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악 절치부-토크에 의한 치아 이동과 응력 분포에 관한 유한요소법적 연구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n the effect of maxillary incisor torque 원문보기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v.35 no.2 = no.109, 2005년, pp.137 - 147  

윤현주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교정과) ,  임용규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교정과) ,  이동렬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교정과) ,  조영수 (한양대학교 기계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상악 절치부에 active 토크가 가해졌을 경우, 교정력을 직접 받은 치아와 인접 치아의 반응을 알아보고자, 상악 치아 및 치조골의 유한요소 모델을 제작하고, stainless steel NiTi, TMA 세 종류의 각형 호선을 육면체 요소로 모델링하여 유한요소 모델을 완성하였다. 호선이 브라켓에 삽입되었을 때 브라켓에 발생하는 반력과 모멘트를 구하였고, 이것을 유한 요소 모델에 적용하여 각 치아의 변위와 응력 분포를 측정하였다 브라켓에 발생하는 반력은 근원심 방향과, 협설 방향으로의 힘은 0에 가까우며, 중절치, 측절치, 견치의 브라켓 근심측에서는 정출력이 원심측에서는 압하력이 발생하였다. 힘과 모멘트의 크기는 측절치에서 최대였고 중절치. 견치 순으로 감소하였고, 소구치 부위와 대구치 부위에서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중절치와 측절치는 치관 협측, 원심 경사 이동과 압하를 보였으며 견치는 치관 설측 원심 경사와 정출을 보였고. 제1소구치는 치관 설측 경사이동을 보였다. $019\times025SS$을 사용하여 상악 절치부에 토크를 부여하는 경우에는 측절치에 과도한 힘이 집중되므로, 임상에서 토크를 조절 할 경우에는 NiTi나 TMA 호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ess distribution in the periodontal tissue and the displacement of teeth when active torque was applied to the maxillary incisors by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consisted of the maxillary tee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렇게 호선을 6면체 요소로 모델링하는 경우, 큰비 선형성을 가지므로 해의 수렴이 보장되지 않으며, 반복계산에 의해 해를 구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난점을 가진다. 또 해의 수렴을 보장하기 위해 제반 수치적 인자들을 보정하며 결과를 검토해야 하는 어려움을 가지기 때문에 이전 연구에 있어서는 많은 시도가 없었으나, 현재 computer 환경과 수치 해석 프로그램이 우수해져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시행하였다.
  • 본 연구는 상악 전치부에 토크가 가해졌을 때 교정력을 직접 받은 치아와 인접치아의 반응을 알아 보기 위하여,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브라켓에 발생하는 반력과 모멘트를 구하고, 치 아의 변위와 치근막과 치조골에서의 응력 분포를 측정하였다.
  • 본 연구는 상악 중절치와 측절치가 설측 경사 되 어있는 경우, ideal arch 형태의 각형 호선을 삽입하여 active 토크가 가해질 때의 현상을 연구한 것이었으며, 이때의 치아 이동은 호선에 직접 토크를 부여한 이전 실험들과는 약간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절치와 견치 모두 치관 원심 경사를 보였으며, 중절치와 측절치에는 치관 협측 경사와 압하가, 견치와 소구치에는 반작용에 의해 치관 설측 경사와 정출이 일어났다.
  • 저자는 임상적으로 전치부 토크를 주기 위하여 이용되는 방법의 하나인, 각형 호선으로 형성된 상악 ideal arch의 전치부에 active 토크가 가해졌을 경우에 해당치아에 발생하는 모멘트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교정력을 직접 받은 치아와 인접치아의 이동양상과 치아 및 치조골에 발생하는 응력의 분포를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초기 반응의 결과로 이차적인 반응은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으나, 장기적인 치아 변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도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연구는 계산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대칭적인 구조물에 대하여 편측만을 해석하는 공학적인 개념에 근거하여 치열궁의 편측만을 모델링하였으며, 치근막은 실제로는 균일한 두께를 가지고 있지 않은데 이것을 균일한 두께로 가정하였고, 치아와 치조골을등방, 등질의 선형 탄성체로 가정한 점, 그리고 치근의 형태를 단순화 시킨 점 등의 한계를 지니고 있다. 앞으로 유한 요소 모델 제작시 이러한 점들을 더 보완한다면 좀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치아와 치근막은 등방 (isoparametric), 등질 (homogenous) 의 선형 탄성체라고 가정하였고, 치근막의 두께는 0.25 mm2章8로, 치밀골의 두께는 2 mm로 하였고, 치조골의 넓이는 중절치부터 제1 소구치까지는 치경부 11 mm, 치근부 8 mm로 하고 제2대구치 부위는 치경부 치근부 모두 12.5 mm로 하였으며, 그 중간은 비례적으로 변하게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Nanda R. Biomechanics in clinical orthodontics. Philadelphia: Saunders 1997 

