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디 추출물의 신경세포 보호활성 및 항균활성
Protective Effect against Neuronal Cell an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Bacteria of Mulberry Fruit Extract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50 spec.1, 2005년, pp.220 - 223  

김현복 (농업과학기술원) ,  김선여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  이항영 (RNL생명과학(주)) ,  김선림 (작물과학원) ,  강석우 (농업과학기술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뽕잎과 더불어 기능성 및 천연색소 자원으로서 뽕나무의 열매인 오디가 새로운 작목으로 유망시 되고 있다. 농가의 소득향상은 물론 소비자의 관심과 수요에 부응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오디를 수확하여 신경세포 보호활성과 항균활성에 대한 오디 추출물의 효능을 평가함으로써 오디의 기능성 및 이용성을 증대시키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신경독성 물질 $H_2O_2$처리에 의해 유도되는 신경세포사에 대하여 오디 추출물 $10{\mu}g/ml$의 농도 처리시 $37\%$의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냈으며, Oxygen-glucose deprivation (OGD)에 의하여 유발된 뇌허혈 모델에서는 오디 C3G의 경우 농도 의존형으로 세포괴사를 막았다. 특히 cyanidin의 경우는 $10{\mu}g/ml$의 농도에서 $70\%$이상의 뇌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냈다. 2. 오디 추출물과 C3G의 항균활성을 검정한 결과, 청일뽕 오디의 MeOH 추출물의 항균 활성이 가장 높았으나, Salmonella typhimurium 의 경우 모든 처리군에서 $70\%$ 이상의 억제 활성을 나타냈다. 모든 처리군에서 $50{\mu}l$농도보다 $100{\mu}l$농도에서 균주의 억제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functional evaluation of mulberry fruits extracts, the protective effect on cerebral cell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were carried. $1\%$ HCl-MeOH extract showed $37\%$ cytoprotective effect on hydrogen peroxide, also C3G identified mulberry fruits and cyanidin show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뽕잎과 더불어 기능성 및 천연색소자원으로서 뽕나무의 열매인 오디가 새로운 작목으로 유망시되고 있다. 농가의 소득 향상은 물론 소비자의 관심과 수요에 부응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오디를 수확하여 신경세포 보호 활성과 항균 활성 에 대한 오디추출물의 효능을 평가함으로써 오디의 기능성 및 이용성을 증대시키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농가의 소득 향상은 물론 소비자의 관심과 수요에 부응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오디를 수확하여 신경세포 보호 활성과 항균 활성에 대한 오디추출물의 효능을 평가함으로써 오디의 기능성 및 이용성을 증대시키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Fuleki T. and F. 1. Francis. 1968. Quantitative methods for anthocyanins.3. Purification of cranberry anthocyanins. J ofFood Sci. 33 :266-274. 

  2. Hong W, C. Guohua, and LP. Ronald. 1997. Oxygen radical absorbingcapacity ofanthocyanins. J Agric. Food Chem 45: 304-309. 

  3. Kim, H. B. and S. L. Kim. 2003. Identification of C3G (cyaninid-3glucoside)from Mulberry Fruits and Quantification with differentVarieties. Korean J Seric. Sci. 45(2) : 90-95. 

  4. Kim, H. B. and S. L. Kim. 2004. Quantification and Varietal VariationofRutin in Mulberry Fruits. Korean J Seric. Sci. 46(1) : 1-5. 

  5. Kim, H. B., S. L. Kim, and S. W Kang. 2004. Varietal Analysis andQuantificaion of Amino Acid in Mulberry Fruits. Korean J Seric.Sci. 46(2) : 47-53. 

  6. Kim, H. B., S. L. Kim, and 1. Y. Moon. 2002. Quantification and VarietalVariation of Anthocyanin Pigment in Mulberry Fruits. KoreanJ Breed. 34(3) : 207-211. 

  7. Kim, H. B., S. L. Kim, 1. Y.Moon, and S. J. Chang. 2003 a. Quantificationand Varietal Variation of Free Sugars in Mulberry Fruits.Korean J Seric. Sci. 45(2) : 80-84. 

