Antioxidant activity of chemical components from sage (Salvia officinalis L.) and thyme (Thymus vulgaris L.) measured by the oil stability index method. J. Agric. Food Chem. 50, 1845-18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