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대 예술의상에 표현된 데포르마숑 이미지
Deformation Image Expressed in the Modern Art to Wear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5 no.7 = no.98, 2005년, pp.38 - 50  

서승미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see through the aesthetic essence of the clothing as art,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cultural feature and body style in Postmodern Feminism. Also, this study will examine the aesthetic value in artistic meaning regarding a Deformational body image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의 사회 문화적 특성과 변화된 신체양식을 고찰하기 위하여 우선 신체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논의, 즉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에 영향을 준 Jacques Derrida의 해체이론, Michel Foucault의 권력이론, Jacques Lacan의 정신분석학 이론 등을 살펴본 후, 이를 바탕으로 신체에 구현된 의미와 현대 여성의 탈고정화된 신체 이미지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조형예술에서 나타나는 데포르마숑 신체 이미지와 관련하여 예술적 의미의 측면에서 미적 가치를 살펴보며, 이를 통해 현대 예술의상에서 데포르마숑 이미지가 어떠한 조형적 특징으로 표현되었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에 의해 변화된 신체양식이 현대 예술의상에서 논의되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지닌다.
  • 특히 무감각한 현대인들에게 웃음과 공포, 현실과 비 현실의 결합이라는 양면성을 지닌 미적 가치의 다원주의적 현상은 현대사회의 내적 혼돈과 인간 존재의 본질적인 근원을 반영하고 있으며 예술의상에 있어 파격적이고 충격적인 데포르 마숑 이미지로 전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대 예술의상에서 표현되는 신체 이미지 특히, 몸이 왜곡되고 변형된 데포르마숑 신체 이미지와 관련하여 작품의 내적 의미와 조형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현대 예술의상에 나타난 데포르마숑 이미지를 살펴보기 위해 우선 이론적 연구로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에 영향을 준 해체이론, 권력이론, 정신분석학 이론 등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에 의해 탈고정성을 획득한 여성의 변화된 신체 이미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조형예술에서의 데포르마숑 신체 이미지와 관련하여 예술적 의미의 측면에서 미적 가치를 고찰하였다.
  • 본 연구에서 이론적 연구의 대상 시기는 1980년대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의 전개를 배경으로 20세기 현대 조형예술에서 나타나는 작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며, 현대 예술의상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1980년대 이후부터 현재까지로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의 사회 문화적 특성과 변화된 신체양식을 고찰하기 위하여 우선 신체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논의, 즉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에 영향을 준 Jacques Derrida의 해체이론, Michel Foucault의 권력이론, Jacques Lacan의 정신분석학 이론 등을 살펴본 후, 이를 바탕으로 신체에 구현된 의미와 현대 여성의 탈고정화된 신체 이미지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조형예술에서 나타나는 데포르마숑 신체 이미지와 관련하여 예술적 의미의 측면에서 미적 가치를 살펴보며, 이를 통해 현대 예술의상에서 데포르마숑 이미지가 어떠한 조형적 특징으로 표현되었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 연구자료는 예술과 철학, 미학, 사회 문화 및 복식에 관한 다양한 국내 외 문헌과 선행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살펴보며, 예술의상에 대한 시각적인 자료는 의상과 미술관련 전문서적. 의상 전시회 작품집, 인터넷 사이트 자료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상과 같이 현대 예술의상에 표현된 조형적 특징으로 데포르마숑 이미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현대 포스트모던 시대의 변화된 여성의 신체 이미지는 이상적인 여성의 몸을 변형, 왜곡하여 탈고정화 함으로써 이분법적인 성 정체성의 파괴와 기존의 구조화된 여성미를 탈피하는 여성해방을 표현한다.
  • 현대 예술의상에 나타난 미적 특성 가운데서 본 연구에서는 비정형화된 여성의 신체양식을 표현하는 데포르마숑 이미지의 조형적 특성으로 확장성, 기괴성, 유희성, 가상성을 상정하여 이를 통해 탈고 정화된 여성신체의 미적 측면이 예술의상에서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 2. 조형예술에서 나타나는 데포르마숑 신체 이미지의 미적 특성을 고찰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김홍희 (1997). 미국 페미니즘 비디오 미술 연구. 홍익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36 

  2. 조주현 (2000). 여성 정체성의 정치학, 서울: 또 하나의 문화. p. 259 

  3. Haraway, D., 민경숙 역 (2002). 유인원 사이보그 그리고 여자, 서울: 동문선. p. 155 

  4. Chris. W., 조주현 역 (1997), 여성해방 실천과 후기구조주의 이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 29 

  5. 김홍희 (1994)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의 이론과 실제, 월간미술. 8, pp 165-167 

  6. 이정우 (1993) 미셀 푸코에 있어 선체와 권력. 문학과학. 4, 서울: 문학과학사. p. 96 

  7. 김홍희.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의 이론과 실제, 월간미술, 8, p. 167 

  8. 김홍희 (1992) 한국 여성주의 미술의 방향 모색을 위한 페미니즘 연구, 미술세계,9,P. 30 

  9. Madan, S.,김해수 역 (1996) 알기 쉬운 자끄 라깡. 서울: 도서출판백의. pp. 196-199 

  10. Elizabeth, W., 정정호 . 박찬부 역 (1997), 페미니즘과 정신분석학 사전, 서울: 한신문화사. p. 505 

  11. 양해림 (2003), 현상학과의 대화, 서울: 서광사, p. 138 

  12. Werner, S. (1998). Deutsche philosophic in 20. Jahrhundert. Munchen: Beck, p. 41 

  13. Entwistle, J. (2000). The fashioned body : Fashion, dress and modem social theory. Oxford: Blackwell Publishers Ltd. p. 55 

  14. 최현숙 (1999). 패션에 표현된 전통적 페미니즘 .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여성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1 

  15. Conboy, K. & Medina, N. & Stanbury, S., 고경하 . 김대환 역 (2001). 여성의 몸 어떻게 읽을 것인가? 성의 상품화 그리고 저항의 가능성. 서울: 한울, p. 19 

  16. Jose, P.,박순철 역 (1990). 초현실주의. 서울: 열화당, p 28 

  17. 안연희 (1999). 현대미술사전. 서울: 미진사. p. 96 

  18. 이수균 (1999). 몸과 미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p 13 

  19. 이수균 (1999). 몸과 미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p 10 

  20. 이주헌 (1998). 미술로 보는 20세기. 서울: 학고재,p 63 

  21. 서승미 (2004). 현대 예술의상에 표현된 조형성의 텍스트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13 

  22. Philip, T., 김영무 역 (1986). The grotesque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p 21 

  23. 서승미. (2004). 현대 예술의상에 표현된 조형성의 텍스트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p 115 

  24. Levy, P., 전재연 역 (2002). 디지털시대의 가상현실. 서울: 궁리. p. 222 

  25. Rebecca, A. (2001). Fashion. desire and anxiety. N.Y.: I.B. Tauris, p. 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