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잔디류 기본종, 상업종 및 육종계통들의 생육속도 및 내한성 비교
Comparison of Growth Rate and Cold Tolerance with Basic Species, Commercial Lines, and Breeding Lines of Zoysiagrass 원문보기

한국잔디학회지 = Kore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v.19 no.2, 2005년, pp.131 - 140  

최준수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부) ,  양근모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부)

초록

본 연구는 한국잔디류 5개 기본종, 상업종, 품종, 육종계통을 포함한 잔디류에 대하여 내한성 및 생육속도를 조사한 것이다. 실험은 총 41종의 한국잔디류를 사용하여 경기북부지역과 중부지역에서 적응실험을 수행하였다. 조사는 내한성(겨울철 생존율), 늦가을 녹색률, 이른봄 녹색률, 밀도, 생육속도 등을 가시적으로 평가하였다. 경기북부(적성면) 내한성 시험에서는 41종의 잔디 중 Z. matrella, Z. tenuifolia, USm, S4M2의 4종($9.7\%$)이 동사하였으며 나머지 37($90.3\%$)종은 생존하였다. 또한 식재 1년 후 생육이 가장 왕성한 계통으로 Anyang1, Samdeock1, Anyang2, SJ21, Pyeongdong 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들은 모두 Z. sinica와 Z. macrostachya의 유전적 특성을 갖고 있는 중엽형 잔디들이었다. 중부지역(천안)에서 월동 후 생존한 잔디는 29종($70.7\%$)으로 나타났고, 고사한 잔디는 12종($29.3\%$)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적성 지역에 비해 천안에서 고사잔디가 많았던 이유는 천안 실험이 용기 조건에서 수행된 것으로 동해와 더불어 건조 피해가 심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동해와 건조 피해에도 불구하고 생존율이 높았던 잔디로는 Anyang2, AJ9-7, Samdeock1, Samdeock2, Samdeock3, 그리고 Zenith-C 등 이었다. 반면에 적성지역에서 생육이 양호했던 SJ2-19, NSm, 88Mey, 88Mey-75, 88Mey-9S SJ21-10, ASm, DBm 등은 천안실험에서 고사한 것으로 보아 한국잔디류는 동해보다는 겨울철 건조에 의한 피해가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cold tolerances and growth rates of 5 basic species, commercial lines, and breeding lines of zoysiagrass. Total 41 zoysiagrasses were tested at the northern part (Jeokseong-myeon) and the middle part (Cheonan) of South Korea. Cold tolerance (survival rate during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한국잔디류 5개 기본종, 상업종, 품종, 육종계통을 포함한 잔디류에 대하여 내한성 및 생육속도를 조사한 것이다. 실험은 총 41종의 한국잔디류를 사용하여 경기 북부지역과 중부지역에서 적응실험을 수행하였다.
  • 이상과 같이 내한성은 종 및 품종 간에도 차이를 보이므로 본 실험에서는 국내에서 이용되고 있는 상업종인 중지류와 금잔디의 유전적 특성이 포함된 육종계통 및 기본 5종들 간의 내한성을 비교하기 위해 지역 적응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생육속도가 우수한 중지류와 새로 육성중인 계통들 간에 생육속도를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김두환, 이재필, 김종빈, 모숙연. 1999. 세엽 한국잔디류 신품종 '건희(Konhee)' 육성. 한국잔디학회지 13(3):147-152 

  2. 최준수, 양근모. 2004. 한국자디 신품종 '세녹(Senock)' 개발. 한국잔디학회지 18(4):201-209 

  3. 최준수, 양근모, 유하경. 1999. RAPD를 이용한 중엽형 한국잔디류의 분류. 원예과학기술지 17(5):692 

  4. Beard, J.B. 1973. Turfgrass: Science and Culture. Pretice-Hall, Inc., Englewood Cliffs, N.J. pp. 132-147 

  5. Choi, J.S. 1997. Breeding of Zoysia In Korea. International symposium of zoysiagrass breeding. Dankook University. Korea. p. 15-18 

  6. Choi, J.S., B.J. Ahn, and G.M. Yang. 1997. Classification of zoysiagrass (Zoysia spp.) native to the southwest coastal regions of Korea using RAPDs. J. Kor. Soc. Hort. Sci. 38(4):399-407 

  7. Emmons, R.D. 1995. Turfgrass science and management. Delmer Publishers. p.50-52 

  8. Engelke, M.C. and J.J. Murray. 1989. Zoysiagrass breeding and cultivars development. International Turfgrass Society Research Journal. Tokyo. 6:423-425 

  9. Miller, G.L. and R. Dickens. 1996. Potassium fertilization related to cold resistance in bermudagrass. Crop Sci. 36:1290-1295 

  10. PaIva, E.T. 1994. Gene expression under low temperature stress. pp. 103-130. In: A.S. Basra. 1994. Stress-induced gene expression in plants. Harwood Academic Publisher 

  11. Philley, H.W., C.E. Wtson, Jr., J.V. Krans, J.M. Goatley, Jr., V.L. Maddox, and M. Tomaso-Peterson. 1998. Inheritance of cold tolerance in St. Augustinegrass. Crop Sci. 38:451-454 

  12. Turgeon, A.J. 1991. Turfgrass management. Prentic-Hall, Inc., pp. 78-79 

  13. Warmund, M.R., R. Fuller, and J.B. Dunn. 1998. Survival and recovery of 'Meyer' zoysiagrass rhizomes after extracellular freezing. J. Amer. Soc. Hort. Sci. 123(5):821-825 

  14. Youngner, V.B. 1961. Growth and flowering of Zoysia species in response to temperatures, photoperiods and light intensities. Crop Sci. 1:91-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