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에센셜 오일을 적용한 분만간호가 초산부의 분만 스트레스 반응, 분만 중 불안 및 산후 상태불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livery Nursing Care using Essential Oils on Delivery Stress Response, Anxiety during Labor, and Postpartum Status Anxiety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5 no.7, 2005년, pp.1277 - 1284  

허명행 (을지의과대학 간호대학) ,  정남연 (을지의과대학 간호대학) ,  윤혜성 (을지의과대학 분만실) ,  이미경 (을지의과대학 분만실) ,  송영신 (을지의과대학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livery nursing care using essential oils on labor stress response, labor anxiety and postpartum status anxiety for primipara. Methods: This study used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of this experi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에센셜 오일을 적용한 분만간호가 분만 스트레스 반응, 분만 중 불안 및 산후 상태불안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과학적 뒷받침을 위한 실험적 연구가 필요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진통 및 진경효과가 있고 자궁 수축에 도움을 주는 자스민(Jasminum grandiflorum)과 클라리 세이지(Sal.,ia sclarea), 분만 중 호흡과 통증 감소에 도움을 주는 제라늄 (Pelargonium graveolens), 자궁친화력이 있어 분만에 도움을 주는 로즈(Rosa damacena), 분만 피로를 위한 레몬(Citrus limon)등의 에센셜 오일(Dye, 1997; Keville, & Green, 1995; Worwood, 1991)을 적용한 분만간호의 효과를 검증하여, 에센 셜 오일을 적용한 분만간호의 프로토콜을 제시하기 위하여 계획되었다.
  •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로, 에센셜 오일을 적용한 분만간호가 분만스트레스 반응, 분만 중 불안 및 산후 상태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실험 대상 자는 20대의 정상 분만이 예상되고 태아가 단태이며 두정위 인 초산부이었으며, 잠재기에 분만실에 입원하고 연구에 참여 하기로 동의한 산부로 실험군, 대조군 각각 24명, 총 48명이 었다.
  • 본 연구는 에센셜 오일을 적용한 분만간호가 분만 스트레 스 반응, 분만 중 불안 및 산후 상태불안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이다. 분만 스트레스 반응으로 에피네프린, 노어에피 네프린을 측정하고, 분만 중 산부가 호소하는 불안정도와 분 만 후 24시간에 상태불안을 측정, 비교함으로써 산부의 스트 레스 반응과 불안을 감소시키는 에센셜 오일을 적용한 분만 간호의 프로토콜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불안,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방법 으로으로 에센셜 오일을 적용한 분만간호를 제공하였다. 분만 1기에는 클라리세이지, 로즈, 자스민, 제라늄을 호호바오일에 1.
  • 본 연구의 목적은 분만을 위해 입원한 정상 초산부에게 분만 중 에센셜 오일을 적용한 분만 간호가 분만 중 스트레스 반응, 분만 중 불안 및 산후 상태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함으로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에센셜 오일을 적용한 분만간호가 분만 스트레 스 반응, 분만 중 불안 및 산후 상태불안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이다. 분만 스트레스 반응으로 에피네프린, 노어에피 네프린을 측정하고, 분만 중 산부가 호소하는 불안정도와 분 만 후 24시간에 상태불안을 측정, 비교함으로써 산부의 스트 레스 반응과 불안을 감소시키는 에센셜 오일을 적용한 분만 간호의 프로토콜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 도구는 불안이 없음을 0점으로 하고 극심한 불안을 10점으로 한 10cm의 수평 선상에 대상자가 느끼는 불안 정도를 표시하게 하여, 표시점까지의 거리를 cm 단위로 소수점 이하 한 자리수까지 측정한 값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불안이 심한 것을 의미한다. 분만은 잠재기(경관 0~3 cm 개대), 활동기(경관 4~8cm 개대), 이행기(경관 9-lOcm 개 대)로 나눌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 분만 중 불안을 측정하기 위해 잠재기에는 경관 개 대가 3cm 이내로 된 경우에, 활동기에는 경관 개 대가 7~8cm가 된 경우에, 이행기에는 경관 개 대가 9~ 10cm가 된 경우에 각각 측정하여 측정오차를 줄이고자 하였다.
  • 실험처치는 클라리세이지, 제라늄, 자스민, 로즈, 레몬을 적용한 분만간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험처치의 효과를 보기 위해 실험처치 후 분만스트레스 반응으로 혈중 에피네프린, 혈중 노어에피네프린을 측정하였고, 분만 중 불안 및 산후 상 태불안을 측정하여 두 군을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H. S. (1976). A comparative study of reported nursing needs and nursing care during labor and delivery. J Korean Acad Nurs, 6(1), 51-57 