  2. Rauch ED. Torque and its application to orthodontics. Am J Orthod 1959:817-30 

  3. Mackley RJ. An evaluation of smiles before and after orthodontic treatment. Angle Orthod 1993;63:183-9 

  4. Andreasen GF, Amborn RM. Alinging. leveling and torque controlpilot study. Angle Orthod 1989;59:51-60 

  5. Bennett JC. Finishing and detailing with a preadjusted appliance system. J Clin Orhod 1991;25:251-64 

  6. Kelly WC. Simultaneous en masse retraction of maxillary incisors with lingual root torque. J Clin Orthod 1971;4:200-12 

  7. Proffit WR. Contemporary orthodontics. 3rd edition, St Louis: CV Mosby; 2000;328-9 

  8. Parkhouse RC. Rectangular wire and third-order torque: a new perspective.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8;113:421-30 

  9. Creekmore TD. On torque. J Clin Orthod 1979;13:305-12 

  10. Meling TR, Odegaard J. On the variability of cross sectional dimensions and torsional properties of rectangular Ni-Ti arch wire.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8;113:546-57 

  11. Drake SR, Wayne DM, Powers JM, Asgar K. Mechanical properties of orthodontic wires in tension, bending and torsion. Am J Orthod 1982;82:206-10 

  12. 황치일, 서정훈. 상악호선에 torque 부여시 나타나는 상반작용에 관한 유한요소법적 연구. 대치교정지 1994;24:479 

  13. Meling E, Odegaard J, Meling TR. An evaluation of the torsional moments developed in orthodontic applications. In vitro study. Am J Orthod Dentofac Orthop 1994;105:392-400 

  14. 하도원, 김영석, 성재현. 교정용 각형선재에 부여된 torque가 브라켓에 발생시키는 모멘트에 관한 유한요소법적 분석. 대치교정지 2001;31:335-46 

  15. Mahler DB, Peyton FA. Photoelasticity as a research technique for analyzing stresses in dental structures. J Dent Res 1955;34:831-8 

  16. Andersen KL, Pedersen EH, Melsen B. Material parameters and stress profiles within the periodontal ligament.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1;99:427-40 

  17. 구남서 외 공역. 알기 쉬운 유한 요소 해석. 피어슨 에듀케이션 코리아 2001 

  18. Middleton J, Jones M, Wilson A. The role of the periodontal ligament in bone modeling: the initial development of a time-dependent finite element model.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6;109:155-62 

  19. Vasquez M, Calao E, Becerra F, Ossa J, Enriquez C, Fresneda E. Initial stress differences between sliding and sectional mechanics with an endosseous implant as anchorage: a 3-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Angle Orthod 2001;71:247-256 

  20. Tanne K, Sakuda M, Burstone CJ.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for stress in the periodontal tissue by orthodontic force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87;92:499-505 

  21. McGuinness N, Willson AN, Jones M, Middleton J, Robertson NR. Stresses induced by edgewise appliances in the periodontal ligament - a finite element study. Angle Orthod 1992;62:15-22 

  22. 이혜경, 정규림. 상악 6전치부의 후방견인사 저항중심의 수직적 위치에 관한 3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대치교정지 2001;31:425-38 

  23. 강정원, 차정석, 이진우. Intrusion arch wire activation시 상악 견치에 가해진 초기응력의 유한요소법을 통한 고찰. 대치교정지 1998;28:391-8 

  24. 민상홍, 윤영주, 김광원. Space closing loop에 의해 야기되는 상악 절치부 이동양상에 관한 역학적 연구. 대치교정지 1995;25:143-52 

  25. Wheeler RC. Dental anatomy, physiology and occlusion. 5th ed, Philadelphia: Saunders; 1974 

  26. Andrew LF. JCO interview on the straight wire appliance. J Clin Orthod 1990;26:493-508 

  27. Coolidge ED. The thickness of the human periodontal membrane. J Am Dent Assoc 1937;24:1260-70 

  28. Lindbe J, Karring T. Clinical periodontology. Copenhagen: Munksgaard, 1989;19-69 

  29. Kapila S, Angolkar PV, Duncanson MG Jr, Nanda RS. Evaluation of friction between edgewise stainless steel brackets and orthodontic wires of four alloys. Am J Orthod Dentofac Orthop 1990;98:117-26 

  30. Brodie AG. A discussion of torque force. Angle Orthod 1933;3:263-5 

  31. Schrody DW. A mechanical evaluation of buccal segment reaction to edgewise torque. Angle Orthod 1974;44:12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