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늦부모됨에 관한 탐색적 고찰
An Exploratory Study on Late Parenthood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3 no.6 = no.78, 2005년, pp.167 - 178  

김용미 (경기대학교 유아교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various assects of late parenthood among Korean parents, including motivation, emotional respons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late parenthood, intimacy, and effects on child. Subjects were IS mothers who gave birth after 35 years old for both moth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의 이러한 뚜렷한 인구 동향에도 불구하고 늦부모됨과 늦출 산산 가족의 가족 관계에 대한 연구는 외국의 경우에도 시작에 불과하며 국내 연구는 소수의 연구 외에는 매우 빈약한 실정이 다(강희경, 1994; 김용미, 2002; 임은정, 2001). 이 연구에서는 부모 모두 만 35세 이후 출산한 가족을 대상으로 설문지와 심층 면접을 실시하여 늦부모됨의 동기, 반응, 영향과 가족관계상의 변화 등에 대해 파악하고 이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 이상과 같이 최근의 인구동향과 관심에도 불구하고 늦부모됨 에 관한 국내외 연구는 양적, 질적으로 매우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늦출 산을 경험한 부모를 대상으로 출산의 동기, 심정적 반응, 장단점, 부모-자녀 관계,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과 같이 늦부모됨을 개인적, 가족관계의 측면에서 살펴보고 자 한다. 이를 통하여 늦부모됨에 대한 전반적 이해가 증가하며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도 파악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최근 들어 나타나고 있는 인구 동향 가운데 만혼 현상과 출산 연령의 증가, 저출산 현상 등을 꼽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이 가 운데 출산 연령의 증가로 인해 나타나는 늦부모됨에 초점을 맞추고 이에 대한 기초적 이해를 얻기 위해 다양한 측면을 짚어 보았다. 즉 늦출 산의 동기, 늦둥이에 대한 부모와 주위의 반응, 장단점, 부모-자녀 관계의 친밀감과 양육 참여도, 자녀에 미치는 영향과 늦출 산의 권장 여부를 조사해 보았다.
  • 본 연구는 이 가 운데 출산 연령의 증가로 인해 나타나는 늦부모됨에 초점을 맞추고 이에 대한 기초적 이해를 얻기 위해 다양한 측면을 짚어 보았다. 즉 늦출 산의 동기, 늦둥이에 대한 부모와 주위의 반응, 장단점, 부모-자녀 관계의 친밀감과 양육 참여도, 자녀에 미치는 영향과 늦출 산의 권장 여부를 조사해 보았다. 연구대상자는 수도권 대도시의 신도시 개발지역에 거주하는 부모들 가운데 부모 두 사람이 모두 만 35세 이후에 출산한 사람을 대상으로 했다.
  • 이 연구는 최근 우리나라의 인구 동향 가운데 증가하는 늦출 산으로 인한 늦부모됨의 경험이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 이루어진 하나의 기초 연구로서, 늦부모의 범주에 포함되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지와 면접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했다.
  • 이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비교적 적은 수의 어머니들이었으나 늦출산의 실태와 영향을 출산 동기, 계획 여부, 부모의 심 정적 반응, 늦둥이로 인한 가족관계의 변화, 장단점 등 다양한 측면에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또한 다수의 늦부모들을 대상으로 한 양적, 질적 연구를 후속으로 계획하고 수행하는데 중요한 지침을 제공해주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서 '지금, 현재' 나타나고 있는 늦부모됨 현상의 실태를 심도 있는 개별면접을 통해 생생하고 현실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가설 설정

  • , 1976). 이 관점에서 따르면 늦게 부모가 되는 사람 들은 20대에 출산하는 부모들에 비해 부모 역할 적응에 어려움 이 많을 것으로 가정했다(Soloway & Smith. 1987; Walter, 1986). 그러나 이 가정은 충분한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다.
  • 그러나 이 가정은 충분한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다. 반면 최근의 생애주기 이론에 따르면 늦부모됨을 선택한 부부들이 다른 부부에 비해 더욱 만족스럽고 어려움이 적게 부모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했다. 왜냐하면 연령의 증가와 더불어 자연스럽게 성숙해지므로 오히려 부모의 역할을 더 잘할 수 있으리라는 것이다(강희경, 1994; Heath, 1995; Roosa, 198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강희경(1994). 어머니의 연령에 따른 부모역할만족도와 부모역할에 대한 자신감: 20대 출산모와 고령출산모의 비교.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용미(2002). 늦부모됨에 관한 문헌 고찰. 경기인문논총, 10, 183-191 

  3. 임은정(2001). 늦둥이 유아의 문제행동과 어머니의 양육태도와의 관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통계청(1979). 인구동태 통계연보. 통계청 

  5. 통계청(1989). 인구동태 통계연보. 통계청 

  6. 통계청(2001). 인구동태 통계연보. 통계청 

  7. 통계청(2004). 인구동태 통계연보. 통계청 

  8.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1). 최근 출산력 및 가족보건 수준의 변화양상과 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서 

  9. Belsky, J., Lang, M. E. & Rovine, M.(1985). Stability and change in marriage across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A second study.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47, 855-865 

  10. Birchler, G. R.(1992). Marriage. In V. B. Van Hasselt & M. Hersen(Eds.), Social development: A lifespan Perspective(pp.397-419). NY: Plenum Press 

  11. Cowan, C. P. & Cowan, P. A.(1992). When partners become parents. NY: Basic Books 

  12. Erikson, E. H.(1968). Identity: Youth and crisis. NY: Norton & Co 

  13. Frankel, S. A. & Wise, M. J.(1982). A view of delayed parenting: Some implications of a new trend. Psychiatry, 45, 220-225 

  14. Garrison, M. E., Blalock, L. B., Zarski, J. J. & Merritt, P. B.(1997). Delayed parenthood: An exploratory study of family functioning. Family Relations, 46, 281-290 

  15. Heath, D. T.(1995). The impact of delayed fatherhood and the father-child relationship,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55, 511-530 

  16. Levinson, D. J., Darrow, C. M, Klein, E. B., Levinson, M. H. & Mckee, B.(1976). Periods in the adult development of men: Age 18-45. The Counseling Psychologist, 6, 21-25 

  17. Reece, S. M.(1993). Social support and the early maternal experience of primiparas over 35. Maternal-Child Nursing Journal, 21(3), 91-98 

  18. Roosa, M. W.(1988). The effect of age in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Are delayed child bearers a unique group? Family Relation, 37, 322-327 

  19. Schlesinger, B. & Schlesinger, R.(1989). Postponed parenthood: Trends and issues. Journal of Comparative Family Studies, 20, 355-363 

  20. Soloway, M. M. & Smith, R. M.(1987). Antecedents of late birth timing decisions of men and women in dual-career marriages. Family Relations, 36, 258-262 

  21. Ventura, S. J.(1993). Delayed childbearing: Trends in the United States. In B. K. Rothman(Ed), Encyclopedia of childbearing: Critical perspectives, pp.95-97 

  22. Walter, C. A.(1986). The timing of motherhood. Lexington. MA: Heath 

  23. Wilkie, J. R.(1981). The trend toward delayed parenthood.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3, 583-591 

  24. Yarrow, A. L.(1991). Latecomers: Children of parents over 35. NY: Free Press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