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불복장 직물의 구조특성 및 연대규명
Construction and a Chronological Examination of the Fabrics in the Buddhist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5 no.8 = no.99, 2005년, pp.73 - 84  

김선경 (경원대학교 의상학과) ,  조효숙 (경원대학교 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llections in the buddhist statue owned by Dr. Jong-Hm Baik(白宗欽) included 3 ancient documents and 2 wooden cylinders that showed a clear historical order. The temple and buddhist statue that these objects were belonged to were not known, however, according to the document, it could be inferred as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복장직물에 시문된 문양의 시대적 특성과 더불어 가속기질량분석법 (Accelerator Mass Spec- troscopy)을 통하여 후령통에 들어있는 직물의 연대를 측정함으로써 이 직물들이 1322년 최초에 조성된 것인지 또는 1614년 개금 당시 새로 조성된 것인지를 규명하여 복장된 직물의 연대를 명확히 판단하고자 하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白宗欽 소장의 복장 유물 중 하나인 후령통 내의 직물의 구조특성을 밝히고 직물이 복장된 연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 백종흠 소장복장물은 연대가 뚜렷한 고문서 3점과 사경, 두 개의 목제 후령통으로 구성되었으며, 발원문을 통하여 복장물이 들어있던 불상은 1322년에 조성된 천수관 음상임을 알 수 있었고, 1614년에 작성된 불상시주명단을 통하여 개금한 사실도 알 수 있었다. 이미 발표된 연구에 의하면 이 복장물들은 1322년 것으로 추정된 바 있으나 오보병에 사용된 직물의 분석을 통하여 좀 더 과학적으로 명확한 연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 첫째, 후령통에 들어있는 직물과 실의 구조 및 섬유 종류를 조사함으로써 복장 당시 직물의 구조특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裵永東 (1991). 불복장양식의 구성과 의미. 1302년 阿彌陀佛腹藏의 調査硏究. 온양민속박물관. p. 211 

  2. 허흥식 (1986). 14세기의 새로운 불복장 자료. 문화재, 19호, 문화재 관리국. pp. 46-58 

  3. 박경원, 정원경 (1983) 永泰二年 銘蠟石製壺. 釜山市立博物館 年報 제6집 

  4. 안명숙 (1984) 文殊寺 遺物 포와 직물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미자, 조효숙 (1991). 1302년 阿彌陀佛腹藏 服飾의 分析. 阿彌陀佛腹藏의 調査硏究. 온양민속박물관. pp. 105-136 

  6. 조효숙 (1992). 한국 견직물연구-고려시대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영숙 (1994). 朝蘇朝 前期 직물의 한 樣相. 문화재, 27호, 문화재연구소 

  8. 박윤미, 정복남 (1998). 佛腹藏 織物을 통하여 본 朝解 時代의 직물 연구(I). 服飾. 36, pp. 53-75 

  9. 박윤미. 정복남 (1999). 佛腹藏 織物을 통하여 본 朝鮮 時代의 직물 연구(II) 服飾, 42. pp. 173-185 

  10. 정암 외 5인 (2004). 至心歸命禮. 수덕사근역성보관 

  11. 문화재연구소 편 (1976). 佛國寺 復原 工事 報告書. 문화재관리국 

  12. 김미자. 조효숙. (1991). 1302년 阿彌陀佛腹藏 服飾의 分析. 阿彌陀佛腹藏의 調査硏究. 온양민속박물관, pp. 132 -133 

  13. 裵永東. (1991). 불복장양식의 구성과 의미. 1302년 阿彌陀佛腹藏의 調査硏究. 온양민속박물관, p. 213 

  14. 許興植 (1991). 1302년 아미타불복장의 造成經緯와 思想傾向. 1302년 阿彌陀佛腹藏의 調査硏究. 온양민속박물관, p. 21 

  15. 許興植 (1991). 1302년 아미타불복장의 造成經緯와 思想傾向. 1302년 阿彌陀佛腹藏의 調査硏究. 온양민속박물관, p. 20 

  16. 허흥식 (1986). 14세기의 새로운 불복장 자료. 문화재, 19호, 문화재 관리국. p. 49 

  17. 허흥식 (1986). 14세기의 새로운 불복장 자료. 문화재, 19호, 문화재 관리국. p. 56 

  18. 윤민영 (2002) 가속기 질량분석법에 의한 미라복식의 방사성 탄소 절대연대 결정. 남아 미라 및 출토유물 연구 논총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p. 173 

  19. 윤민영 (2002) 가속기 질량분석법에 의한 미라복식의 방사성 탄소 절대연대 결정. 남아 미라 및 출토유물 연구 논총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p. 18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