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터넷 쇼핑몰에서 의류상품에 대한 착의경험 정보제공이 트래픽과 판매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rial-Experience Information on the Traffic and Sales Performance of Apparel Product Websites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29 no.11, 2005년, pp.1369 - 1380  

김태연 (고려대학교 가정학과) ,  이윤정 (고려대학교 가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uggests a strategy of providing apparel product information from the wearers' perspective on Internet shopping malls, as a way of compensating for the lack of opportunities to try on the actual product. On an actual Internet shopping mall that sells apparel product, the 'trial-experien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소매 사이트의 성과를 측정하는데 있어서는 구 매율이나 고객의 평균 구매액 등의 매출관련 척도를 고객 행태와 연관시켜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 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품에 대한 체험적 요소가 상품정보에 반영되어야 한다는 맥락에서, 이러한 정 보가 인터넷 쇼핑몰 평가의 객관적 지표가 되는 매출 성과와 트래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인터넷 쇼핑몰의 의류상품을 직 접 착용해 본 체험적 정보가 구매의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이를 실제로 소비자들에게 제공함으로 써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한계점을 저가 정책이나 고비용 마케팅 도구 등 저조한 수익성을 초래하는 전략이 아닌 소비자들이 가장 중요시 여기는 상품정보 제공에 대한 차별적인 전략을 통해 극복함으로써 소비자들에게는 효과적으로 접근하면서 장기적으로 고객 충성도와 수익이 향상되는 실천적 전략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피팅모델이 판매될 옷을 직접 입어본 후, 착장 상태에서의 사이즈, 전체적인 디자인의 느낌, 실루엣 등을 평가한 착의 경험 정보를 3차례 상품 출시에 걸쳐 실제 인터넷 상에 제공하는 현장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인터넷 쇼핑몰에서 마케팅 성과지표로 사용되는 트래픽 지수와 구매율, 매출, 고객 평균 구매액을 측정항목으로 사용하여 그 효과를 조사함으로써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의류상품의 특성과 인터넷 쇼핑몰 운영에 있어서의 제한적인 인력 및 비용 구조를 고려할 때, 상품 정보의 구체적 제시는 인터넷 소비자의 구매 의사결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오프라인의 시착 단계를 대체할 만한 전략적 수단으로서 직접 의류상품을 입어보고 난 후의 맞음새와 스타일, 디자인에 대한 느낌을 서술한 상품 정보, 즉, 착의 경험 정보, 를 소비자들에게 제공하는 방식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착의경험 정보'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실존하는 인터넷 쇼핑몰 상에서 현장실험을 실 시하여, 착의 경험 정보를 제시하였을 때와 제시하지 않았을 때의 트래픽과 판매성과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는 소비자 입장에서 접근하는 새로운 마케팅 패러다임의 일환으로서 상품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에서부터 신뢰감에 이르기까지 감성적 체험을 창출하는 전략의 창의적 실행이라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연구문제 1: 착의경험 정보가 조사 대상 상품의 트래픽(페이지 뷰, 방문자 수)과 판매성과(총매출액, 구매율, 고객 1인당 평균 구매액) 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 연구문제 2: 착의경험 정보가 제공된 조사 대상 상품의 트래픽과 판매성과가 전체 여성의류 카테고리의 트래픽 및 판매성과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살펴본다.
  • 한편, 의류/잡화, 가전/PC, 도서 등 상품군별 판촉행사는 각 메인페이지에서 독립적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조사 대상 브랜드의 경우, 2002년도와 2003년도 모두 별도의 판촉행사가 없었다. 이러한 가외변량을 철저하게 통제할 수 없다는 한계점에 대한 좀 더 객관적인 결과분석을 위해 측정 항목별로 가능한 여러 측면에서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즉, 위의 다섯 가지 측정값에 대하여 출시 시기별 증가율을 비교하면서, a) 전년도 동일시기의 동 브랜드 상품에 대한 트래픽 및 판매성과와 특히, b) 여성 의류 카테고리 내에서의 비중의 변화 및 c) 전년도 동일시기의 동 브랜드 상품의 여성 의류 카테고리 내 비중과의 비교 등을 함께 고려하여 보다 객관적인 자료 검토를 시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직접 입어보지 못해 알 수 없는 착장 상태나 의복의 실재감 표현과 같은 의류상품이 가진.한계점을 저가 정책이나 고비용 마케팅 도구 등 저조한 수익성을 초래하는 전략이 아닌 소비자들이 가장 중요시 여기는 상품정보 제공에 대한 차별적인 전략을 통해 극복함으로써 소비자들에게는 효과적으로 접근하면서 장기적으로 고객 충성도와 수익이 향상되는 실천적 전략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피팅모델이 판매될 옷을 직접 입어본 후, 착장 상태에서의 사이즈, 전체적인 디자인의 느낌, 실루엣 등을 평가한 착의 경험 정보를 3차례 상품 출시에 걸쳐 실제 인터넷 상에 제공하는 현장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인터넷 쇼핑몰에서 마케팅 성과지표로 사용되는 트래픽 지수와 구매율, 매출, 고객 평균 구매액을 측정항목으로 사용하여 그 효과를 조사함으로써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곽기연. (1999). B2B, B2C 웹사이트 평가요인에 관한 비교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도학. (1999). 소비자 관점에서와 인터넷 쇼핑몰 평가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김선숙. (2003). 인터넷 쇼핑몰 이용자의 의류상품 쇼핑행동유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4. 김소영. (2001). 인터넷 패션 쇼핑몰 선택 및 만족.불만족 요인.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김정욱, 정승렬, 이재정. (2000). 국내 순수 인터넷 기업평가에 관한 탐색적 연구. 경영과학, 17(3), 61-71 