  2. Ahn W. R. (1984). An experimental effects of husband's supportive behavior reinforcement education on stress relief of primigav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3. Areskog, B., Uddenberg, N., Kjessler, B. (1983). Experience of delivery in women with and without antenatal fear of childbirth. Gynecol Obstet Invest, 16, 1-12 

  4. Buckle, J. (2003) Clinical aromatherapy essential oils in practice. Philadelphia : Churchill Livingstone 

  5. Burns, E., Blamey, C, Ersser, S. J., Lloyd, A. J., Barnetson, L. (2000). The use of aromatherapy in intrapartum midwifery practice an observational study. Complement Ther Nurs Midwifery, 6(1), 33-4 

  6. Celestin L. R. (1965). Painless childbirth, The Lamaze Method. New York: Pocket Books 

  7. Cho S. Y. Kyo H. J. (1999). A comparative of primiparas' perception of delivery experience and identity as the mother according to delivery methods. Korean J Women Health Nurs, 5(1), 5-17 

  8. Dimsdale, J. E., & Moss, J. (1980). Plasma catecholamines in stress and exercise. JAMA, 243(4), 340-342 

  9. Dunn, C, Sleep, J., & Collett, D. (1995). Sensing an improvement; an experimental study to evaluate the use of aromatherapy, massage and periods of rest in an intensive care unit, J Adv Nurs, 21(1), 34-40 

  10. Dye, J. (1997). Aromatherapy for women & childbirth. Saffron Walden, The C. W. Daniel company 

  11. England, A. (1994). Aromatherapy for mother & baby. Rochester : Healing Arts Press 

  12. Fox, H. A. (1979). The effects of catecholamines and drug treatment on the fetus and newborn. Birth Fam J, 6(3), 157-165 

  13. Keville, K., & Green, M. (1995). Aromatherapy, a complete guide to the healing art. Freedom : The Crossing press 

  14. Kim H. S., Choi Y. S., Jang S. B., Jeon E. M., & Jung J. W. (1993). A study on needs of women in labour to have family participation during the labour process. Korean J Women Health Nurs, 3(1), 38-48 

  15. Kim H. W. (1983). A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high risk levels: Centered on pregnant woman awaiting in delivery room. Yonsei University Master's thesis, Seoul 

  16. Kim J. T. (1978). The relationship of chatacteristics-anxiety and social interes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7. Lederman, E., Lederman, R. P., Work, B., & McCann, D. S. (1981). Maternal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correlates of fetal-newborn health status. Am J Obstet Gynecol, 139(8), 956-958 

  18. Lederman, R. P. (1995). Relationship of anxiety, stress, and psychosocial development to reproductive health. Behav Med, 21, 101-112 

  19. Lederman, R. P., Lederman, E., Work, B., & McCann, D. S. (1978). The relationship of maternal anxiety, plasma catecholamines, and plasma Cortisol to progress in labor. Am J Obstet Gynecol, 132(5), 495-500 

  20. Lederman, R. P., Lederman, E., Work, B., & McCann, D. S. (1985). Anxiety and epinephrine in multiparous women in labor: Relationship to duration of labor and fetal heart rate pattern. Am J Obstet Gynecol, 153(8), 870-877 

  21. Lee K. J., Jang C. J., Cho H. S. (2003). Effect of foil body massage on labor pain and delivery stress reaction for primipara during labor. Korean J Women Health Nurs, 9(3), 224-234 

  22. Lee S. H. (2000). Psychoneuroimmunologic effect of Aromatherapy massage. Korean J Women Health Nurs, 6(2), 5-15 

  23. Norr, K. L., Block, C. R, Charles, A., Meyering, S., & Meyers, E. (1977). Explaining pain and enjoyment in childbirth. J Health Soc Behav, 18, 260-275 

  24. Roach, S. (2001). Massage for the Doula. International Doula, 9(3), 8-9 

  25. Sandman, C. A., Wadhwa, P. D., Chicz-DeMet, A., Dunkel-Schetter, C, & Porto, M. (1997). Maternal stress, HPA activity, and fetal/infant outcome. Ann N Y Acad Sci, 814, 266-275 

  26. Simkin, P. T. (1989). The birth partner. Boston : The Havard Common Press 

  27. Tisserand, M. (1996). Aromatherapy for woman, a practical guide to essential oils for health and beauty, Rochester, Healing Arts Press 

  28. Trevelyan, J. (1994). Using aromatherapy in childbirth. Nursing Times, 90(9), 54-60 

  29. Wesson, N. (1997). Natural mothering. Rochester : Healing Arts Press 

  30. Worwood, V, A. (1991). The complete book of essential oils & aromatherapy. San safael, CA : New world Library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