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의 분변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gasseri KACC 91155의 Jurkat T Cells에서 항산화 효과
The Antioxidant Effect of Lactobacillus gasseri KACC 91155 Isolated from Korean Infant in Jurkat T Cell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25 no.4, 2005년, pp.494 - 499  

정석근 (농촌진흥청 축산연구소) ,  김현수 (농촌진흥청 축산연구소) ,  함준상 (농촌진흥청 축산연구소) ,  채현석 (농촌진흥청 축산연구소) ,  이종문 (농촌진흥청 축산연구소) ,  안종남 (농촌진흥청 축산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분변에서 분리한 항산화 효과를 갖는 유산균인 Lactobacillus gasseri KACC 91155의 Jurkat T cell line에서의 지질 과산화 억제 효과, 세포 보호 효과 및 DNA 손상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1. gasseri 91155는 세포 산화에 의해 생성된 지질 과산화물인 MDA의 생성을 방지하였으며, 또한 뚜렷하게 세포 생존성을 증가시켰다. 그리고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DNA 손상을 줄여주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 of antioxidant strain Lactobacillus gasseri KACC 91155, isolated from Korean infant feces(Obstetrics & Gynecology, Suwon, Korea) on the oxidative stress damage on the Jurkat T cells. To estimate the extent of cellular lipid peroxidation in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 in vitro 선발 과정을 통해 선발된 항산화 균주인 Lactobacillus gasseri KACC 91155의 Jurkat T cell line에서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 , 1996). 본 연구에서는 L. gasseri 91155의 Jurkat T cell에서의 지질 과산화 억제 효과, 세포 생존율, DNA 손상 억제 정도를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분변에서 분리한 항산화 효과를 갖는 유산균인 Lactobacillus gasseri KACC 91155의 Jurkat Tcell line에서의 지질 과산화 억제 효과, 세포 보호 효과 및 DNA 손상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겨과 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nnuk, H., Shchepetova, J., Kullisaar, T., Songisepp, E., Zilmer, M., and Mikelsaar, M. (2003) Characterization of intestinal lactobacilli as putative probiotic candidates. J. Appl. Microbiol. 94, 403-412 

  2. Aruoma, O. I. (1996) Characterization of drugs as antioxidant prophylactics. Free Radical Bio. Med. 20, 671-683 

  3. Bonnes-Taourei, D., Guerin, M. C., and Torreilles, J. (1992) Is malondialdehyde a valuable indicatior of lipid peroxidation. Biochem. Pharmacol. 44, 985-988 

  4. Cantoni, O., Cattabeni, F., Stocchi, V., Meyn, R. E., Cerutti, P., and Murray, D. (1989) Hydrogen peroxide insult in cultures mammalian cells; relationship between DNA single-strand breakage, poly(ADP-ribose) metabolism, and cell killing. Biochem. Biophys. Acta. 1014, 1-7 

  5. Chandra, J., Samali, A., and Orrenius, S. (2000) Triggering and modulation of apoptosis by oxidative stress. Free Radic. Biol. Med. 29, 323-333 

  6. Davies, K. J. A. (1995) Oxidative stress: the paradox of aerobic life. Biochemical Society Symposium No. 61. London. pp. 1-35 

  7. Duthie, S. J., Ma, A., Ross, M. A., and Collins, A. R. (1996) Antioxidant supplementation decrease oxidative DNA damage in human lymphocytes. Cancer Res. 56, 1291-1295 

  8. Erba, D., Riso, P., Criscuoli, F., and Testolin, G. (2003) Malondialdehyde production in Jurkat T cells subjected to oxidative stress. Nutr. 19, 545-548 

  9. Finkel, T. (2000) Redox-dependent singnal transduction. FEBS Lett. 476, 52-54 

  10. Halliwell, B. (1991) Drug antioxidant effects: a basis for drug selection. Drugs. 42, 569-605 

  11. Halliwell, B. and Chirico, S. (1993) Lipid peroxidation: its mechanism, measurement, and significance. Am. J. Clin. Nutr. 57, 715-724 

