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집 교사들의 영양지식과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연구
A Survey of Teachers' Recognition on Nutrition Knowledge and Nutrition Education at Day-care Centers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0 no.6, 2005년, pp.920 - 929  

박금미 (신구대학 식품영양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imed at knowing the recognition of teachers' nutrition knowledge and nutrition education at day-care centers in Seong-nam. Teachers were all female, most of whom were in the 20, and their careers were less than 3 years. And $76.2\%$ of the teachers graduated from high sc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아울러 한국 영양교육의 정책과 개선 방향 에 대한 모색 (Kim 1987 ; Mo 1990) 계속되어져야 하며 영유아보육시설에서의 영양 및 급식관리 방안 및 지침을 마련해야 하는 시점에서 영유아교육기관의 질적인 향상 이 급격히 요구되고 있다. 특히 양질의 교사가 국가적 차원 에서 절실히 요청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교사들의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도를 파악하여 현장에서 효과적인 영양교육을 위한 실제 접근이 가능한지를 조사하며, 교사들의 영양지식 수준을 먼저 평가하고 학교에서나 보육교사교육원 등에서 교사가 되기 이전에 영양교육을 위한 독립교과를 운영하는 것이 필요한지를 살펴보며 앞으로 영양교육의 실시와 영양 교육프-룬-?.램 개발을 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유아 교육의 일선에서 근무하는 성남시 소재 의 어린이집 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영양지식수준을 알 아보고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을 연구 조사하여, 유아들의 영양교육과 식습관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보육교사 들의 효과적인 영양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 구로 수행되었으며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아울러 한국 영양교육의 정책과 개선 방향 에 대한 모색 (Kim 1987 ; Mo 1990) 계속되어져야 하며 영유아보육시설에서의 영양 및 급식관리 방안 및 지침을 마련해야 하는 시점에서 영유아교육기관의 질적인 향상 이 급격히 요구되고 있다. 특히 양질의 교사가 국가적 차원 에서 절실히 요청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교사들의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도를 파악하여 현장에서 효과적인 영양교육을 위한 실제 접근이 가능한지를 조사하며, 교사들의 영양지식 수준을 먼저 평가하고 학교에서나 보육교사교육원 등에서 교사가 되기 이전에 영양교육을 위한 독립교과를 운영하는 것이 필요한지를 살펴보며 앞으로 영양교육의 실시와 영양 교육프-룬-?.램 개발을 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문항 5: 하루 총 열량의 70%정도는 당질로부터 섭취하는 것이 좋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ai YM, Ahn SJ (1995): A study on nutrition education for day-care teachers and children. Korean J Soc Food Sci 11(1): 58-68 

  2. Chai IS (1995): The development and effect-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preschool children in children centers. Korean J Nutrition 28(1): 61-70 

  3. Chang NS, Woo YJ, Lee JM (1998):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the teachers at day-care centers in Seoul. Korean J Dietary Culture 13(2): 107-118 

  4. Choi MS, Yun JS (2003): Effect of eating habits and nutrient intake on the physical growth indices in pre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8(1):3-14 

  5. Chung MR, Lee YM, Lee YW (2000): A study on the nutritional evaluation and food service management of snack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tion 38(4): 99-114 

  6. Kim SH (1987): A review of Korean nutrition education and policy. Korean J Nutrition 20(3): 167-175 

  7. Lee YM, Chung MR, Kim JH (1999): Evaluation of eating behaviors of childre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J Home Economics 37(7): 69-81 

  8. Lee NH, Joung HJ, Cho SH, Choi YS (2000): A survey of eating behavior and food preferences of children in preschool nursery facilitie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5(4): 578-585 

  9. Lee NH, Joung HJ, Cho SH, Choi YS (200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ograms for the nutrition education of preschool nursery facilitie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6(2): 234-242 

  10. Lee YM, Lee KW (1996): Nutrition knowledge and snack serving attitude of kindergarten teacher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3): 423-432 

  11. Lim SJ (1990):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the children of obese or unbalanced dietary habits. Korean J Nutrition 23(4): 279-286 

  12. Mo SM (1990): The present status and a future scheme in nutrition education. Korean J Nutrition 23(4): 279-286 

  13. Mun SJ, Ahn HS, Lee YM (2001): Nutrition and health for children. Suhaksa, pp.207-209 

  14. Park JK (1994): Effectiveness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obese children. Korean J Nutrition 27(1): 90-99 

  15. Park KM (2003): A research on food behavior of teachers of day-care centers in Seong-nam. Theses collection vol.25 Shingu college, pp.207-225 

  16.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000): Questionnaire related to food and nutrition 

  17. Shin EK, Lee HS, Lee YK (2004):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obese children and their parents (II)-focus on nutrition knowledge, eating behavior, food habit and nutrient intake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9(5): 578-588 

  18. Suh EN (1998): Analysis of nutrition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sbased up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in inner Seoul. Korean J Nutrition 31(4): 787-798 

  19. Yang IS, Kwak DK, Han KS, Kim EK (1993): Needs assessmen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day care providers. Korean J Nutrition 26(5): 639-650 

  20. Yoon HS, Ro JS, Her ES (2000): Study on nutrition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s in Kyungnam a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5(1): 63-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