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속수소생성에 사용되는 고온 CSTR 내의 미생물의 분자적 분석
Molecular Analysis of the Microorganisms in a Thermophilic CSTR used for Continuous Biohydrogen Production 원문보기

한국생물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v.20 no.6 = no.95, 2005년, pp.431 - 437  

오유관 (부산대학교 화학생명공학과) ,  박성훈 (부산대학교 화학생명공학과) ,  안영희 (한국과학기술원 생명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1. 고온 CSTR은 비교적 짧은 start-up 기간과 높은 $H_2$ 수율을 나타내었다. $H_2$ 생산속도와 $H_2$ 수율의 안정화를 근거로 판단컨대 start-up 기간은 30일 이내이었으며, 최고 $H_2$ 수율은 2.4 mol $H_2/mol$ glucose이었다. 2. 비교적 긴 HRT와 침전조를 이용한 biomass의 재순환에도 불구하고, 유입 포도당의 농도가 낮아 biomass 농도는 다른 중온 반응기에서 보고된 것에 비해 낮은 편이었다. 3. 운전 초기에 $CH_4$이 발생하였으나 8일 이후부터는 pH를 1.0 이하로 유지하였더니 14일 이후로는 거의 검출되지 않는 것으로 봐서 메탄생성균이 식종균에 남아 있더라도 반응기 운전조건을 통해 $CH_4$ 발생을 억제할 수 있었다. 4. 식종 미생물과 반응기로부터 취한 시료의 DGGE band 패튼이 다른 것으로 보아 고온 CSTR 조건에서 식종된 미생물 군집의 조성이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5. DGGE 분석결과 초기 43일간의 운전기간 동안에 관찰된 미생물 군집조성은 동적인 변화를 나타내었다. 약 14일부터는 biogas 조성이 거의 일정하였으나 미생물 군집은 동적 변화를 나타내었다. F. gondwanens와 T. Thermoanaerobacterium과 계통발생학적으로 가장 연관이 있는 개체군들이 운전 21일과 41일째에 각각 우점으로 나타났다. 6. 본 연구에서 식종 슬러지를 열처리하는데 사용한 조건은 메탄생성균을 완전히 제거하는데 불충분하다는 것은 운전 초기에 $CH_4$이 biogas에서 검출되었고, 식종 슬러지와 반응기로부터 취한 시료에서 메탄생성균이 가지는 mcrA 유전자가 PCR로 증폭되었으므로 알 수 있었다. 7. 메탄생성균의 주요 목에 특이적인 primers를 사용하여 PCR을 실시한 결과 식종슬러지에 있는 메탄생성균들은 주로 Methanosarcinales와 Methanomicrobiales 목에 속하였으며, $CH_4$이 발생했던 때의 반응기에 있는 메탄생성균들은 주로 Methanobacteriales 목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lecular methods were employed to investigate microorganisms in a thermophilic continuous stirred tank reactor(CSTR) used for continuous $H_2$ production. The reactor was inoculated with heat-treated anaerobic sludge and fed with a glucose-based medium.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계통발생학적으로 Archaea domain에 속하는 모든 미생물이 메탄생성균은 아니나 메탄생성균은 이 domain에 속한다. Arc/zaea에 특이적인 primers를 이용한 PCR 결과는 목에 특이적인 PCR과 mcrA PCR 실험과정에 오류가 없었음을 확인하기 위해서 실시하였다(Fig. 4의 왼쪽 위 사진).
  •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실험실 규모의 고온 CSTR을 이용하여 포도당을 기질로 氏를 생산하는 동안 반응기의 미생물을 분석하여 반응기 성능의 이해를 돕고자하였다.
  • 반응기내에 균체량이 낮은 단점이 있다. 그래서 본연구에서는 유출된 biomass를 침전조로부터 CSTR로 재도입시킴으로써 반응기 내에 biomass를 유지하고자하였다. 식종후 초기 biomass 농도는 5, 350 mg VSS/L이 었으나 시 간이 감에 따라 점 점 감소하여 13일부터는 1, 450~2, 200 mg VSS/L범 위를 유지하다가 33일 이후는 595-812 mg VSS/L를 유지하였다(Fig.
  • 그러 나 반응기를 운전함에 따라 채취한 시료에서는 2~3개의 진하게 염색된 굵은 밴드가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CSTR의 운전조건 하에 농화 배 양된우점종임을알 수 있었다.본 연구에서 침전조를 이용해 유실된 biomass를 재순환하여 반응기내 biomass를 유지하고자 한 전략이 효과가 없었던 것은, 이렇게 한 개체군의 우세와 더불어 슬러지 침강에 관련된 다른 균의 점차적인 소실 및 수적 약화에 기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가설 설정