  12. Halliwell, B., Clement, M. V., and Long, L. H. (2000) Hydrogen peroxide in the human body. FEBS Lett. 486, 10-13 

  13. Han, Y. T., Han, Z. W., Yu, G. Y., Wang, Y. J. Cui, R. Y. and Wang, C. B. (2004) Inhibitory effect of polypeptide from Chlamys farreri on ultraviolet A-induced oxidative damage on human skin fibroblasts in vitro. Pharmacol. Res. 49, 265-274 

  14. Humpries, K. M. and Sweda, L. I. (1998). Selective inactivation of ${\alpha}$ -ketoglutarate dehydrogenase: reaction of lipoic acid with 4-hydroxy-2-nonenal. Biochem. 37, 15835-15841 

  15. Kim, H. S., Chae, H. S., Jeong, S. G., Ham, J. S., Im, S. K., Ahn, J. N., and Lee, J. M. (2005) Antioxidative activity of some yogurt starter cultures. Asian-Aust. J. Anim. Sci. 18, 255-258 

  16. Konicova, E., Babusikova, O., Kusenda, J., and Glasova, M. (1992) Detection of cytoplasmatic and surface membrane markers in cells of some human hematopoietic cell lines. Neoplasma. 39, 337-342 

  17. Kullisaar, T., Zilmer, M., Mikelsaar, M., Vihalemm, T., Annuk, H., Kairane, C., and Kilk, A. (2002) Two antioxidative lactobacilli strains as promising probiotics. Intl. Food Microbiol. 72, 215-224. 

  18. Li, L. and Lau, B. H. (1993) A simplified in vitro model of oxidant injury using vascular endothelial cells. In Virto Cell Dev. Biol. Anim. 29, 531-536 

  19. Lin, M. Y. and Chang, F. J. (2000) Antioxidative effect of intestinal bacteria Bifidobactenum longum ATCC 15708 and Lactobacillus acidophilus ATCC 4356. Digestive Diease Sci. 45, 1617-1622 

  20. Riso, P., Erba, D., Criscuoli, F., and Testolin, G. (2002) Effect of green tea extract on DNA repair and oxidative damage due to $H_{2}O_{2}$ in Jurkat T cell. Nurt. Res. 22, 1143-1150 

  21. Riso, P., Santangelo, A., and Porrini, M. (1999) The comet assay for the evaluation of cell resistance to oxidative stress. Nurt. Res. 19, 325-333 

  22. Singh, N. P., McCoy, M. T., Tice, R. R., and Schneider, E. L. (1998) A simple technique for quantitation of low levels of DNA damage in individuals cells. Exp. Cell. Res. 175, 184-191 

  23. Tanaka, K. I., Fujita, N., and Yoshioka, M. (2001) Immunosuppressive and non-immunosuppressive immunophilin ligands improve $H_{2}O_{2}$ -induced cell damage by increasing glutathione levels in NG108-15 cells. Brain Res. 889, 225-228 

  24. Thannickal, V. J. and Fanburg, B. L. (2000) Reactive oxygen species in cell signaling. Am. J. Physiol. Lung Cell Mol. Physiol. 279, 11005-11028 

  25. Uchida, K. (2000) Role of active aldehyde in cardiovascular disease. Free Radic. Biol. Med. 28. 1685-1696 

  26. Wang, L., Nishida, H., Ogawa, Y., and Konishi, T. (2003) Prevention of oxidative injury in PC12 cells by a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Shengmai San, as a model of an antioxidant-based composite formula. Biol. Pharm. Bull. 26, 1000-1004 

  27. Xiao, X. O., Lee, N. T. K., Carlier, P. R., Pang, Y. P., and Han, Y. F. (2000) Bis(7)-tacrine-induced injury in rat pheochromocytoma cells: comparison with tacrine. Neurosci. Lett. 209, 197-2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