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RIES, FLACC, PIPP를 이용한 고위험영아의 통증사정
Pain Assessment using CRIES, FLACC and PIPP in High-Risk Infants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5 no.7, 2005년, pp.1401 - 1409  

안영미 (인하대하교 간호학과) ,  강희옥 (한림대학교) ,  신은진 (인하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nfants at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NICU) are invariably exposed to various procedural and environmental stimuli. The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pain responses in three NICU stimulants and to examine the clinical feasibility for NICU infants using CRIES, FLACC and PIPP. Metho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석 달의 자료수집 기간 동안 NICU 입원 영아 중 미숙아는 물론, 고빌 리루빈증, 패혈증, 급성 장염, 청색증 등 다양한 질병을 가진 모든 영아를 포함하였다. 다양한 대상자를 모두 포함한 이유는 실제 NICU 입원아의 다양성을 그대로 반영하여 연구의 외적 타당도를 높이기 위함이고, 대상자 특성에 따라(예: 미숙 아 대 만삭아)에 따른 세 가지 통증 도구의 예민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이다. 그러나 grade III 이상의 뇌실 출혈, 사지 골절, 뇌성마비 혹은 사지 마비, 염색체 이상이 있거나 억제대 혹은 진정 중인 영아는 연구에서 제외되었다.
  • 신생아의 통증 사정은 신생아가 보이는 표현의 제한성(성인의 의사소통과 비교하여 상대적 제한성), 발달 및 자극.반응기전의 미성숙, 건강 문제로 인한 한정된 능력 및 병리적 상태 등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바탕으로 한다. 현재까지 개발된 대표적인 신생아 및 영아의 통증 사정 도구는 1993년에 처음 발표된 Neonatal facial Coding System(NFCS)(Johnston, Stevens, Craig & Grunau, 1993), 1995년에 CRIES(KrecheI & Bildner, 1995; 약어는 연구 도구 참조), 1997년에 FLACC(Face, Legs, Activity, Cry and Consolability) (Merkel, Shayevitz, Voepel-Lewis & Malviya, 1997) 등을 들 수 있다.
  • 본 연구는 국외에서 널리 보고되어진 영아의 통증측정도구 인 CRIES, FLACC, PIPP를 국내 NICU에 소개하여 임상적 유용성을 검증하고 빈번히 수행되는 NICU 자극에 대한 통증 반응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세 가지 도구 모두 통증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침습적 처치에서 가장 높은 측정값을, 피부 마찰과 소음은 서로 유사한 낮은 반응 값을 보였다.
  • 본 연구는 영아의 통증 사정 도구인 CRIES, FLACC와 PIPP 를 적용하여 NICU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처치나 자극을 경험하는 고위험 영아의 통증 반응을 측정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 소음 : 이는 물리적인 신체 자극. 없이 통제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되는 환경 자극에 대한 영아의 반응을 측정하기 위해 선택되었다. 이때 소음이란 NICU 환경에서 일상적으로 들리는 소리가 아니라 갑작스럽게 울리는 기계 알람, 주변 아기의 큰 울음, 의료진의 커다란 목소리, 전화벨 등지나 친 소음을 의미한다.
  • 그러나 국내의 경우 현재 영아의 통증 사정 도구로 이들 도구의 제목을 간단히 소개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도구의 적용 범위나 구체적인 사용 방법은 물론 이를 적용한 임상적 통증 사정은 보고된 바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첫째, 영아의 통증 사정 도구로 널리 쓰이고 있는 CRIES, FLACC 와 PIPP를 임상적 자료와 함께 국내에 소개하고, 둘째 NICU에서 빈번하게 행하여지는 처치나 자극 시 영아가 보이는 통증 반응을 측정하고자 실시되었다.
  • 이는 PIPP가 미숙아에게 더 예민한 도구로 개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Table 4>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영아가 미숙아인지 아닌지에 따라 PIPP 측정치는 차이가 없었음에서도 유추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국내 NICU의 한정된 임상 현실에서는 CRIES나 FLACC7} PIPP에 비해 임상적 친화성을 바탕으로 한 도구적 장점이 다소 우월함을 조심스럽게 제안하는 바이다. 물론 임상적 제한점이 최소화되고 훈련된 관찰자가 있을 경우 PIPP는 미숙아의 통증 반응측정에 매우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한편 세 가지 자극에 대한 CRIES, FLACC, PIPP 측정값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는 에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nand, K. J. S. & The International Evidence-Based Group for Neonatal Pain. (2001). Consensus statement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ain in the newborn. Arch Pediatr Adolesc Med, 125, 173-180 

  2. Fitzgerald, M. (2005). The development of nociceptive circuits. Nat Rev Neurosci, 6(1), 507-520 

  3. Fitzgerald, M. & Beggs, S. (2001). The neurobiology of pain: developmental aspects. The Neuroscientists, 7(3), 246-257 

  4. Gibbsins, B., Stevens, B. & Asztalos, E. (2003).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acute pain in high-risk neonates. Expert Opin Pharmacother, 4(4), 475-483 