  8. Kim, H. B., S. L. Kim, G B. Sung, H. W Nam, S. J. Chang, and 1. Y.Moon. 2003 b. Quantification and Varietal Variation ofFatty Acidsin Mulberry Fruits. Korean J Seric. Sci. 45(2) : 75-79. 

  9. Kim, S. L., E. H. Kim, Y. K. Son, 1. C. Song, 1. 1. Hwang, and H. S.Hur. 1999. Identification of anthocyanin pigments in black waxycom kernels. Korean J Breed. 31(4) : 408-415. 

  10. Kim, S. Y., K. J. Park, and W C. Lee. 1998. Antiinflammatory andantioxidative effects of Morus spp. fruit extract. Korean J MedicinalCrop Sci. 6(3) : 204-209. 

  11. Kim, T. W, Y.B. Kwon, 1. H. Lee, 1. S. Yang, J. K. Youm, H. S. Lee,and 1. Y. Moon. 1996. A study on the antidiabetic effect of mulberryfruits. Korean J Seric Sci. 38 : 100-107. 

  12. Ko, K. C. 1994. Studies on productivity and utilization of mulberryfruits for change into new fruit tree crop - studies on high qualityand abundant fruiting and utilization of mulberry fruits (ox) - RDAreport(the 2nd continued). 

  13. Park, S. W, Y. S. Jung, and K. C. Ko. 1997. Quantitative analysis ofanthocyanins among mulberry cultivars and their phamacologicalsceening. J Kor. Soc. Hort. Sci. 38 : 722-724. 

  14. Pirrie, A. J. and M. G Mullims. 1976. Changes in anthocyanin andphenolics content of grape leaf and tissues treated with sucrose,nitrate and abscisic acid. Plant Physiol. 58 : 468-472. 

  15. Politzer, M. 1977. Experience in the medical treatment of progressivemyopia. Klin. Monatsbl. Augenheikd. 171 (4) : 616-619. 

  16. Rice-Evans, C., N. J. Miller, P. G. Bolwell, P. M. Bramley, and 1. B.Pridham. 1995. The relative antioxidant activities of plant derivedpolyphenolic flavonoids. Free Radical Res. 22 : 375-383. 

  17. Rice-Evans, C., N. 1. Miller, and G Paganda. 1996. Structrue-antioxidantactivity relationships of flavonoids and phenolic acids. FreeRadical Biol. Med. 20(7) : 933-956. 

  18. Scharrer, A. and M. Ober. 1981. Anthocyanosides in the treatment ofretinopathies. Klin. Monatsbl. Augenheikd. 178 (5) : 386-389. 

  19. Sichel, G, C. Corsaro, M. Scalia, A. 1. Di Bilio, and R. P. Bonomo.1991. In vitro scavenger activity of some flavonoids and melaninagainst O2', Free Radical Biol. Med. 11 : 1-8. 

  20. Tamura, H. and A. Yamagami. 1994. Antioxidative activity ofmonoacylatedanthocyanins isolated from muscat bailey a grape. J Agric.FoodChem. 42: 1612-1615. 

  21. Timberlake, C. F. and B. S. Henry. 1988. Anthocyanins as natural foodcolorants. Prog. Clin. Biol. Res. 280 : 107-121. 

  22. van Acker, S. A. B. E., M. N. 1. L. Tromp, G R. M. M. Haenen, W J.F. van der Vijgh, and A. Bast. 1995. Flavonoids as scavengers ofnitric oxide radic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214(3) :755-759. 

  23. Yoshiki, Y., K. Okubo, and K. Igarashi. 1995. Chemiluminescence ofanthocyanins in the presence of acetaldehyde and tert-butyl hydroperoxide.J Biolumin. Chemilumin. 10, : 335-338. 

  24. ::$:11J:'~xt5\:~*,Ijj\~. 1991. .2i':~~H**. ::$:11J:* ~17~ 111J:@:~ : ~T. jj(.rMrt. p 598. 

  25. ifrtllli:t:A ~ff!lir*,Ijj\, ~V')Jt1t~j\;. 1986. *~~±t±:\Ji:&Jrt(tl::$:m). pp116-117. 

  26. 한국잠사학회, 1999. 1999 심포지엄 뽕잎함유 생체활성성분의 식품이용 전망 자료집. 

  27. 허 준, 1994. 동의보감, ~::$:i51 §*. R~~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