  6. 김제홍, 주상호. (2003). 인터넷 비즈니스몰 평가 모델의 분석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논문지, 8(2), 135-144 

  7. 김현정. (2000). 인터넷을 통한 패션 상품 구매행동의 탐색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김희수. (2000) 인터넷 이용자의 패션 웹 사이트 이용실태와 정보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문재훈. (2001).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의류제품 관계마케팅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박은아. (2002). 국내 인터넷 쇼핑몰 분류 유형에 대한 웹 사이트 전략에 관한 연구- 3C-D-T 비즈니스 웹 사이트 평가 모델을 기반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배상승. (2000). 인터넷 쇼핑몰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 평가 및 기업의 고객관리 전략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양유영, 천종숙. (2000). 카탈로그 쇼핑, TV 홈쇼핑, 인터넷 쇼핑에서 제공하는 의류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한국의류학회지, 24(8), 1137-1145 

  13. 웹 메트릭을 통한 웹 사이트 성과의 측정. (2003, 3. 5). 한국 웹사이트평가개발원. 자료검색일 2003,8. 29, 자료출처 http://www.kwi.or.kr 

  14. 이은진. (1999). PC통신 및 인터넷 이용자의 통신판매를 통한 의류제품 구매성향. 한국의류학회지, 23(7), 1007-1018 

  15. 이희천. (2003). 인터넷 정보탐색 활용의도가 인터넷 쇼핑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장현기. (2001). 인터넷 쇼핑몰 사이트 유형별 평가요인.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조영주, 임숙자, 이승희. (2001).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의류제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5(7), 1247-1257 

  18. Cho, N. J., & Park, S. H. (2001). Development of electronic commerce user-consumer satisfaction index (ECUSI) for internet shopping. Industrial Management & Data Systems, 101(8), 400-405 

  19. Degeratu, A. M., Rangaswamy, A., & Wu, J. (2000). Consumer choice behavior in online and traditional supermarkets: The effect of brand name, price, and other search attributes.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Marketing, 24(8), 55-78 

  20. Kim, S. Y., & Lim, Y. J. (2001). Consumers' perceived importance of and satisfaction with internet shopping. Electronic Markets, 11(3), 148-154 

  21. Park, J. H., & Stoel, L. (2002). Apparel shopping on the internet: Information availability on US apparel merchant web site.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6(2), 158-176 

  22. Vijayasarathy, L. R. (2003). Shopping orientations, product types and internet shopping intentions. Electronic Markets, 13(1), 67-7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