  5. Grunau, R. E. (2002). Early pain in preterm infants: a model of long-term effects. Clin Perinatol, 29(3), 373-394 

  6. Guinsburg, R., Peres, C. A., Almeida, M. F. B., Balda, R. C. X., Berenguel, R. C, Tonelotto, J. & Kopelman, B. I. (2000). Differences in pain expression between male and female newborn infants. Pain, 85, 127-133 

  7. Holsti, L., Grunau, R. E., Oberlander, T. F. & Whitfield, M. F. (2004). Prior pain induced heightened motor responses during clustered care in preterm infants in the NICU. Early Hum Dev, 81(3), 293-302 

  8. Johnston, C. C, Stevens, B., Craigm K. D., & Grunau, R. V. (1993). Developmental changes in pain expression in premature, full-term, two-and four-month-old infants. Pain, 52(2), 201-208 

  9. Krechel, S. W., & Bildner, J. (1995). CRIES: a new neonatal postoperative pain measurement score. Initial testing of validity and reliability. Paediatr Anaesth, 5(1), 53-61 

  10. Manworren, R. C, & Hynan, L. S. (2003). Clinical validation of FLACC: preverbal patient pain scale. Pediatr Nurs, 29, 140-146 

  11. McNair, C, Ballantyne, M., Dionne, K., Stephens, D., & Stevens, B. (2004). Postoperative pain assessment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rch Dis Child Fetal Neonatal Ed, 89, F537-F541 

  12. Merkel, S. L., Shayevitz, J. R., Voepel-Lewis, T., & Malviya, S. (1997). The FLACC: a behavioral scale for scoring postoperative pain in young children. Pediatr Nurs, 23(3). 293-297 

  13. Nandi, R., & Fitzgerald, M. (2005). Opioid analgesia in the newborn. Eur J Pain, 9(2), 105-108 

  14. Nelson, M. N., White-Traut, R. C, Vasan, U., Silvestri, J., Comiskey, E., Meleedy-Rey, P., Littau, S., Gu, G. & Patel, M. (2001). One-year outcome of auditory-tactile-visual-vestibular intervention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effects of severe prematurity and central nervous system injury. J Child Neurol, 16(1), 493-498 

  15. Oakes, L. (2001). Caring practices: Providing comfort. In: Curley MAQ, Moloney-Harmon PA (eds), Critical Care Nursing of Infants and Children, 2nd edn. Philadelphia: Saunders; pp. 547-50 

  16. Razmus, I. S., Dalton, M. E. & Wilson, D. (2004). Pain management for newborn circumcision. Pediatr Nurs, 30, 414-427 

  17. Riley, J. L 3rd, Robinson, M. E., Wise, E. A., Myers, C. D. & Fillingim, R. B. (1998). Sex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noxious experimental stimuli: a metaanalysis. Pain. 74(2-3), 181-7 

  18. Simons, S. H., van Dijk, M., Anand, K. S., Roofthooft, D., van Lingen, R. A., & Tibboel, D. (2003). Do we still hurt newborn babies? A prospective study of procedural pain and analgesia in neonates. Arch Pediatr Adolesc Med, 157(11), 1058-1064 

  19. Spence, K., Gillies, D., Harrison, D., Johnston, L., & Nagy, S. (2005). A Reliable Pain Assessment Tool for Clinical Assessment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JOGNN, 34(1), 80-86 

  20. Stevens, B., & Gibbsins, B. (2002). Clinical utility and clinical significance in the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pain in vulnerable infants. Clin Perinatol, 29(3), 459-468 

  21. Stevens, B., Gibbsins, B., & Franck. (2000). Treatment of pain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Pediatr Clin North Am. 47(3). 633-650 

  22. Stevens, B., Johnston, C, Petryshen, P., & Taddio, A. (1996). The premature infants pain profile: developmental and initial validation. Clin J Pain, 12(1), 13-22 

  23. Stevens, B., McGrath, P., Gibbins, S., Beyene, J., Breau, L., Camfield, C, Finley, A., Franck, L., Howlett, A., McKeever, P., O'Brien, K., Ohlsson, A., & Yamada, J. (2003). Procedural pain in newborns at risk for neurological impairment. Pain, 105(1-2), 27-35 

  24. Stewart, B., Lancaster, G., Lawson, J., Williams, K., & Daly, J. (2004). Validation of the Alder Hey Triage Pain Score. Arch Dis Child. 89(7), 625-30 

  25. Suraseranivongse, S., Santawat, U., Kraiprasit, K., Petcharatana, S., Prakkamodom, S., & Muntraporn, N. (2001). Cross-validation of a composite pain scale for preschool children within 24 hours of surgery. Br J Anaesth. 87(3). 400-5 

  26. Voepel-Lewis, T., Merkel, S., Tait, A. R., Trzcinka, A., & Malviya, S. (2002).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Face, Legs, Activity, Cry, Consolability observational tool as a measure of pain in children with cognitive impairment. Anesth Analg, 95, 1224-1229 

  27. White-Traut, R. C, Nelson, M. N., Silvestri, J. M., Patel, M., Berbaum, M., Gu, G. G., & Rey, P. M. (2004). Developmental patterns of physiological response to a multisensory intervention in extremely premature and high-risk infants. JOGNN, 33(2), 266-2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