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해안 곰솔림에서의 리지나뿌리썩음병 발생 및 확산 유형
Occurrence of Rhizina Root Rot in a Black Pine (Pinus thunbergii) Forest Located at the Western Coastal Area in Korea and Its Spreading Patterns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11 no.2, 2005년, pp.208 - 212  

이승규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과) ,  김경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과) ,  김연태 (충청남도 산림환경연구소) ,  박주용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과) ,  이상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과)

초록

2002년 6월에 서해안의 태안군 남면 달산3리에 위치한 약 20ha의 곰솔림내 27개소에서 각 개소당 평균 10나무씩 무리를 지어 합계 294그루가 고사한 상태로 발견되었다. 2002년 6월부터 2004년 8월까지 4개 고정조사구에서 죽거나 죽어가고 있는 나무의 상태와 피해지에서 발생하고 있는 파상땅해파리버섯의 위치를 조사한 결과, 1) 피해목이 최초 고사목 발생장소로부터 불규칙 동심원을 이루면서 확산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2) 파상땅해파리버섯이 죽은 나무의 주변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3) 나무를 고사시킬 수 있는 해충이나 병원체가 발견되지 않아이 지역에서의 나무집단고사는 리지나뿌리썩음병원균(Rhizina undulate)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피해지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에 대한 조사결과, 피해지 토양의 pH는 $4.6\~5.79$이었으며, 토양양료수준도 대단히 낮은 상태이었다. 태안 피해지에서는 리지나뿌리썩음병 발생의 중요한 유인인자로 알려져 있는 모닥불 등 '불'을 사용한 흔적이 발견되지 않았으므로 본 병해 발생과 관련된 다양한 환경적 유인에 대한 정밀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t the survey of June, 2002, total 294 dead frees were found in 20 ha of Black pine (Pinus thunbergii) forest located in the western coastal region of Korean peninsula. The dead trees were scattered over the 27 place as groups of about ten trees each. As a result of the field survey on the relatio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2년 충청남도 태안군 달산3리 해안가에 인접한 곰솔림에서 나무가 무리 지어 고사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의 서해안 지역에서 리지나뿌리 썩음병에 대한 발생보고가 없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들 나무고사가 리지나뿌리 썩음병에 의한 것이라는 것과 함께 피해 확 산 유형과 피해지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에 대한 조사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Germmen, J. 1971. Rhizina undulata. A review of research in the Netherlands. Eur. J. Eur. Path. 1: 1-6 

  2. Ginns, J. H. 1968. Rhizina undulata pathogenic on Douglas fir seedlings in western north America. Pl. Dis. Rept. 52: 579-580 

  3. Horikoshi, T., Tateishi, T. and Takahashi, F. 1986. Changes of fungus flora after fires in Pinus densiflora forest. Trans. Mycol. Soc. Japan 27: 283-295 

  4. 김종갑, 오기철. 2001. 침엽수와 활엽수 산림에서 산불 후 토양 화학적 및 토양미 생물학적 특성 변화. 한국생태학회지 24(1): 1-7 

  5. 김경희 등. 2004. 산불지역의 침엽수고사에 관여하는 리지나뿌리썩음병의 효과적인 방제기술 개발. 농림부. 112 pp 

  6. 김선희, 문경애. 1999. 솔잎혹파리 방제사업이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낙엽의 분해 그리고 토양미생물 활성에 미치는 영향. 환경관리학회지 5: 153-161 

  7. 이상용, 김완규. 1990. 소나무 리지나뿌리썩음병 관한 연구 - Rhizina undulata 의 생리적 특성 및 병원성. 한국임학회지 79: 322-329 

  8. 이원규, 김춘식, 차순형, 김영걸, 변재경, 구교상, 박재욱. 1997. 산불이 산림토양의 이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Korean J. Ecol. 20: 157-162 

  9. 이창근, 여운홍, 김교수, 김경희. 1982. 잣나무잎녹병 등 수목병해 3종에 관한 연구. 임시연보 29: 253-262 

  10. 박동진, 육연수, 김종진, 이상화, 김창진. 1999. 산불 발생 후 토양미생물의 밀 도변화. 미생물학회지 35: 78-81 

  11. Sato, K., Yokozawa, Y. and Shoji, T. 1974. Studies on Rhizina root rot causing group dying of pine trees. Bull. Gov. For. Exp. Sta. 268: 13-48 

  12. Sinclair, W. A., Lyon, H. H. and Johnson, W. T. 1987. Diseases of trees and shrubs. Cornrll University Press 574 pp 

  13. Thompson, J. H. and T. A. Tattar. 1973. Rhizina undulata associated with disease of 80-year-old red spruce in Vermont. Pl. Dis. Reptr. 57: 394-396 

  14. Weir, J. R. 1915. Observation on Rhizina inflata. J. Agr. Res. 4: 93-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