  • 조류 (algae)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 반응기는 알루미늄 foil로 싸서 빛을 차단하였다. 반응기 운전 조건을 바꿀 때는 18배 이상의 HRT 동안 한조건하에 반응기를 운전한 후와 가스 농도를 3번 연속 측정하여 같은 값을 나타낼 때를 안정상태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Das, D. and T. N. VezirogIu (2001), Hydrogen production by biological processes: a survey of literature, Int. J. Hydrogen Energy 26, 13-28 

  2. Angenent, L. T., K. Karim, M. H. AI-Dahhan, B. A. Wrenn, and R. Domiguez-Espinosa (2004), Production of bioenergy and biochemicals from industrial and agricultural wastewater, Trends Biotechnol. 22, 477-485 

  3. Nath, K. and D. Das (2004), Improvement of fermentative hydrogen production: various approaches, Appl. Microbiol. Biotechnol. 65, 520-529 

  4. Zinder, S. H. (1990), Conversion of acetic acid to methane by thermophiles, FEMS Microbiol. Rev. 75, 125-138 

  5. Ahn, Y., E.-J. Park, Y. K. Oh, S. Park, G. Webster, and A. J. Weightman (2005), Biofilm microbial community of a thermophilic trickling biofilter used for continuous biohydrogen production, FEMS Microbiol. Lett. 249, 31-38 

  6. Ueno, Y., S. Haruta, M. Ishii, and Y. Igarashi (2001), Characterization of a microorganism isolated from the effluent of hydrogen fermentation by microflora, J Biosci. Bioeng. 92, 397-400 

  7. Ueno, Y., S. Haruta, M. Ishii, and Y. Igarashi (2001), Microbial community in anaerobic hydrogen-producing microflora enriched from sludge compost, Appl. Microbiol. Biotechnol. 57, 555-562 

  8. Liu, H., T. Zhang, and H. H. Fang (2003), Thermophilic H, production from a cellulose-containing wastewater, Biotechnol. Lett. 25, 365-369 

  9. Shin, H.-S. and J-.H. Yoon (2005), Conversion of food waste into hydrogen by thermophilic acidogenesis, Biodegradation 16, 33-44 

  10. Van Groenestijn, J. W., J. H. O. Hazewinkel, M. Nienoord, and P. J. T. Bussmann, (2002), Energy aspects of biological hydrogen production in high rate bioreactors operated in the thermophilic temperature range, Int. J. Hydrogen Energy 27, 1141-1147 

  11. Oh, Y.-K., S. H. Kim, M.-S. Kim, and S. Park (2004), Thermophilic biohydrogen production from glucose with trickling bioftlter, Biotechnol. Bioeng. 88, 690-698 

  12. Ahn, Y., Y-K. Oh, and S. Park (2005), Thermophilic biohydrogen production from glucose with a long-term operation of CSTR, Kor. J. Biotechnol. Bioeng. 20, 423-427 

  13.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1995). Standard methods for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9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USA 

  14. Hales, B. A., C. Edwards, D. A. Ritchie, G. Hall, R. W. Pickup, and J. R. Saunders (1996),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methanogen-specific DNA from blanket bog peat by PCR amplification and sequence analysis, Appl. Environ. Microbiol. 62, 668-675 

  15. Luton, P. E., J. M. Wayne, R. J. Sharp, and P. W. Riley (2002), The mcrA gene as an alternative to 16S rRNA in the phylogenetic analysis of methanogen populations in landfill, Microbiology 148, 3521-3530 

  16. Banning, N., F. Brock, J. C. Fry, R. J. Parkes, E. R. C. Hornibrook, and A. J. Weightman (2005), Investigation of the methanogen population structure and activity in a brackish lake sediment, Environ. Microbiol. 7, 947-960 

  17. Chen, C. C., and C. Y. Lin (2001), Start-up of anaerobic hydrogen producing reactors seeded with sewage sludge, Acta Biotechnologica 21, 371-379 

  18. Oh, Y.-K. (2004), Biological hydrogen production by Citrobacter sp. and development of thermophilic process using trickling biofilter reactor. Ph.D Dissertation, Dept. of Chemical and Biochemica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19. Andrews, K. T. and B. K. Patel (1996), Fervidobacterium goruiwanense sp. nov., a new thermophilic anaerobic bacterium isolated from nonvolcanically heated geothermal waters of the Great Artesian Basin of Australia, Int. J. Syst. Bacteriol. 46, 265-269 

  20. Lee, C. K. and Z. J. Ordal (1967), Regulatory effect of pyruvate on the glucose metabolism of Clostridium thermosaccharolyticum, J. Bacteriol. 94, 530-536 

  21. Lueders, T., K.-J. Chin, R. Conrad and M. Friedrich (2001), Molecular analyses of methyl-coenzyme M reductase $\alpha$ -subunit (mcrA) genes in rice field soil and enrichment cultures reveal the methanogenic phenotype of a novel archaeallineage, Environ. Microbiol. 3, 194-2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